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교회 찬송가 편집사
서 론
본 론
제 1 장 초기선교기의 찬송가들
가. 찬미가(1892) - 북감리교 선교부 존스와 로스와일러 편찬 간행
나. 찬양가(1894) - 언더우드 간행
다. [찬셩시](1895) - 북장로교 선교부 그레함 리와 기포드 부인 편집 간행
라. [복음찬미](1899) - 말콤 팬위크 편, 동아기독-- 발행
마. [셩회숑가] 성회송가(1903) - 대영국종고성공회 발행
바. [복음가](1907) - 동양선교회 편
사. [구세군가](1908) - 호가드 편
아. [예수재강림찬미가](1911)
자. [죠션어셩가](1924) - 뮈텔
서 론
본 론
제 1 장 초기선교기의 찬송가들
가. 찬미가(1892) - 북감리교 선교부 존스와 로스와일러 편찬 간행
나. 찬양가(1894) - 언더우드 간행
다. [찬셩시](1895) - 북장로교 선교부 그레함 리와 기포드 부인 편집 간행
라. [복음찬미](1899) - 말콤 팬위크 편, 동아기독-- 발행
마. [셩회숑가] 성회송가(1903) - 대영국종고성공회 발행
바. [복음가](1907) - 동양선교회 편
사. [구세군가](1908) - 호가드 편
아. [예수재강림찬미가](1911)
자. [죠션어셩가](1924) - 뮈텔
본문내용
art)의 문를 더 중요하게 본것이다. 성시의 구성에 성숙미는 아득하였다.
여기서 고려해야할 문제는 1895년경 한글의 어법, 문법의 체계화전이며, 한글 문어문의 쓰여진 시초라는 것이다.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말대로, 신구약과 찬송가 번역으로 인해 “비로소 한글의 권위가 생기고 또 보급”되었다는 사실이다. 한국기독교의 마음밭에 썩텄던 기독교의신앙이 시작되었던 시기임을 알아야 한다.
찬양가는 중판을 거듭, 1900년 46판 182장 수록의 새 체계로 증보하고 있었다.
다. [찬셩시](1895) - 북장로교 선교부 그레함 리와 기포드 부인 편집 간행
장로교의 전용 찬송가로 발행은 북장로교 선교부이다. 초기 54장의 수록이었지만, 중판을 계속하여 1900년에는 87장의 편성, 영국(33), 미국(22), 한국, 독일, 일본, 각각 1, 순수 창장 2 미상 23곡등이 있다. 찬셩시는 장로교회의 지역 갈등과도 연관이 있는 찬송가이다. Ibid., p. 38. 참조.
찬셩시 낯선 한문 투의 글이 서북의 평속한 일상의 언어 속에 함께 끼워진 번역의 황잡이 심했으나. 그래도 즐겨 익히 불리어지는 것을 보고는 토착 찬송가의 출현에 대한 요청이 한결 간결해
여기서 고려해야할 문제는 1895년경 한글의 어법, 문법의 체계화전이며, 한글 문어문의 쓰여진 시초라는 것이다. 이광수(李光洙, 1892-1950)의 말대로, 신구약과 찬송가 번역으로 인해 “비로소 한글의 권위가 생기고 또 보급”되었다는 사실이다. 한국기독교의 마음밭에 썩텄던 기독교의신앙이 시작되었던 시기임을 알아야 한다.
찬양가는 중판을 거듭, 1900년 46판 182장 수록의 새 체계로 증보하고 있었다.
다. [찬셩시](1895) - 북장로교 선교부 그레함 리와 기포드 부인 편집 간행
장로교의 전용 찬송가로 발행은 북장로교 선교부이다. 초기 54장의 수록이었지만, 중판을 계속하여 1900년에는 87장의 편성, 영국(33), 미국(22), 한국, 독일, 일본, 각각 1, 순수 창장 2 미상 23곡등이 있다. 찬셩시는 장로교회의 지역 갈등과도 연관이 있는 찬송가이다. Ibid., p. 38. 참조.
찬셩시 낯선 한문 투의 글이 서북의 평속한 일상의 언어 속에 함께 끼워진 번역의 황잡이 심했으나. 그래도 즐겨 익히 불리어지는 것을 보고는 토착 찬송가의 출현에 대한 요청이 한결 간결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