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의 의의 3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기존 문헌 검토 4
1. 영상언어로서의 텔레비전 연구 4
2. 심층 보도프로그램과 저널리즘 5
제 3 장 시사 프로그램 분석 8
1. 연구방법 8
1) 텍스트 체계 분석 8
(1) 기-승-전-결 구조 8
(2) 보도 내용의 복합성 9
2. 제작 과정 9
3. 주요 영상개념 및 역할 10
1) 영상표현 10
2) 사운드 10
3) 인터뷰 11
4) 카메라의 움직임과 앵글에 따른 의미작용 11
(1) 카메라 샷에 따른 의미작용 11
(2) 카메라 움직임에 따른 의미작용 13
(3) 카메라 앵글에 따른 의미 작용 15
제 4 장 시사 프로그램 제작 16
1. 제작 과정 16
1) 아이템 조사 16
2) 아이템 회의 17
3) 취재원 섭외 17
4) 촬영 17
5) 테이프 딕테이션 작업 18
6) 테이프 프리뷰 18
7) 편집 구성안 및 회의 19
8) 가편집 및 완편집 19
9) 대본 집필 및 회의 20
10) VCR 더빙 20
11) 스튜디오 녹화 21
12) 종합 편집 21
13) 방송테이프 제작 완료 및 방송 On-Air 21
2. 내용상 특성 분석 22
1) 주제 영역상 특성 22
2) 소재상 특성 23
3) 형식상 특성 24
4) 관점상 특성 25
3. 영상 기법 27
1) 영상 기법의 특성 27
2) 화면 분석 27
제 5 장 결론 30
<참고문헌> 32
1. 문제제기 1
2. 연구의 의의 3
제 2 장 이론적 논의 및 기존 문헌 검토 4
1. 영상언어로서의 텔레비전 연구 4
2. 심층 보도프로그램과 저널리즘 5
제 3 장 시사 프로그램 분석 8
1. 연구방법 8
1) 텍스트 체계 분석 8
(1) 기-승-전-결 구조 8
(2) 보도 내용의 복합성 9
2. 제작 과정 9
3. 주요 영상개념 및 역할 10
1) 영상표현 10
2) 사운드 10
3) 인터뷰 11
4) 카메라의 움직임과 앵글에 따른 의미작용 11
(1) 카메라 샷에 따른 의미작용 11
(2) 카메라 움직임에 따른 의미작용 13
(3) 카메라 앵글에 따른 의미 작용 15
제 4 장 시사 프로그램 제작 16
1. 제작 과정 16
1) 아이템 조사 16
2) 아이템 회의 17
3) 취재원 섭외 17
4) 촬영 17
5) 테이프 딕테이션 작업 18
6) 테이프 프리뷰 18
7) 편집 구성안 및 회의 19
8) 가편집 및 완편집 19
9) 대본 집필 및 회의 20
10) VCR 더빙 20
11) 스튜디오 녹화 21
12) 종합 편집 21
13) 방송테이프 제작 완료 및 방송 On-Air 21
2. 내용상 특성 분석 22
1) 주제 영역상 특성 22
2) 소재상 특성 23
3) 형식상 특성 24
4) 관점상 특성 25
3. 영상 기법 27
1) 영상 기법의 특성 27
2) 화면 분석 27
제 5 장 결론 30
<참고문헌> 32
본문내용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문자를 보낸다던지 기타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이런한 행위를 단번에 화면 속으로 빠질 수 있게 하는 방법이 바로 그 화면에 맞는 독특한 사운드 기법 즉 효과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실제로도 텔레비전 영상이 취급하는 정보의 양은 대체로 청각보다 작다고 할 수 있다. 즉 텔레비전 사운드를 끄고 그림만 보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모르지만 사운드를 통해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운드의 기능은 먼저 정보 제공의 기능으로 부가적 혹은 필수적 역할을 담
당한다. 즉 정확하고 효과적인 문장구사를 할 경우, 구두 언어로 영상 메시지를 보충하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분위기와 미학적 가치를 확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음향 및 음향효과는 분위기와 감정적 전후 관계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화면상의 조화를 보충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리듬은 영상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구조적 요소의 기능을 한다. 사운드와 영상의 리듬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 화면의 전체적인 구조는 통일과 안정성이 유지된다.
