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入口(입구): 들어가는 문.
夕 저녁 석 / 부수: 夕 / 획수: 3 / 지사자
- 月에서 1획을 빼낸 모양으로 달이 반쯤 보임으로 해서 해가 지고 달이 뜨는 과정을 의미하는 저녁이나 황혼을 뜻한다. 夕은 달의모양에서 나왔는데, 안에 있는 -는 계 수나무 한 그루를 상징하며, 해가 막 진 초저녁이기 때문에 달이 밝지 않아 계수나 무가 한 그루만 보였기 때문에 夕은 저녁을 의미한다.
- 外(바깥 외), 多(많을 다), 夜(밤 야), 夢(꿈 몽), 夙(일찍 숙)
- 夕陽(석양): 저녁 해. 夕陰(석음): 해질녘. 夕刊(석간): 저녁에 발행된 신문.
寸 마디 촌 / 부수: 寸 / 획수: 3 / 지사자
- 본래 손을 의미하는 又와 손목에서 뛰는 맥박의의미인 一이 합쳐진 글자이다. 손목
과 맥박이 뛰는 위치까지의 거리인 손가락 하나 정도를 끼울 수 있는 거리를 ‘마디’
라고 하며, 이 손가락 마디가 아니고 손가락 하나의 폭을 의미한다.
- 寺(절 사), 封(봉할 봉), 射(쏠 사), 對(상대할 대), 尊(높을 존)
- 寸數(촌수): 친족 간의 원근 관계를 나타내는 수. 寸志(촌지): 자그마한 뜻.
寸刻(촌각): 매우 짧은 시각.
方 모 방 / 부수: 方 / 획수: 4 / 상형자
- 농기구인 쟁기의 날 부분을 본뜬 글자이다. 쟁기의 보습이 앞으로 나아가야 밭을 갈아 농사를 짓기에 ‘방향’, ‘땅’ 등의 의미로 활용된다. 또한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히 붙여놓고 묶어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나란히 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 於(어조사 어), 施(베풀 시), 旅(나그네 려), 族(겨레 족), 旗(기 기)
- 方今(방금): 바로 이제. 方途(방도): 방법. 方略(방략): 꾀.
皿 그릇 명 / 부수: 皿 / 획수: 5 / 상형자
- 물건을 담는 그릇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위는 음식을 담는 부분이고, 가운데는 그릇의 몸, 아래는 그릇의 바닥을 나타내며, 그릇이나 쟁반 등의 의미로 쓰인다.
- 益(더할 익), 盛(성할 성), 盡(다할 진), 盜(도둑 도), 盟(맹세 맹)
艸 풀 초 / 부수: 艸 / 획수: 6 / 회의자
- 풀들이 여기저기에 돋아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풀의 의미를 지닌 草의 본래 자이며, 3획 부수의 이 두 개 결합해서 풀이 왕성하게 나온다는 의미로 확대된 글자이다.
- 花(꽃 화), 芽(싹 아), 茶(차 다), 草(풀 초), 菜(나물 채)
科 과목 과 / 부수: 禾 / 획수: 9 / 회의자
- 科자는 禾와 斗가 결합한 글자이다. 禾는 본래 ‘곡식’을 뜻하는 글자였으며, 여러 곡식 마다 각각의 전담 글자가 형성되면서 禾가 ‘벼’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곡식’을 뜻하는 글자는 일반적으로 ‘穀’자로 쓰게 되었다. 斗는 ‘곡식이나 술을 뜨는 국자형태의 기구’를 본뜬 글자였는데, 곡식 등의 무게를 잴 때 사용하여서 용량의 단위인 ‘말’을 뜻하는 것으로 파생되었다. 이렇게 禾와 斗가 결합하여 ‘쌀 등의 곡식의 양을 재다’는 의미를 표현한 科자는 ‘측량하다’는 뜻을 나타내었다. 측량을 하게 되면 등급을 구분할 수 있게 되므로 ‘품등, 등급’이라는 뜻이 파생되었으며, 등급이라는 것은 특정 부류끼리 구분하는 것이므로 ‘분과, 조목’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 科擧(과거): 등용을 위해 시행하던 시험. 科目(과목): 학문의 구분.
室 집 실 / 부수: / 획수: 9 / 회의자
- 室자는 자와 ‘이르다’는 뜻의 至가 결합한 ‘방’을 뜻하는 글자이다. 至는 ‘화살이 땅에 떨어져 꽂히는 형태’로 ‘도달하다, 이르다’는 뜻을 나타낸다. 室자의 갑골문에서 至는 ‘와서 머물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과 至가 결합하여 ‘와서 머무는 곳’, 즉 ‘방’을 뜻한다. 방은 한 가족이 공유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가정, 가족’의 뜻이 파생되었다.
- 室內(실내): 방 안. 皇室(황실): 황제의 집안. 圖書室(도서실).
