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수관 계통의 시설의 종류와 하수관 매설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2
2. 하수처리 방법(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에 대하여 논하라........................................................ 7
3. 가좌 하수처리장의 구역 및 관망에 대하여 설명하라....... 8
4. 인천광역시 하수처리 계획 및 시설 규모 등을 논하라..... 10
5. 가정하수와 공장폐수의 처리장까지의 계통도를 설명하라.. 12
6. 하수배제방법에서 합류식과 분류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장단점을 비교하라.............................................. 12
7. 하수처리 수질기준에 대하여 설명하라................... 13
8. 가좌하수처리장의 시설규모 및 하수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15
9. 인천광역시 하수처리 현황을 보고 느낀 점 및 개선점을 적고 해양오염의 수질개선에 대한 대책등을 기술하여라........... 16
2. 하수처리 방법(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에 대하여 논하라........................................................ 7
3. 가좌 하수처리장의 구역 및 관망에 대하여 설명하라....... 8
4. 인천광역시 하수처리 계획 및 시설 규모 등을 논하라..... 10
5. 가정하수와 공장폐수의 처리장까지의 계통도를 설명하라.. 12
6. 하수배제방법에서 합류식과 분류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장단점을 비교하라.............................................. 12
7. 하수처리 수질기준에 대하여 설명하라................... 13
8. 가좌하수처리장의 시설규모 및 하수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15
9. 인천광역시 하수처리 현황을 보고 느낀 점 및 개선점을 적고 해양오염의 수질개선에 대한 대책등을 기술하여라........... 16
본문내용
로부터 불순물이나 오염성분을 분리농축해서 작은 부피로 만들어 대부분을 사용하거나 방류할 수 있는 수질의 물로 만드는 것인데, 이 물 처리 조작에 의해 분리된 불순물 등을 오니라고 한다. 오니처리 조작은 유가물(有價物)의 회수와 농축, 탈수와 건조에 의한 최종 생성물의 감량,
감용(減容), 무해화, 탈수를 위한 질전환(열적,화학적,생물화학적 수단에 의한다), 최종 생성물의 이용,처분 후의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한 가공 등의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즉, 오니처리는 배수,배기가스로 환경에 배출되는 오염물을 모아서 고형물화하여 토계(土系)로 안전하게 복원시킴으로써 수질오염,대기오염을 방지하는 과정이다. 최종 생성물의 대부분은 단순히 매립처분되고 있지만 하수오니는 영농용,원예용의 토양개량재료, 분뇨처리오니는 유기비료로, 식품가공 배수처리오니는 사료,발효원료로, 상수오니나 토목공사배수처리오니는 요업원료,성토재로 이용되고 있다. 중금속 등 유해성분을 용출할 우려가 큰 것은 지하수나 일반토양과 차단시켜 처분한다.
8. 가좌하수처리장의 시설규모 및 하수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 하수처리 과정
각 가정에서 버린 물은 하수구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오게 된다. 하수와 함께 온 흙, 모래, 각종 찌거기 등은 침사지에서 걸러진다. 하수를 침전시 키기위하여 대형펌프로 하수를 퍼올린다. 하수를 일정시간 가라 앉혀 위에 뜨는 물질과 가라앉는 물질을 분리하여 처리한다. 포기조에서는 공기를 하수에 불어넣어 미생물이 성장하여 유기물을 덩어리로 만들어 가라앉힌다. 약 3시간정도 최종침전지에 물이 머물면서 유기물덩어리는 가라앉고 위에 맑은 물은 방류지로 보내게된다.
하수처리장에서 깨끗하게 정화된다.
◆ 가좌하수처리장의 현황
일 반 현 황
시 설 현 황
위 치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598번지
면 적 : 281,437m2(8만 5천평)
배수구역 : 5,877ha
처리구역 : 3,615ha(6개구 53개동)
계획인구 : 550,000명(2001년 기준)
건설기간 : '87. 11 ~ '91. 12
(1차증설 : '94. 12 ~ '98. 2)
'92. 2. 1가동
건 설 비 : 562억 5천만원
처리용량 : 260,000m3/일
처리방법 : 표준활성오니법
처리효율
BOD : 148ppm→16ppm(89%)
SS : 149ppm→18ppm(88%)
차집관로 : 2개 Line 10km
(A-Line 4.8km, B-Line 5.2km)
펌 프 장 : 1개소(신현펌프장)
9. 인천광역시 하수처리 현황을 보고 느낀 점 및 개선점을 적고 해양오염의 수질개선에 대한 대책 등을 기술하여라.
