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예수그리스도의 본성
1. 교회 교리에 포함된 요점
2. ‘본성’(nature)과 `인격`(person)
1) 본성--본질(essence), 실체(substance)
2) 인격
3) 신성과 인성 간의 연합
4) 성경적 근거
Ⅲ. 예수그리스도의 재림
Ⅳ. 예수그리스도의 부활
1. 시체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2. 수의가 헝클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3. 부활하신 주님이 나타났다
4. 증거는 제자들의 변화이다
Ⅴ. 예수그리스도의 속죄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Ⅵ. 예수그리스도의 율법
Ⅶ. 예수그리스도와 성육신
1. 성육신의 주체
2. 성경의 증언
1) 구약의 예언
2) 신약의 증언
3) 성육신의 중요성
4) 성육신의 목적
5) 성육신의 필연성
6) 성육신으로 초래된 변화
7) 생기한 변동
8) 인류의 일원이 되심
Ⅷ. 예수그리스도와 적그리스도
1. 적그리스도의 의미
1) 그리스도는 위로부터 오셨다(요6:38)
2)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오셨다(요5:43)
3) 그리스도는 자신을 낮추셨다(빌2:8)
4) 그리스도는 멸시를 받으셨다(사53:3; 눅23:18)
5) 그리스도는 높임을 받으셨다(빌2:9)
6)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뜻을 행하기 위해 오셨다(요6:38)
7) 그리스도는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눅19:10)
8) 그리스도는 선한 목자이시다(요10:4-15)
9) 그리스도는 참포도나무이시다(요15:11)
10) 그리스도는 진리이시다(요14:6)
11) 그리스도는 거룩한 분이시다(막1:24)
12) 그리스도는 슬픔의 사람이시다(사53:3)
13)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시다(눅1:35)
14) 그리스도는 “경건의 신비”로서 육체로 나타나신 하나님이시다(딤전3:16).
2. 적그리스도의 기원
1) 이사야의 예언
2) 다니엘의 예견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예수그리스도의 본성
1. 교회 교리에 포함된 요점
2. ‘본성’(nature)과 `인격`(person)
1) 본성--본질(essence), 실체(substance)
2) 인격
3) 신성과 인성 간의 연합
4) 성경적 근거
Ⅲ. 예수그리스도의 재림
Ⅳ. 예수그리스도의 부활
1. 시체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2. 수의가 헝클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3. 부활하신 주님이 나타났다
4. 증거는 제자들의 변화이다
Ⅴ. 예수그리스도의 속죄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Ⅵ. 예수그리스도의 율법
Ⅶ. 예수그리스도와 성육신
1. 성육신의 주체
2. 성경의 증언
1) 구약의 예언
2) 신약의 증언
3) 성육신의 중요성
4) 성육신의 목적
5) 성육신의 필연성
6) 성육신으로 초래된 변화
7) 생기한 변동
8) 인류의 일원이 되심
Ⅷ. 예수그리스도와 적그리스도
1. 적그리스도의 의미
1) 그리스도는 위로부터 오셨다(요6:38)
2)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오셨다(요5:43)
3) 그리스도는 자신을 낮추셨다(빌2:8)
4) 그리스도는 멸시를 받으셨다(사53:3; 눅23:18)
5) 그리스도는 높임을 받으셨다(빌2:9)
6)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뜻을 행하기 위해 오셨다(요6:38)
7) 그리스도는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눅19:10)
8) 그리스도는 선한 목자이시다(요10:4-15)
9) 그리스도는 참포도나무이시다(요15:11)
10) 그리스도는 진리이시다(요14:6)
11) 그리스도는 거룩한 분이시다(막1:24)
12) 그리스도는 슬픔의 사람이시다(사53:3)
13)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시다(눅1:35)
14) 그리스도는 “경건의 신비”로서 육체로 나타나신 하나님이시다(딤전3:16).