결국 사운드는 시청하고 있지 않은 수용자의 주의도 끌 수 있고, 화면의 순간적인 주의를 넘어서는 지속적인 주의를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이미지가 갖고 있는 현실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 인터뷰
인터뷰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이자 미디어 자신의 평판이나 신뢰성을 구축하고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인터뷰는 공중이 미디어에 접근하여 자신의 의견을 나타낼 수 있는 통로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결국 인터뷰는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화면구성이 불가능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한 제작 기술상의 이유 때문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미디어 자신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갈등적인 사건에 대해 공정한 보도를 한다는 함축적인 의미도 지닌다.
인터뷰가 대립적인 관점이 대두되는 사건에 있어서 공정성을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서로 다른 의견을 수립하여 공정성을 나타낼 수도 있고 그 아이템과 관련있는 전문가가 정리해줌으로 그 신뢰성을 높여 줄 수 있다.
4) 카메라의 움직임과 앵글에 따른 의미작용
(1) 카메라 샷에 따른 의미작용
샷이란 영상을 구성하는 기초단위로 카메라가 대상을 담아내는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어진다.
익스트림 롱(Extreme Long) 샷은 대상이 어떤 환경에 처해 있나를 밝혀주는 공간적인 준거틀(Reference Frame)로 사용되며, 다른 샷을 이해하기 위한 구축(Establishing) 샷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장소와 대상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
용하다. 가령 상황의 발생에 앞서 대상이 처한 환경이나 대상간의 관계를 지각하게 하거나 상황이 종료된 후 그동안 진행된 전체 상황을 설명하는 의미를 지닌다.
롱(Long)샷은 인간이 육안으로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샷으로 볼 수 있다. 대상이나 환경 전체를 파악케 하는 작용을 하며, 클로즈 업 등과 같은 영역이 좁은 샷보다 관찰에 필요한 지속시간이 더 요구된다.
풀(Full)샷은 롱샷이 담아내는 대상 가운데 특정의 대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샷이다. 가령 한 인물의 몸동작과 얼굴 표정까지도 읽어낼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한다. 이 샷은 대상간의 관계까지도 파악되는 크기이므로, 보는 이들에게 사실감을 가져다준다.
미디엄(Medium)샷은 니(Knee)샷과 웨이스트(Waist)샷을 포함하는 크기로 근접해 있는 대상을 실제로 보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샷이다. 풀 샷이 한 사람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사실적으로 파악해주는 반면에, 미디어 샷은 두 사람이 등장하는 경우 동시에 두 사람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샷이다. 두 사람이 동일한 장소에서 대화를 나누는 경우, 투(Two) 샷 위주의 구성과 원 샷 위주의 구성이 갖는 의미는 달라진다. 전자의 경우 두 사람 간의 상호 작용이 강조되는 반면 후자의 경우 심리적 괴리감이 부각된다.
클로즈업(Close up) 샷은 바스트(Bust) 샷과 빅(Big) 클로즈 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표정으로 내면 감정을 파악할 수 있거나 어떤 대상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샷이다. 이 샷은 때로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대시켜 강조하거나 상징적인 의미작용을 하는데 롱 샷과는 달리 짧은 시간에 대상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속시간이 짧은 편이다.
익스트림 클로즈 업(eXtreme Close up) 샷은 클로즈 업의 변형 샷이다. 이 샷은 단적인 상징을 위해 사용된다. 흥분이나 긴장, 놀라움, 성욕 등의 표현을 위해 신체의 일부분 혹은 대상을 담는 것이다.