이번 답사는 하수처리장인 가좌 환경 사업소였다. 하수처리장이라는 이름보다 환경사업소라 부르니 훨씬 부르기 거북스럽지 않은 것 같았다. 하수 처리장에도 주위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등 생각보다 주변이 깨끗하고 냄새도 나지 않았다. 먼저 하수 처리장에 대한 설명을 듣고 비디오를 시청했다. 먼저 공장이나 가정에서 나온 하수는 하수도를 통해 이곳 하수 처리장으로 들어오는데 가장먼저 최초침전지를 거치게 된다. 유입수는 이곳에서 2~3시간 머물며 SS등의 찌꺼기를 가라앉힌다.답사를 나가니 이 곳은 정말 숨을 쉬기 거북할 정도로 악취가 많이 났으며 물이 고여있는 곳이라 모기 등의 해충이 많이 날아다녀 청결성을 의심하게 했다. 그리고 폭기조로 가는데 폭기조는 말 그대로 공기를 유입해 호기성 세균으로 하여금 찌꺼기를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라, 환경친화적이면서도 B O D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폭기조에서는 확실히 많이 분해가 되어서 인지 악취 때문에 그리 거북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입수는 최종침전지를 거친다. 이곳에서 하수 찌꺼기를 먹은 미생물이 걸러지고 나면 깨끗해진 유입수는 바다로 흘러간다. 그런데 이 과정으로는 인(P)과 질소(N)를 처리할 수 없어 비가 많이와서 유기물의 함유량이 많아지는 여름철에는 부영양화로 적조현상이 발생하기 태반이라 하니 새로운 방법이 필요할 것이라 느껴졌다. 또 중금속 성분도 약간은 거를 수 있으나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고 하니 하수처리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우려되었다. 하수가 이렇게 빠져나가고 나면 걸러진 찌꺼기(오니)는 농축조로 전달된다. 그곳에서 12시간정도 농축된 오니는 소화조로 보내어 지며 이 곳에서 오니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감량화, 안정화 및 안전화 된다. 그리고 분해에 의한 메탄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는 역시 회수되어 발전에 연료로 쓰인다. 남은 슬러지는 탈수기에서 탈수되어 함수율 95 ~ 85% 이하로 낮추어 감량화 된다. 그리고 이 슬러지는 쓰레기 처리장으로 배송된다. 이렇게 모든 하수 처리 공정은 끝이 나는데 탈수 장면이나 소화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던 점이 아쉬웠다.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듣다보니 지금 인천의 바다가 크게 오염되고 있다고 한다. 이는 하수처리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하수 처리장은 각 건물의 하수관을 하수 처리장으로 연결하여 하수를 유입시켜 처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강우형태는 집중호우이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 건물주들은 하수관을 두 개를 마련해 하나는 하수처리장쪽으로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는 우수관에 연결하여 하수도가 넘칠 때 바다로 흘러나가게 하였다고 한다. 이는 바다에 여과되지 않은 하수가 흘러나가게 되어 바다를 무척 오염시키게 된다고 한다. 사람들의 이기적이고 무절제한 행동이 푸른 바다를 다시는 못보게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웠다. 하수 처리장의 최종침전지를 지나오다 보니 그 옆으로 마지막 공정까지 끝낸 유입수로 연못을 꾸며놓은 것이 보였다. 연못에는 조그마한 물고기들도 살고 있었으나 바닥이 새카맣도록 낀 이끼를 보니 역시 인과 질소의 처리공정이 시급함을 느낄 수 있었다. 아무튼 그 새까맣고 더럽던 물을 이처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고 자랑스러웠다. 우리나라의 1인당 1일 물사용량은 선진국에 비해 많고 물값은 또 다른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낮다고 한다. 수돗세에 대한 정부의 새로운 대책과 국민의 각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점이리라 생각되었다. 우선 나부터 가정에서 지켜나가야 하겠다.