援 도울 원 / 부수: 手 / 획수: 12 / 형성자
- 援자의 본래 초기자형은 爰자로 ‘막대나 끈을 두 사람이 서로 당기는 형태’로 ‘당기다’는 뜻을 나타낸다. 후에 ‘발어사’ 등으로 가차되어 사용되자, 그 의미를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해 손을 뜻하는 를 부가한 援자로 ‘끌어당기다’는 뜻을 나타내어 ‘구원하다, 돕다’는 뜻으로도 사용되었다. 다른 사람을 도와줄 때 일반적으로 손을 건네는데 이것은 나보다 뒤쳐진 사람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끌어당겨주려는 행위이다.
- 救援(구원): 도와 건져 줌. 後援(후원): 뒤에서 도와 줌. 援助(원조): 도와 줌.
嫉 미워할 질 / 부수: 女 / 획수: 13 / 형성자
- 女와 疾로 구성된 글자이며, 疾은 嫉자의 글자의 발음을 표시한다. 질병이라는 뜻의 疾자의 갑골문은 사람이 화살을 맞아 상처를 입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질병은 고통을 동반하므로 疾자는 ‘고통스럽다’는 뜻으로도 사용되었으며, 고통과 질병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므로 ‘싫어하다, 미워하다’는 뜻이 파생되어 사용되었다. 마음과 시기가 여성의 전유물이 아닌 게 분명하지만, 고대 사회에서 문필이 고귀한 품행과 덕성을 지닌 군자들에게 자유로운 것이었으니, 다른 女자와 결합한 부정적인 뜻을 지닌 글자들과 마찬가지로 男자와의 결합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 嫉妬(질투): 시기하고 미워함. 嫉視(질시): 흘겨 봄. 憎嫉(증질): 미워하고 질투함.
則 법칙 칙 / 부수: 刀 / 획수: 9 / 회의자
- 則자는 본래 세 발 달린 솥을 뜻하는 鼎과 가 결합한 글자로, 소전시기에 형태가 간략하게 되면서 鼎이 형태가 유사한 貝로 되었다. 則자의 초기자형은 ‘규범에 따라 鼎의 모양을 칼()로 다듬어내는 것’을 뜻한다. 鼎은 고대 중국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그릇이었으며, 공적을 세운 사람이 받는 하사품이기도 하였다. 또 한 나라의 권력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신성한 鼎은 당연히 규범에 맞게 제작되어야했다. 이런 뜻에서 則자는 ‘준칙, 모범’의 뜻으로 쓰였으며, 후에 부사 ‘곧, 즉’의 뜻으로 가차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 規則(규칙):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한 법칙. 法則(법칙): 꼭 지켜야만 하는 규범. 原則(원칙): 근본이 되는 법칙.
夕 저녁 석 / 부수: 夕 / 획수: 3 / 지사자
- 月에서 1획을 빼낸 모양으로 달이 반쯤 보임으로 해서 해가 지고 달이 뜨는 과정을 의미하는 저녁이나 황혼을 뜻한다. 夕은 달의모양에서 나왔는데, 안에 있는 -는 계 수나무 한 그루를 상징하며, 해가 막 진 초저녁이기 때문에 달이 밝지 않아 계수나 무가 한 그루만 보였기 때문에 夕은 저녁을 의미한다.
- 外(바깥 외), 多(많을 다), 夜(밤 야), 夢(꿈 몽), 夙(일찍 숙)
- 夕陽(석양): 저녁 해. 夕陰(석음): 해질녘. 夕刊(석간): 저녁에 발행된 신문.
寸 마디 촌 / 부수: 寸 / 획수: 3 / 지사자
- 본래 손을 의미하는 又와 손목에서 뛰는 맥박의의미인 一이 합쳐진 글자이다. 손목
과 맥박이 뛰는 위치까지의 거리인 손가락 하나 정도를 끼울 수 있는 거리를 ‘마디’
라고 하며, 이 손가락 마디가 아니고 손가락 하나의 폭을 의미한다.
- 寺(절 사), 封(봉할 봉), 射(쏠 사), 對(상대할 대), 尊(높을 존)
- 寸數(촌수): 친족 간의 원근 관계를 나타내는 수. 寸志(촌지): 자그마한 뜻.
寸刻(촌각): 매우 짧은 시각.
方 모 방 / 부수: 方 / 획수: 4 / 상형자
- 농기구인 쟁기의 날 부분을 본뜬 글자이다. 쟁기의 보습이 앞으로 나아가야 밭을 갈아 농사를 짓기에 ‘방향’, ‘땅’ 등의 의미로 활용된다. 또한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히 붙여놓고 묶어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나란히 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 於(어조사 어), 施(베풀 시), 旅(나그네 려), 族(겨레 족), 旗(기 기)
- 方今(방금): 바로 이제. 方途(방도): 방법. 方略(방략): 꾀.
皿 그릇 명 / 부수: 皿 / 획수: 5 / 상형자
- 물건을 담는 그릇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위는 음식을 담는 부분이고, 가운데는 그릇의 몸, 아래는 그릇의 바닥을 나타내며, 그릇이나 쟁반 등의 의미로 쓰인다.
- 益(더할 익), 盛(성할 성), 盡(다할 진), 盜(도둑 도), 盟(맹세 맹)
艸 풀 초 / 부수: 艸 / 획수: 6 / 회의자
- 풀들이 여기저기에 돋아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풀의 의미를 지닌 草의 본래 자이며, 3획 부수의 이 두 개 결합해서 풀이 왕성하게 나온다는 의미로 확대된 글자이다.
