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복교수의 [한국교회의 설교학개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장복교수의 [한국교회의 설교학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중함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4) 흥미가 가득한 대문을 만든다.
싫증이라는 단어는 복음 선포에 낄 수 없는 단어이다. 복음은 기본적으로 충격과 감격을 가져오는 메시지이다.
5) 노출보다는 넌지시 암시를 한다.
서론은 다음에 전개될 내용을 낱낱이 공개하는 것이 그 목적이 아니다.
6) 대화체로 설교의 대문을 연다.
7) 설교를 하지 않는다.
2.서론의 형태(Types)
l) 인간적인 경험담으로 출발한다.
2) 문제를 회중에게 던진다.
3) 모두가 아는 뉴스를 활용한다.
4) 의미가 함축된 경구를 들려준다.
5) 화제의 책을 보이며 인용한다.
6) 계절의 변화에서 서론을 찾는다.
7) 웃음으로 설교를 연다.
3. 결론의 이해와 그 필수 요건
1) 설교의 종착역을 놓치지 말라
2) 자연스럽고 적절한 연결을 시도하라
3) 메시지와 개인적인 만남이 이룩되게 하라
4) 설교의 절정(絶頂)을 이루라
5)간단하고 짜임새 있는 마무리를 지으라.
4. 결론의 형식
1)설교 요점을 간결하게 재정리한다.
2) 경이적이고 충격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3) 위로와 격려의 아늑한 감정을 안겨 준다.
4) 그날의 결론이 될 수 있는 시(時)를 찾는다.
5) 강복(降福)의 하나님을 보여 준다.
6) 하나님의 명령과 교훈임을 밝힌다.
7) 본문을 비롯한 성경의 말씀을 다시 듣게 한다.
12장 진리를 높이려는 빛살로서의 예화
1. 초기 한국교회 복음의 전령들과 예화 사용
현대의 한국교회 설교자들이 유의해야 할 사항은 초창기 복음의 전령이었던 우리의 선배 설교자들은 이야기꾼의 연속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그들의 설교를 정독하면 지금의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1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