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본문내용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1장
海東 六龍이1) 샤2) 일마다3) 天福이시니4)
古聖이5) 同符시니6)
< 분석 >
1) 海東 六龍이 : 해동육룡(체언) + 이(주격조사, 한자표기, 받침 있음)
2) 샤 : (‘다(날다)’의 어간) + (조성모음(양성)) + 샤(주체존대 부사형 어미)
3) 일마다 : 일(체언) + 마다(‘낱낱이 모두’, 보조사)
4) 天福이시니 : 천복(체언 ;하늘에서 내린 복) + 이(지정사) + 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 + 니(종결어미)
5) 古聖이 : 고성(체언 ;옛 성인) + 이(주격조사, 한자표기, 받침 있음)
6) 同符시니 : 동부(체언 ;똑같이 들어맞음) + (‘다(하다)’의 어간) + 시(주체존대 선 어말어미) + 니(종결어미)
< 현대역 >
해동 육룡이 나시어 (하는) 일마다 하늘의 복이시니.
고성이 꼭 맞으시니.
해동(우리나라)의 여섯 용(임금)이 나시어 그 행동하신 일(개국창업)마다 모두 하늘이 내리신 복이시니.
그러므로 옛날의 성인(중국의 개국 성군)의 하신 일들과 부절을 합친 것처럼 꼭 맞으시니.
2장
불휘1) 기픈2) 남3) 매4) 아니5) 뮐6) 곶 됴코7) 여름8) 하니9)
미10) 기픈11) 므른12) 래13) 아니14) 그츨15) 내히16) 이러17)
바래18) 가니19)
< 분석 >
1) 불휘 : 불휘(‘뿌리’, 체언) + [주격조사 ‘ㅣ’ 생략]
2) 기픈 : 깊(‘깊다’의 어간) + 은(관형사형 어미)
3) 남 : 남ㄱ(‘나무’, ㄱ곡용체언) + (보조사)
4) 매 : (‘바람’, 체언) + 애(처소격조사, 모음조화(양성))
5) 아니 : 아니(부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냄)
6) 뮐 : 뮈(‘뮈다(움직이다)’의 어간) + ㄹ(원인,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7) 곶 됴코 : 곶(‘꽃’, 체언) + 됴코(‘좋고’, ‘ㅎ+ㄱ’이 ‘ㅋ’으로 축약)
8) 여름 : 여름(‘열매’의 명사형)
9) 하니 : 하(‘하다(많다)’의 어간) + 니(종결어미)
10) 미 : (‘샘’, 체언) + 이(주격조사, 한글표기, 받침 있음)
11) 기픈 : 깊(‘깊다’의 어간) + 은(관형사형 어미)
12) 므른 : 믈(‘물’, 체언) + 은(관형사형 어미)
13) 래 : (‘다(가물다)’의 어간) + 애(처소격조사, 모음조화(양성))
14) 아니 : 아니(부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냄)
15) 그츨 :
1장
海東 六龍이1) 샤2) 일마다3) 天福이시니4)
古聖이5) 同符시니6)
< 분석 >
1) 海東 六龍이 : 해동육룡(체언) + 이(주격조사, 한자표기, 받침 있음)
2) 샤 : (‘다(날다)’의 어간) + (조성모음(양성)) + 샤(주체존대 부사형 어미)
3) 일마다 : 일(체언) + 마다(‘낱낱이 모두’, 보조사)
4) 天福이시니 : 천복(체언 ;하늘에서 내린 복) + 이(지정사) + 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 + 니(종결어미)
5) 古聖이 : 고성(체언 ;옛 성인) + 이(주격조사, 한자표기, 받침 있음)
6) 同符시니 : 동부(체언 ;똑같이 들어맞음) + (‘다(하다)’의 어간) + 시(주체존대 선 어말어미) + 니(종결어미)
< 현대역 >
해동 육룡이 나시어 (하는) 일마다 하늘의 복이시니.
고성이 꼭 맞으시니.
해동(우리나라)의 여섯 용(임금)이 나시어 그 행동하신 일(개국창업)마다 모두 하늘이 내리신 복이시니.
그러므로 옛날의 성인(중국의 개국 성군)의 하신 일들과 부절을 합친 것처럼 꼭 맞으시니.
2장
불휘1) 기픈2) 남3) 매4) 아니5) 뮐6) 곶 됴코7) 여름8) 하니9)
미10) 기픈11) 므른12) 래13) 아니14) 그츨15) 내히16) 이러17)
바래18) 가니19)
< 분석 >
1) 불휘 : 불휘(‘뿌리’, 체언) + [주격조사 ‘ㅣ’ 생략]
2) 기픈 : 깊(‘깊다’의 어간) + 은(관형사형 어미)
3) 남 : 남ㄱ(‘나무’, ㄱ곡용체언) + (보조사)
4) 매 : (‘바람’, 체언) + 애(처소격조사, 모음조화(양성))
5) 아니 : 아니(부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냄)
6) 뮐 : 뮈(‘뮈다(움직이다)’의 어간) + ㄹ(원인,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7) 곶 됴코 : 곶(‘꽃’, 체언) + 됴코(‘좋고’, ‘ㅎ+ㄱ’이 ‘ㅋ’으로 축약)
8) 여름 : 여름(‘열매’의 명사형)
9) 하니 : 하(‘하다(많다)’의 어간) + 니(종결어미)
10) 미 : (‘샘’, 체언) + 이(주격조사, 한글표기, 받침 있음)
11) 기픈 : 깊(‘깊다’의 어간) + 은(관형사형 어미)
12) 므른 : 믈(‘물’, 체언) + 은(관형사형 어미)
13) 래 : (‘다(가물다)’의 어간) + 애(처소격조사, 모음조화(양성))
14) 아니 : 아니(부사,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나타냄)
15) 그츨 :
추천자료
전계소설의 특징, 연암 박지원에 대해 알아본 후 『호질』과 『허생전』의 분석을 통해 그의 ...
[고등학교교육]고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고등학교 인터넷활용수업, 고등학교 프...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 개정중점, 수능시험(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 내용, 수능...
[여성흡연][불임][임신][피부미용][여성흡연의 예방방안]여성흡연의 현황, 여성흡연의 영향, ...
대중문화 정의, 배경, 특징, 성격, 영향, 정보사회 도래, 문화적 변화, 미래 정보 사회, 변화...
[교육철학적쟁점] 교육현장에서 교육방향에 대한 외재적 목적과 내재적 목적에 대한 쟁점 분...
[시 청포도]시인 이육사 시 청포도의 원문, 시인 이육사 시 청포도의 이미지, 시인 이육사 시...
[허균 소설][소설 홍길동전]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사상, 허균 소...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 특징, 원생몽유록 시대적 배경, 원생몽유록 구조, 원생몽유록 현실...
[한자구조, 한자구조와 한자어, 한자구조와 부건, 한자구조와 어근, 한자구조와 필획, 한자구...
[기공, 기, 기공 정의, 기공 분류, 기공과 기공법, 기공과 기공수련, 기공법, 기공수련, 명상...
[영상촬영작품(영화촬영작품), 기획, 시나리오]영상촬영작품(영화촬영작품)과 기획, 영상촬영...
[정치사회적 태도][정치][사회][태도][종교]정치사회적 태도와 시민사회변화, 정치사회적 태...
에니어그램(Enneagram)의 개요,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 네니어그램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