2. 적그리스도의 기원
1) 이사야의 예언
2) 다니엘의 예견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스도와 적그리스도
1. 적그리스도의 의미
예언을 공부하는데 있어 이제까지 우리는 “그리스도의 재림”에 역점을 두어 왔지만 그리스도의 재림과 같이 중대한 두 다른 “인물”이 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첫 번째는 적그리스도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는 사탄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신구약 성경 모두에서 “마지막 때”에 나타나게 될 “신비스럽고 무서운 인물” 에 대하여 듣게 된다. 그는 여러 많은 이름들과 가명(또는 별칭)으로 묘사되고 있기 때문에 이 이름들과 그 이름들이 묘사하고 있는 그 인물에 관한 주의 깊은 연구와 비교를 통해서만이 그것이 한 사람, 곧 동일한 인물을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약에서>
이사야
14: 4 - “바빌론 왕”
14:12 - “루시퍼”
다니엘
7:8, 8:9 - “작은 뿔”
8:23 - “사나운 용모의 왕”
9:26 - “장차 올 왕”
11:36 - “사악한 왕”
<신약에서>
바 울
살후2:3-8 - “죄의 사람”,
- “멸망의 아들”,
- “불법자”
요 한
요일2:18 - “적그리스도”
계시록13:1 - “짐승”
예수님께서도 적그리스도에 대하여 예언적인 언급을 하셨다.
내가 내 아버지의 이름으로 왔으나 너희가 나를 영접하지 아니하는도다. 만일 다른 사람이 자기 이름으로 오면 너희는 그를 영접하리라(요5:43).
유대인들은 예수를 그들의 메시아로서 거절하였으나, 적그리스도가 올 때에는 그를 자신들의 메시아로 영접할 것이다.
초대교회는 적그리스도가 하나의 “인격”, 곧 인간의 모독스러움과 사악함의 화신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12세기 말경으로 가면서 많은 사람들이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간주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런 관점은 주로 개신교 주석가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 관점에 대한 견해들은 독창적이며 그럴 듯 하지만, 그런 주장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조화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관점은 적그리스도를 한 인격으로보다는 “체제”로 여기고, 적그리스도를 “교황 체제“ 안에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이를 반증한다.
(1) 사도 요한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부인하는 자 외에 누가 거짓말쟁이뇨? 아버지와 아들을 부인하는 자가 곧 적그리스도니라(요일2:22),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지 아니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요일4:3).
유대주의는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부인해 왔고, 유니테리온주의(Unitarianism)는 그 분이 “육체로 오심”을 부인한다. 그러나 교황제는 결코 그렇지 않다. 로마 교회는 항상 “나는 하늘과 땅의 창조자이신,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와 그 분의 유일한 아들 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고백한다.
(2) 모든 개신교 주석가들은 “교황체제”가 요한계시록 17:4,5에서 “자주색과 진홍색 옷을 입고, 금과 보석과 진주로 장식한 여자의 모형”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분명히 사실이지만 “창녀들의 어미”인 이 “여자”는 일반적으로 적그리스도라고 인정되어지는 “한 짐승” 위에 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만일 그 “짐승”이 적그리스도라면 그 “여자”는 적그리스도가 될 수 없고, 그 둘은 별개이며, 똑같은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3) 다시 적그리스도는 “죄의 사람”으로서 다음과 같이 할 것이다.
모든 신보다 자기를 높이고(단11:36,37).
하나님의 성전에 앉아 하나님처럼 보여 자신을 하나님이라고 하느니라.(살후2:4).
그렇지만 거짓되고 불경건한 교황체제는 항상 하나님께 대한 그들의 복종을 서약하고, 교황의 주된 주장은 “그리스도의 대사”라고 하는 것이다.
(4) 온 세상이 기이히 여겨 그 짐승(적그리스도)을 따르더라. 사람들이 그 짐승에게 권세를 준 용(마귀)에게 경배하고...(계13:3,4).
“교황체제”는 “동정녀”(마리아)와 “성인”들을 숭배하지만, 마귀를 숭배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5) 누구든지 그 짐승과 그의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표를 자기 이마나 손에 받는다면 그 역시 하나님의 진노의 포도주를 마시게 되리니. . . 또 그 사람은 거룩한 천사들과 어린 양의 임재 가운데 불과 유황으로 고통을 받으리니 그 고통의 연기가 영원 무궁토록 올라가리라. 그 짐승과 그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이름의 표를 받는 자는 누구든지 밤낮 쉼을 얻지 못하리라(계14:9-11).
