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l, fedex, 한진그룹의 대한항공물류 비교및 우리나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hl, fedex, 한진그룹의 대한항공물류 비교및 우리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제 특송업 주제 선정 동기

2. 국제 특송업의 개념

3. 기업소개 (dhl, fedex)

4. 우리나라의 특송업

5. korea airline cargo

6. 결론 (보고서, 신문기사 및 우리조 결론)

본문내용

잡고 웃었다. 하지만 FedEx는 창설이후 4반세기동안 줄곧 두자리 내지 세자리 수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제 연간매출 19조원, 순이익 6천억원의 포천 94대 기업 반열에 올랐다.
이처럼 페덱스에서는 남들이 하지않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내어 기업의 성공으로 이끈 일들을 많이 볼 수 있다.이는 페덱스의 창업주인 프레드리 스미스 개인의 취향이기도하다.
1965년 예일대학교에서 경제학과목을 수강하던 프레드 스미스라는 대학생은 자전거바퀴에서 착안하여 새로운 화물수송 시스템에 관한 학기말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미국 내 인구분포의 중심지역에 화물집결지(허브)를 만들고, 모든 화물들을 일단 여기에 모은 다음 재분류하여 자전거 바퀴살(스포크) 모양으로 미국전역에 배송하자는 것이다.
미국 북동부에 있는 볼티모어에서 그리 멀지 않은 수도 워싱턴으로 물품을 보낼 경우에도 중부에 있는 허브를 경유해야 한다는 것이 넌센스라고 생각한 그의 지도교수는 C학점을 주었으나, 프레드 스미스는 이를 토대로 화물택배라는 새로운 거대산업을 창조하였다.
이처럼 페덱스는 창업초기부터 획기적이고 혁신적인 조직문화로 성공을 이룬 대표적인 기업의 하나이다.
(4) 여성다움
페덱스의 기업 이념중하나가 기회 균등(Equal Opportunity)이다 페덱스는 모든 심사에는 인종, 종교, 성별, 출신국, 국적, 신체적 장해, 또는 연령등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공표할정도로 평등을 기업의 제일 이념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음의 인사제도에서도 볼수 있다
유급 휴일과 유급 휴가 - 결혼 휴가, 출산 휴가, 배우자 출산 휴가
이처럼 출산에 있어서도 배우자가 대신 출산 휴가를 가질 수 있는 남녀 평등하고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여성다운 문화를 가지고 있다.
3. DHL, FEDEX 기업의 성공 분석
DHL
FEDEX
경영이념
고객만족. 최상의 서비스 제공
우선가치 순위
종업원의 능력에 따른 고객 만족 실현
고객의 욕구에 맞춘 최상의 서비스 제공을 통한 직접적인 고객만족 실현 추구
인적자원 관리
고객을 생각하는 가치 교육
종업원을 위한 다양한 제도
전략
품질균일화와
차별화된 서비스
정확성과 광범위한 서비스
조직 관리 체계
다국적 기업 특성에 맞춘 현지 법인화
물류인프라와 종업원과 고객들을 위한 제도들
기술
DHL넷 등 각각의 기업마다 다양한 형태로 화물 정보 시스템을 구축
코스모스 시스템
두 기업 모두 서비스산업의 특징이며 경쟁우위인 고객만족이나 최상의 서비스 제0공을 경영이념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고객만족을 추구하는 방식은 회사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두고 있으며 추구방식에서의 우선가치의 순위를 달리 매겼다. 페덱스는 종업원, 고객, 이익의 3가지 이념 중 종업원을 첫 번째로 꼽으며 종업원의 능력에 따른 고객 만족 실현을 추구하고 있으며, DHL은 고객의 욕구에 맞춘 최상의 서비스 제공을 통한 직접적인 고객만족 실현 추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우선가치의 차이는 기업의 제일 큰 자원인 인적자원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쳐 페덱스에서는 종업원을 위한 다양한 제도로 나타나고 DHL에서는 고객을 생각하는 가치 교육의 형태로 종업원에 대한 관리방식이 드러났다.
이는 경영스타일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각각의 기업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우선가치에 맞춘 경영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가치에 따른 경영스타일로 각각의 다른 경영체제를 구축, 자신들의 우선가치에 부합되는 경영체제를 구축하였다.
물류산업은 대표적인 서비스산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빠르고 정확하고 안전해야 한다‘는 말처럼 고객의 욕구에 맞춘 서비스가 제공될 때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두 기업의 전략은 각 기업이 중점화시킨 요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페덱스는 정확성과 광범위한 서비스, DHL은 품질균일화와 차별화된 서비스에 중점을 둔 전략을 세웠다. 구조와 관리제도에 있어서 두 기업은 각각의 경영환경에 맞는 구조나 제도 등을 설정해 나름대로의 조직 관리 체계를 구축하였다. 페덱스의 물류인프라와 종업원과 고객들을 위한 제도들, DHL의 다국적 기업 특성에 맞춘 현지 법인화 등 여러 가지 제도는 각 기업의 상황에 맞춘 경영의 묘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의 경우는 두 기업 모두 화물정보 및 관리 시스템에 역점을 두었다. 페덱스는 코스모스 시스템, DHL은 DHL넷 등 각각의 기업마다 다양한 형태로 화물 정보 시스템을 구축, 고객의 편의와 더욱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역점을 두고 개발되고 있다.
위에서 말한 두 기업 간의 7s는 비록 전략이나 경영스타일, 조직구조나 구성원들에 대한 관리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으나 고객을 위한 서비스라는 공통이념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록 우선가치(페덱스-종업원 DHL-고객)의 차이는 있었으나 이러한 우선가치의 차이는 고객만족을 달성하는 방식의 차이일 뿐, 두 기업 모두 고객을 위한 서비스라는 기본틀 안에서 경영이념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았다.
위의 물류산업 내 기업 간의 7s 비교를 통해 어느 산업 내에서의 경쟁력이란 어떤 것이라고 확실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예컨대 비용의 저렴화를 달성했다고 해서 경쟁력을 차지한 것은 아니었고 차별화에 성공하였다고 경쟁력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결국 경쟁우위란 산업 내 공통의 가치에서 그 추구하는 방식, 여러 요소들 중 자신들의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요소를 얼마나 조직에 잘 부합시키느냐에 달린 것이라고 느꼈다. 우선가치와 잘 부합되는 조직구조, 제도, 경영스타일 등 경영체제가 그 기업의 우선가치와 잘 부합될 때만 비로소 그 산업 내에서의 경쟁력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경쟁력은 산업 내 기업의 지위를 확고하게 다져줄 것이다.
4. 우리나라의 항공운송
우리나라의 항공화물 운송은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1980년대에는 연평균 13~15%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여 왔다. 그러나 해운화물과 비교해 볼 때 항공화물의 비중은 전체의 0.3%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항공화물의 비중이 낮은 이유는 항공기와 선박에 적재하는 화물의 특징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항공화물은 전자제품과 고급의류를 비롯하여 소형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0.05.1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