감용(減容), 무해화, 탈수를 위한 질전환(열적,화학적,생물화학적 수단에 의한다), 최종 생성물의 이용,처분 후의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한 가공 등의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즉, 오니처리는 배수,배기가스로 환경에 배출되는 오염물을 모아서 고형물화하여 토계(土系)로 안전하게 복원시킴으로써 수질오염,대기오염을 방지하는 과정이다. 최종 생성물의 대부분은 단순히 매립처분되고 있지만 하수오니는 영농용,원예용의 토양개량재료, 분뇨처리오니는 유기비료로, 식품가공 배수처리오니는 사료,발효원료로, 상수오니나 토목공사배수처리오니는 요업원료,성토재로 이용되고 있다. 중금속 등 유해성분을 용출할 우려가 큰 것은 지하수나 일반토양과 차단시켜 처분한다.
8. 가좌하수처리장의 시설규모 및 하수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 하수처리 과정
각 가정에서 버린 물은 하수구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오게 된다. 하수와 함께 온 흙, 모래, 각종 찌거기 등은 침사지에서 걸러진다. 하수를 침전시 키기위하여 대형펌프로 하수를 퍼올린다. 하수를 일정시간 가라 앉혀 위에 뜨는 물질과 가라앉는 물질을 분리하여 처리한다. 포기조에서는 공기를 하수에 불어넣어 미생물이 성장하여 유기물을 덩어리로 만들어 가라앉힌다. 약 3시간정도 최종침전지에 물이 머물면서 유기물덩어리는 가라앉고 위에 맑은 물은 방류지로 보내게된다.
하수처리장에서 깨끗하게 정화된다.
◆ 가좌하수처리장의 현황
일 반 현 황
시 설 현 황
위 치 :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 598번지
면 적 : 281,437m2(8만 5천평)
배수구역 : 5,877ha
처리구역 : 3,615ha(6개구 53개동)
계획인구 : 550,000명(2001년 기준)
건설기간 : '87. 11 ~ '91. 12
(1차증설 : '94. 12 ~ '98. 2)
'92. 2. 1가동
건 설 비 : 562억 5천만원
처리용량 : 260,000m3/일
처리방법 : 표준활성오니법
처리효율
BOD : 148ppm→16ppm(89%)
SS : 149ppm→18ppm(88%)
차집관로 : 2개 Line 10km
(A-Line 4.8km, B-Line 5.2km)
펌 프 장 : 1개소(신현펌프장)
9. 인천광역시 하수처리 현황을 보고 느낀 점 및 개선점을 적고 해양오염의 수질개선에 대한 대책 등을 기술하여라.
이번 답사는 하수처리장인 가좌 환경 사업소였다. 하수처리장이라는 이름보다 환경사업소라 부르니 훨씬 부르기 거북스럽지 않은 것 같았다. 하수 처리장에도 주위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등 생각보다 주변이 깨끗하고 냄새도 나지 않았다. 먼저 하수 처리장에 대한 설명을 듣고 비디오를 시청했다. 먼저 공장이나 가정에서 나온 하수는 하수도를 통해 이곳 하수 처리장으로 들어오는데 가장먼저 최초침전지를 거치게 된다. 유입수는 이곳에서 2~3시간 머물며 SS등의 찌꺼기를 가라앉힌다.답사를 나가니 이 곳은 정말 숨을 쉬기 거북할 정도로 악취가 많이 났으며 물이 고여있는 곳이라 모기 등의 해충이 많이 날아다녀 청결성을 의심하게 했다. 그리고 폭기조로 가는데 폭기조는 말 그대로 공기를 유입해 호기성 세균으로 하여금 찌꺼기를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라, 환경친화적이면서도 B O D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폭기조에서는 확실히 많이 분해가 되어서 인지 악취 때문에 그리 거북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입수는 최종침전지를 거친다. 이곳에서 하수 찌꺼기를 먹은 미생물이 걸러지고 나면 깨끗해진 유입수는 바다로 흘러간다. 그런데 이 과정으로는 인(P)과 질소(N)를 처리할 수 없어 비가 많이와서 유기물의 함유량이 많아지는 여름철에는 부영양화로 적조현상이 발생하기 태반이라 하니 새로운 방법이 필요할 것이라 느껴졌다. 또 중금속 성분도 약간은 거를 수 있으나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고 하니 하수처리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우려되었다. 하수가 이렇게 빠져나가고 나면 걸러진 찌꺼기(오니)는 농축조로 전달된다. 