기호 표현
기호내용
ECU(eXtreme Close-up) 특정부위
흥분이나 긴장, 놀라움,
CU(close-up) 얼굴중심
친근감, 강조, 감정이입
MCU(medium close-up)
MS(medium shot; 상체)
KNEE(3/4 shot; knee shot)
대인관계
FS(full shot; 신체 전체)
사회관례
LS(Long shot)
배경, 활동범위, 공적인 거리
XLS(eXtreme Long Shot)
전체 상황 설명
(2) 카메라 움직임에 따른 의미작용
패닝(Panning)은 카메라가 수직적인 축을 중심으로 헤드를 움직이는 것으로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감으로써(Following pan) 피사체와 주위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거나 피사체의 시각에서 대상을 관찰함으로써(Surveying pan) 기대의 고조 혹은 안티 클라이막스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또한 패닝의 속도나 방향성에 일정한 패턴을 두지 않음으로써 감정의 기복을 표현하는 등 시점의 이동을 통한 의미작용에 사용된다. 느리고 유동적인 패닝은 시간의 지연으로 극적 기대감(서스펜스, 긴장감 등)을 강화시키고, 빠른 와이프 팬(wipe pan)은 긴박감과 시공적 이동에 주로 사용한다.
트래킹(Tracking)은 패닝과 유사하나 카메라 전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프레임 속에서 대상자나 관찰자가 수평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듯 한 느낌을 준다. 특히, 트래킹 샷이나 롱 샷이은 화면의 입체감을 감소시켜 몽타쥬나
사운드의 기능은 먼저 정보 제공의 기능으로 부가적 혹은 필수적 역할을 담
당한다. 즉 정확하고 효과적인 문장구사를 할 경우, 구두 언어로 영상 메시지를 보충하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분위기와 미학적 가치를 확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음향 및 음향효과는 분위기와 감정적 전후 관계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화면상의 조화를 보충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리듬은 영상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구조적 요소의 기능을 한다. 사운드와 영상의 리듬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 화면의 전체적인 구조는 통일과 안정성이 유지된다.
결국 사운드는 시청하고 있지 않은 수용자의 주의도 끌 수 있고, 화면의 순간적인 주의를 넘어서는 지속적인 주의를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이미지가 갖고 있는 현실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 인터뷰
인터뷰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이자 미디어 자신의 평판이나 신뢰성을 구축하고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인터뷰는 공중이 미디어에 접근하여 자신의 의견을 나타낼 수 있는 통로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결국 인터뷰는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화면구성이 불가능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한 제작 기술상의 이유 때문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미디어 자신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갈등적인 사건에 대해 공정한 보도를 한다는 함축적인 의미도 지닌다.
인터뷰가 대립적인 관점이 대두되는 사건에 있어서 공정성을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서로 다른 의견을 수립하여 공정성을 나타낼 수도 있고 그 아이템과 관련있는 전문가가 정리해줌으로 그 신뢰성을 높여 줄 수 있다.
4) 카메라의 움직임과 앵글에 따른 의미작용
(1) 카메라 샷에 따른 의미작용
샷이란 영상을 구성하는 기초단위로 카메라가 대상을 담아내는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어진다.
익스트림 롱(Extreme Long) 샷은 대상이 어떤 환경에 처해 있나를 밝혀주는 공간적인 준거틀(Reference Frame)로 사용되며, 다른 샷을 이해하기 위한 구축(Establishing) 샷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장소와 대상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
용하다. 가령 상황의 발생에 앞서 대상이 처한 환경이나 대상간의 관계를 지각하게 하거나 상황이 종료된 후 그동안 진행된 전체 상황을 설명하는 의미를 지닌다.
롱(Long)샷은 인간이 육안으로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샷으로 볼 수 있다. 대상이나 환경 전체를 파악케 하는 작용을 하며, 클로즈 업 등과 같은 영역이 좁은 샷보다 관찰에 필요한 지속시간이 더 요구된다.
풀(Full)샷은 롱샷이 담아내는 대상 가운데 특정의 대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샷이다. 가령 한 인물의 몸동작과 얼굴 표정까지도 읽어낼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한다. 이 샷은 대상간의 관계까지도 파악되는 크기이므로, 보는 이들에게 사실감을 가져다준다.