만일 위의 구절에 따라 “교황체제”가 적그리스도라면, 요한계시록14:9-11에 근거할 때 교황체제를 경배하는 모든 사람들은 구원받는 대신에 영원한 고통에 이르는 운명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적그리스도를 멸하시는 그리스도께서는 예루살렘에 오시지, “교황체제”의 자리가 있는 로마에 오시지 않는다. 적그리스도를 “예시해 주는” 로마교회의 역사와 로마교회의 교황들은 그 행위 속에 이런 많은 것들이 있지만, “교황체제”는 적그리스도가 결코 아니며, 이러한 성경구절들은 오로지 어떤 개인으로서 나타나게 될 인격 속에서만 성취되어지리라는 것은 앞선 성경 구절들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적그리스도는 그리스도의 경쟁자나 모조된 그리스도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자이다. 우리는 이것을 다음과 같은 대조를 통해 그리스도와 그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
1) 그리스도는 위로부터 오셨다(요6:38)
적그리스도는 구렁으로부터 올라온다(계11:7).
2)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오셨다(요5:43)
적그리스도는 자기의 이름으로 온다(요5:43).
3) 그리스도는 자신을 낮추셨다(빌2:8)
적그리스도는 자신을 높인다(고후2:4).
4) 그리스도는 멸시를 받으셨다(사53:3; 눅23:18)
적그리스도는 칭송 받는다(계13:3,4).
5) 그리스도는 높임을 받으셨다(빌2:9)
적그리스도는 불 못에 던져진다(사14:14,15; 계19:20).
6)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뜻을 행하기 위해 오셨다(요6:38)
적그리스도는 자기 자신의 뜻을 행하러 온다(단11:36).
7) 그리스도는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눅19:10)
적그리스도는 멸망시키기 위해 온다(단8:24).
8) 그리스도는 선한 목자이시다(요10:4-15)
적그리스도는 어리석은 목자이다(
1. 적그리스도의 의미
예언을 공부하는데 있어 이제까지 우리는 “그리스도의 재림”에 역점을 두어 왔지만 그리스도의 재림과 같이 중대한 두 다른 “인물”이 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첫 번째는 적그리스도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는 사탄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신구약 성경 모두에서 “마지막 때”에 나타나게 될 “신비스럽고 무서운 인물” 에 대하여 듣게 된다. 그는 여러 많은 이름들과 가명(또는 별칭)으로 묘사되고 있기 때문에 이 이름들과 그 이름들이 묘사하고 있는 그 인물에 관한 주의 깊은 연구와 비교를 통해서만이 그것이 한 사람, 곧 동일한 인물을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약에서>
이사야
14: 4 - “바빌론 왕”
14:12 - “루시퍼”
다니엘
7:8, 8:9 - “작은 뿔”
8:23 - “사나운 용모의 왕”
9:26 - “장차 올 왕”
11:36 - “사악한 왕”
<신약에서>
바 울
살후2:3-8 - “죄의 사람”,
- “멸망의 아들”,
- “불법자”
요 한
요일2:18 - “적그리스도”
계시록13:1 - “짐승”
예수님께서도 적그리스도에 대하여 예언적인 언급을 하셨다.
내가 내 아버지의 이름으로 왔으나 너희가 나를 영접하지 아니하는도다. 만일 다른 사람이 자기 이름으로 오면 너희는 그를 영접하리라(요5:43).
유대인들은 예수를 그들의 메시아로서 거절하였으나, 적그리스도가 올 때에는 그를 자신들의 메시아로 영접할 것이다.
초대교회는 적그리스도가 하나의 “인격”, 곧 인간의 모독스러움과 사악함의 화신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12세기 말경으로 가면서 많은 사람들이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간주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런 관점은 주로 개신교 주석가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 관점에 대한 견해들은 독창적이며 그럴 듯 하지만, 그런 주장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조화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관점은 적그리스도를 한 인격으로보다는 “체제”로 여기고, 적그리스도를 “교황 체제“ 안에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이를 반증한다.
(1) 사도 요한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부인하는 자 외에 누가 거짓말쟁이뇨? 아버지와 아들을 부인하는 자가 곧 적그리스도니라(요일2:22),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시인하지 아니하는 모든 영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적그리스도의 영이니라(요일4:3).
유대주의는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부인해 왔고, 유니테리온주의(Unitarianism)는 그 분이 “육체로 오심”을 부인한다. 그러나 교황제는 결코 그렇지 않다. 로마 교회는 항상 “나는 하늘과 땅의 창조자이신,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와 그 분의 유일한 아들 되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고백한다.