그곳에서 12시간정도 농축된 오니는 소화조로 보내어 지며 이 곳에서 오니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감량화, 안정화 및 안전화 된다. 그리고 분해에 의한 메탄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는 역시 회수되어 발전에 연료로 쓰인다. 남은 슬러지는 탈수기에서 탈수되어 함수율 95 ~ 85% 이하로 낮추어 감량화 된다. 그리고 이 슬러지는 쓰레기 처리장으로 배송된다. 이렇게 모든 하수 처리 공정은 끝이 나는데 탈수 장면이나 소화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던 점이 아쉬웠다.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듣다보니 지금 인천의 바다가 크게 오염되고 있다고 한다. 이는 하수처리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하수 처리장은 각 건물의 하수관을 하수 처리장으로 연결하여 하수를 유입시켜 처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강우형태는 집중호우이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 건물주들은 하수관을 두 개를 마련해 하나는 하수처리장쪽으로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는 우수관에 연결하여 하수도가 넘칠 때 바다로 흘러나가게 하였다고 한다. 이는 바다에 여과되지 않은 하수가 흘러나가게 되어 바다를 무척 오염시키게 된다고 한다. 사람들의 이기적이고 무절제한 행동이 푸른 바다를 다시는 못보게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웠다. 하수 처리장의 최종침전지를 지나오다 보니 그 옆으로 마지막 공정까지 끝낸 유입수로 연못을 꾸며놓은 것이 보였다. 연못에는 조그마한 물고기들도 살고 있었으나 바닥이 새카맣도록 낀 이끼를 보니 역시 인과 질소의 처리공정이 시급함을 느낄 수 있었다. 아무튼 그 새까맣고 더럽던 물을 이처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고 자랑스러웠다. 우리나라의 1인당 1일 물사용량은 선진국에 비해 많고 물값은 또 다른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낮다고 한다. 수돗세에 대한 정부의 새로운 대책과 국민의 각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점이리라 생각되었다. 우선 나부터 가정에서 지켜나가야 하겠다.
추천자료
병행 처리(concurrent processing) , 동기 및 비동기성 그리고 동기화 문제의 해결방법
[입도분석]습식 전처리와 건식 전처리 및 분산 방법
5)실과-쾌적한 주거환경-재활용품을 품목별로 처리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약안)
자료조사방법과 자료 수집 및 처리
유리기구의 불확실성 - 저울 사용법과 액체를 사용하는 기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데이터 처리...
[일반화학 실험] 질량측정과 액체 옮기기 - 저울 사용법과 액체를 사용하는 기구의 사용법을 ...
[디지털 신호처리 및 실습] 잡음에 따른 sine wave의 SNR - matlab을 이용한 원하는 dB값을 ...
[지구과학시료분석] 분광분석용 암석, 광물의 시료전처리 (암석, 광물시료를 중심으로 AAS, I...
GS 홈쇼핑 분석 Analysis (E-business Model,Web디자인,레이아웃,Web 기능구조도표,Process D...
디지털 영상 조사 (디지털영상이란?, 디지털영상의 활용분야, 디지털 영상의 표현, 디지털 영...
[화학보고서-액체 옮기기]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 저울 사용법과 액체를 옮기는 기구의 ...
[아동인지발달] 아동의 인지발달 - 인지발달의 접근방법(심리측정적 접근, 발달단계적 접근, ...
가정폭력의 실태와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가정폭력 사건의 처리절차와 치료적 개입방법을 ...
학교폭력과 관련한 사례 1개를 예로 들어, 본 사안의 처리과정과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