- 花(꽃 화), 芽(싹 아), 茶(차 다), 草(풀 초), 菜(나물 채)
科 과목 과 / 부수: 禾 / 획수: 9 / 회의자
- 科자는 禾와 斗가 결합한 글자이다. 禾는 본래 ‘곡식’을 뜻하는 글자였으며, 여러 곡식 마다 각각의 전담 글자가 형성되면서 禾가 ‘벼’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곡식’을 뜻하는 글자는 일반적으로 ‘穀’자로 쓰게 되었다. 斗는 ‘곡식이나 술을 뜨는 국자형태의 기구’를 본뜬 글자였는데, 곡식 등의 무게를 잴 때 사용하여서 용량의 단위인 ‘말’을 뜻하는 것으로 파생되었다. 이렇게 禾와 斗가 결합하여 ‘쌀 등의 곡식의 양을 재다’는 의미를 표현한 科자는 ‘측량하다’는 뜻을 나타내었다. 측량을 하게 되면 등급을 구분할 수 있게 되므로 ‘품등, 등급’이라는 뜻이 파생되었으며, 등급이라는 것은 특정 부류끼리 구분하는 것이므로 ‘분과, 조목’ 등의 뜻으로 파생되었다.
- 科擧(과거): 등용을 위해 시행하던 시험. 科目(과목): 학문의 구분.
室 집 실 / 부수: / 획수: 9 / 회의자
- 室자는 자와 ‘이르다’는 뜻의 至가 결합한 ‘방’을 뜻하는 글자이다. 至는 ‘화살이 땅에 떨어져 꽂히는 형태’로 ‘도달하다, 이르다’는 뜻을 나타낸다. 室자의 갑골문에서 至는 ‘와서 머물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과 至가 결합하여 ‘와서 머무는 곳’, 즉 ‘방’을 뜻한다. 방은 한 가족이 공유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가정, 가족’의 뜻이 파생되었다.
- 室內(실내): 방 안. 皇室(황실): 황제의 집안. 圖書室(도서실).
援 도울 원 / 부수: 手 / 획수: 12 / 형성자
- 援자의 본래 초기자형은 爰자로 ‘막대나 끈을 두 사람이 서로 당기는 형태’로 ‘당기다’는 뜻을 나타낸다. 후에 ‘발어사’ 등으로 가차되어 사용되자, 그 의미를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해 손을 뜻하는 를 부가한 援자로 ‘끌어당기다’는 뜻을 나타내어 ‘구원하다, 돕다’는 뜻으로도 사용되었다. 다른 사람을 도와줄 때 일반적으로 손을 건네는데 이것은 나보다 뒤쳐진 사람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끌어당겨주려는 행위이다.
- 救援(구원): 도와 건져 줌. 後援(후원): 뒤에서 도와 줌. 援助(원조): 도와 줌.
嫉 미워할 질 / 부수: 女 / 획수: 13 / 형성자
- 女와 疾로 구성된 글자이며, 疾은 嫉자의 글자의 발음을 표시한다. 질병이라는 뜻의 疾자의 갑골문은 사람이 화살을 맞아 상처를 입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질병은 고통을 동반하므로 疾자는 ‘고통스럽다’는 뜻으로도 사용되었으며, 고통과 질병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므로 ‘싫어하다, 미워하다’는 뜻이 파생되어 사용되었다. 마음과 시기가 여성의 전유물이 아닌 게 분명하지만, 고대 사회에서 문필이 고귀한 품행과 덕성을 지닌 군자들에게 자유로운 것이었으니, 다른 女자와 결합한 부정적인 뜻을 지닌 글자들과 마찬가지로 男자와의 결합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 嫉妬(질투): 시기하고 미워함. 嫉視(질시): 흘겨 봄. 憎嫉(증질): 미워하고 질투함.
則 법칙 칙 / 부수: 刀 / 획수: 9 / 회의자
- 則자는 본래 세 발 달린 솥을 뜻하는 鼎과 가 결합한 글자로, 소전시기에 형태가 간략하게 되면서 鼎이 형태가 유사한 貝로 되었다. 則자의 초기자형은 ‘규범에 따라 鼎의 모양을 칼()로 다듬어내는 것’을 뜻한다. 鼎은 고대 중국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그릇이었으며, 공적을 세운 사람이 받는 하사품이기도 하였다. 또 한 나라의 권력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신성한 鼎은 당연히 규범에 맞게 제작되어야했다. 이런 뜻에서 則자는 ‘준칙, 모범’의 뜻으로 쓰였으며, 후에 부사 ‘곧, 즉’의 뜻으로 가차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 規則(규칙):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한 법칙. 法則(법칙): 꼭 지켜야만 하는 규범. 原則(원칙): 근본이 되는 법칙.
추천자료
[국어 임용고시]문법 - 논쟁문제 정리 서브노트
재혼에 관해서
용비어천가 형태소분석
이혼과 재혼에 대하여
<용비어천가> 해석 및 분석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3장
맞춤법과표준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3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