특수아동의 선별 및 진단검사도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아동의 선별 및 진단검사도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특수교육대상자 선별검사 및 진단 평가영역

장애 조기발견을 위한 선별검사
1.사회성숙도검사
2.적응행동검사
3.영유아 발달검사

진단평가영역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장애
1.기초학습기능검사
2.시력검사
3.시기능검사 및 촉 기능검사
(시각장애의 경우에 한함)
4.청력검사(청각장애의 경우에 한함)

정신지체
1.지능검사
2.사회성숙도검사
3.적응행동검사
4.기초학습검사
5.운동능력검사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1.적응행동검사
2.성격진단검사
3.행동발달평가
4.학습준비도검사

의사소통장애
1.구문검사
2.음운검사
3.언어발달검사

학습장애
1.지능검사
2.기초학습기능검사
3.시지각발달검사
4.지각운동발달검사
5.시각운동통합발달검사

본문내용

령으로부터 1년 ~ 1년 반 미만 지체
- 보통의 운동지체 : 생활연령으로부터 1년 반 ~ 3년 미만 지체
- 무거운 운동지체 : 생활연령으로부터 3년 ~ 5년 미만 지체
- 운동능력 백치 : 생활연령으로부터 5년 이상 지체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을 측정할 것인가를 분명히 정하여 목적에 따라 실시되어야 한다. 정신지체 아동들은 대체적으로 ①지각-운동 ②행동-반응 ③균형-유지능력이 떨어지므로 이들의 검사를 모두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으나 시간과 준비가 충분하지 못할 때는「한국판 오세레츠키 운동능력검사」를 실시하여 낮은 운동 수준을 갖고 있는 아동이 나타나면 운동능력이 열등하게 된 원인을 찾아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4)정서 행동장애 자폐성장애
(1)성격진단검사
◎검사의 구성
본 검사는 크게 기술척도와 임상척도로 나누어 성격을 측정·진단하게끔 되어 있고 여기에 검사받는 사람의 응답의 신뢰성을 간단히 짐작할 수 있는 타당성척도가 추가되어 있다.
* 기술척도
① 안정성(EST-Emotional stability)
정서적 안정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신건강과 적응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다는 것은 정신적 균형의 유지, 감정의 안정 및 평온, 확고한 자신과 낙관, 조용하고 침착하며 태연한 것등을 의미하며, 반대로 정서적 안정성이 낮은 경우는 정신적 불안, 심리적 긴장, 신경과민, 걱정, 근심, 두려움, 죄악감, 불행감, 자기 무가치감등을 말한다.
② 지배성(DOM-Dominance)
인간관계에서 과업수행·결정·결단에서 지도력, 주동력, 창안력, 설복력, 통솔력, 진취성과 박력, 자기결정, 집단에서의 적극적 참여, 주체성등을 포함한다. 이 특성은 추종성, 맹종성, 위축, 열등감, 방관자, 소극적 역할, 피(被)암시성 등과 반대되는 특성이다.
③ 사회성(SOC-Sociability)
대인관계, 사회관계에서의 사교성, 군거(群居)성, 협동성, 사회적 의존성, 모방성, 유통용의성, 대인순응성, 관용성 등을 포함한다. 이 특성의 점수가 낮은 경우, 위의 여러 성질이 약함을 뜻하며 즉 고립, 사회적 접촉의 기피, 방관, 바사교성, 비활동적 성격을 나타낸다.
④ 책임성(RES-Responsibility)
인내성, 주의집중, 자기통제, 자율성, 끈기, 성취 동기, 의지력, 신뢰성을 포함하며 책임을 신중히 생각하고 맡은 일에 끈기 있게 완수하며 자발성이 강한 정도 등을 말한다. 이 특성은 무책임, 책임회피, 투사, 무반성, 불평, 불만등의 성격경향과 반대된다.
⑤ 사려성(REF-Reflectiveness)
심사숙고, 행동보다 사색에 시간을 보내며 이론적, 반성적, 공상적, 이상적인 경향을 보이며, 어떤 사상·사태의 원인 규명, 배후의 추정, 반박, 논증·증명·추리등을 즐기는 이지적 경향을 의미한다.
⑥ 동조성(CON-Conformity)
순응성, 대응성, 준법성, 도덕성, 동화성, 인습성, 규준성, 순종성 등을 포함하며,
조화와 원만을 즐기고 전통에서의 좋은 점을 높이 평가하고 따르는 성격경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동일친(identification)의 경향도 이에 포함한다.
⑦ 남향성(MAS-Masculinity)
남성적인 성격특성으로서 남성성이라고도 불리며 여향성(여성적 성격)과 대조된다. 정력, 운동, 노동이 필요한 활동적인 일을 즐기며, 일반적으로 흥미, 역할에 있어서도 쉽게 여성적 경향과 구별되는 특성이다.
⑧ 충동성(IMP-Impulsiveness)
단순성, 사태의 감정적 처리, 즉흥성, 폭발성, 자유개방성등을 발하며, 판단이나 행동이 기분에 좌우되고, 침착성과 자제력이 결여되는 경향을 뜻한다.
⑨ 우월성(SUP-Superiority)
우월감-열등감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우월감이 높은 때는 든든한 자신감을 가지며 자기 과시적 행동이 강하며, 열등감은 때때로 방어적 행동 또는 보상적 노력의 표현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와 자기과시의 경향은 비정상적 우월성으로 편집적 경향으로 나타난다.
* 타당성척도
타당성척도는 성격적 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주로 피검자의 검사태도를 포착하려는 것으로서, 검사문항에 대한 응답에서 피검자가 그 문항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가, 얼마나 솔직하고 성실하게 자기의 경험이나 정의적 상태를 나타냈는가, 자기 방어적 태도 또는 심리적 노출경향이 어느 정도인가 등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점수에 비추어 검사결과의 신뢰성, 타당성을 파악하려는 척도이다.
* 임상척도
① 우울경향(DE-Depression)
우울증의 임상적 징후의 정도 및 농도를 뜻한다. 우울경향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자기의 가치와 또는 인생에 대하여 비관·염세·무망(無望)감 내지 절망감, 자기무력감, 무가치감, 주관적 불신감, 사고와 행동의 완만, 무기력, 죽음과 자살에의 편견에 사로잡히고, 항상 자기 부정적 판단의 경향을 나타낸다.
② 불안경향(AN-Anxiety)
불안은 심리학적으로 여러 가지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검사에서는 말하는 불안은 모든 정신 병리적 경향에 거의 수반되는 경향으로 생각된다. 상담치료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여러 장면, 여러 대상에 대한 불안을 나타내는 문항으로 조직되어있다.
③ 편집경향(PA-Paranoid tendency)
집착, 의심증, 과민증 및 각종 망상(피해망상·관계망상·과대망상등)의 정도와 증후를 가리킨다. 그러나 뚜렷한 병리적 경향만이 아니라, 자기의 능력에 비하여 너무 높은 목표를 그리며, 현재의 처지나 상황을 잘못 파악하고 해석을 내림으로서 공격적 경향을 나타내며 대인관계에서 과민하고 부드럽지 못하고 원한을 잘 품고, 시비를 걸고 소송하기를 좋아하는 성격경향을 포함한다.
④ 내폐경향(AU-Autism)
비교적으로 또는 절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현실도피 또는 현실과의 관계단절 상태를 말하며 정신분열경향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내폐적 경향이 있는 사람의 내폐적 세계는 외계(外界)현실과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현실성을 갖는다. 내폐적 사고의 내용은 그 사람의
  • 가격4,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