(2) 모든 개신교 주석가들은 “교황체제”가 요한계시록 17:4,5에서 “자주색과 진홍색 옷을 입고, 금과 보석과 진주로 장식한 여자의 모형”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분명히 사실이지만 “창녀들의 어미”인 이 “여자”는 일반적으로 적그리스도라고 인정되어지는 “한 짐승” 위에 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만일 그 “짐승”이 적그리스도라면 그 “여자”는 적그리스도가 될 수 없고, 그 둘은 별개이며, 똑같은 것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3) 다시 적그리스도는 “죄의 사람”으로서 다음과 같이 할 것이다.
모든 신보다 자기를 높이고(단11:36,37).
하나님의 성전에 앉아 하나님처럼 보여 자신을 하나님이라고 하느니라.(살후2:4).
그렇지만 거짓되고 불경건한 교황체제는 항상 하나님께 대한 그들의 복종을 서약하고, 교황의 주된 주장은 “그리스도의 대사”라고 하는 것이다.
(4) 온 세상이 기이히 여겨 그 짐승(적그리스도)을 따르더라. 사람들이 그 짐승에게 권세를 준 용(마귀)에게 경배하고...(계13:3,4).
“교황체제”는 “동정녀”(마리아)와 “성인”들을 숭배하지만, 마귀를 숭배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5) 누구든지 그 짐승과 그의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표를 자기 이마나 손에 받는다면 그 역시 하나님의 진노의 포도주를 마시게 되리니. . . 또 그 사람은 거룩한 천사들과 어린 양의 임재 가운데 불과 유황으로 고통을 받으리니 그 고통의 연기가 영원 무궁토록 올라가리라. 그 짐승과 그 형상에게 경배하고 그의 이름의 표를 받는 자는 누구든지 밤낮 쉼을 얻지 못하리라(계14:9-11).
만일 위의 구절에 따라 “교황체제”가 적그리스도라면, 요한계시록14:9-11에 근거할 때 교황체제를 경배하는 모든 사람들은 구원받는 대신에 영원한 고통에 이르는 운명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적그리스도를 멸하시는 그리스도께서는 예루살렘에 오시지, “교황체제”의 자리가 있는 로마에 오시지 않는다. 적그리스도를 “예시해 주는” 로마교회의 역사와 로마교회의 교황들은 그 행위 속에 이런 많은 것들이 있지만, “교황체제”는 적그리스도가 결코 아니며, 이러한 성경구절들은 오로지 어떤 개인으로서 나타나게 될 인격 속에서만 성취되어지리라는 것은 앞선 성경 구절들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적그리스도는 그리스도의 경쟁자나 모조된 그리스도가 아니라,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자이다. 우리는 이것을 다음과 같은 대조를 통해 그리스도와 그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
1) 그리스도는 위로부터 오셨다(요6:38)
적그리스도는 구렁으로부터 올라온다(계11:7).
2)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오셨다(요5:43)
적그리스도는 자기의 이름으로 온다(요5:43).
3) 그리스도는 자신을 낮추셨다(빌2:8)
적그리스도는 자신을 높인다(고후2:4).
4) 그리스도는 멸시를 받으셨다(사53:3; 눅23:18)
적그리스도는 칭송 받는다(계13:3,4).
5) 그리스도는 높임을 받으셨다(빌2:9)
적그리스도는 불 못에 던져진다(사14:14,15; 계19:20).
6) 그리스도는 아버지의 뜻을 행하기 위해 오셨다(요6:38)
적그리스도는 자기 자신의 뜻을 행하러 온다(단11:36).
7) 그리스도는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눅19:10)
적그리스도는 멸망시키기 위해 온다(단8:24).
8) 그리스도는 선한 목자이시다(요10:4-15)
적그리스도는 어리석은 목자이다(
추천자료
프리칭 예수
최고 경영자 예수를 읽고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는 누구인가
그리스도교(기독교) 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 여성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이론,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경제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인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지주의...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흐름과 상징물,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제3...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세계관과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죽음,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포...
오늘 나에게 예수는 누구인가
교육자 예수
rejesus세상을 바꾸는 작은 예수들을 읽고 요약 및 감상 및 서평
공관복음서해석_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물을 정리하시오.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에서 예수와 갈등 관계의 의미
신약의 예수론 - 요한복음의 로고스 기독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