미디엄(Medium)샷은 니(Knee)샷과 웨이스트(Waist)샷을 포함하는 크기로 근접해 있는 대상을 실제로 보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샷이다. 풀 샷이 한 사람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사실적으로 파악해주는 반면에, 미디어 샷은 두 사람이 등장하는 경우 동시에 두 사람을 관찰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샷이다. 두 사람이 동일한 장소에서 대화를 나누는 경우, 투(Two) 샷 위주의 구성과 원 샷 위주의 구성이 갖는 의미는 달라진다. 전자의 경우 두 사람 간의 상호 작용이 강조되는 반면 후자의 경우 심리적 괴리감이 부각된다.
클로즈업(Close up) 샷은 바스트(Bust) 샷과 빅(Big) 클로즈 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표정으로 내면 감정을 파악할 수 있거나 어떤 대상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샷이다. 이 샷은 때로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대시켜 강조하거나 상징적인 의미작용을 하는데 롱 샷과는 달리 짧은 시간에 대상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속시간이 짧은 편이다.
익스트림 클로즈 업(eXtreme Close up) 샷은 클로즈 업의 변형 샷이다. 이 샷은 단적인 상징을 위해 사용된다. 흥분이나 긴장, 놀라움, 성욕 등의 표현을 위해 신체의 일부분 혹은 대상을 담는 것이다.
기호 표현
기호내용
ECU(eXtreme Close-up) 특정부위
흥분이나 긴장, 놀라움,
CU(close-up) 얼굴중심
친근감, 강조, 감정이입
MCU(medium close-up)
MS(medium shot; 상체)
KNEE(3/4 shot; knee shot)
대인관계
FS(full shot; 신체 전체)
사회관례
LS(Long shot)
배경, 활동범위, 공적인 거리
XLS(eXtreme Long Shot)
전체 상황 설명
(2) 카메라 움직임에 따른 의미작용
패닝(Panning)은 카메라가 수직적인 축을 중심으로 헤드를 움직이는 것으로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감으로써(Following pan) 피사체와 주위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거나 피사체의 시각에서 대상을 관찰함으로써(Surveying pan) 기대의 고조 혹은 안티 클라이막스를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또한 패닝의 속도나 방향성에 일정한 패턴을 두지 않음으로써 감정의 기복을 표현하는 등 시점의 이동을 통한 의미작용에 사용된다. 느리고 유동적인 패닝은 시간의 지연으로 극적 기대감(서스펜스, 긴장감 등)을 강화시키고, 빠른 와이프 팬(wipe pan)은 긴박감과 시공적 이동에 주로 사용한다.
트래킹(Tracking)은 패닝과 유사하나 카메라 전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프레임 속에서 대상자나 관찰자가 수평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듯 한 느낌을 준다. 특히, 트래킹 샷이나 롱 샷이은 화면의 입체감을 감소시켜 몽타쥬나
추천자료
방송통신융합시대 공영방송의 범주, 방송통신융합의 개념,수용자경험 변화, 방송통신융합서비...
위성방송, 위성방송사업, 위성방송정책의 개념, 위성방송, 위성방송사업, 위성방송정책의 배...
위성방송(위성방송사업)의 배경, 위성방송(위성방송사업)의 특징, 위성방송(위성방송사업)의 ...
인터넷방송의 정의, 인터넷방송의 특성, 인터넷방송의 분류, 국내 인터넷방송 현황, 인터넷방...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의 정의와 특성,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의 필요성과...
EBS교육방송의 정의, EBS교육방송의 특징, EBS교육방송 방송학습의 정의, EBS교육방송 방송학...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의 유형과 성격,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과 유아교육...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의미,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특징,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형태, ...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정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특성, 인터...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의미,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기술 동향,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교육적 기능, EBS교육방송의 활용, EBS교육방송의 여건조...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의의와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역사, 인터넷방송국의 정의, ...
시민방송(시민채널, 퍼블릭액세스채널)의 특징, 시민방송(시민채널, 퍼블릭액세스채널) 등장,...
방송유통의 시장구조형성, 방송유통의 해외시장확대, 방송유통의 프로그램유통, 방송유통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