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소설의 하위 유형에 관하여 조사하여 발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장점

3) 단점

4) 맺음말

본문내용

김만중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설정된 장치라고 말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장치를 통해서 작가는 자신이 애초에 계획했던 독자층인 사대부 부녀자층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라고 말한다. 이러한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바에 대하여는 교씨의 인물형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라고 정의한다. 이러는 과정에서 필자는 교씨를 현실의 이익만을 극한까지 추구하는 인물이기에 가능하였다 말한다. 그리하여 사대부가의 부녀자들은 교씨를 '상상의 적대자'로 판단하고 자신들의 감정과 동일시하여 〈사씨남정기〉에 호응하였다고 주장 한다. 물론 본문의 내용에 교씨가 현실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내용이 나와있다. 물론 '상상의 적대자'로서 교씨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행동한 것에 대하여 의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상상의 적대자'로서의 교씨에 대하여 단순히 현실의 이익을 교씨가 쫓고 또 교씨로 인하여 자신들과 비슷한 위치의 사씨가 고통받는 것에 동조하였다기 보다는 교씨의 예쁜 얼굴에 질투를 느끼고 교씨에 대하여 반감을 가졌을 수 있다. 작품 전반에서 교씨의 행동을 보면 물론 현실의 이익을 위해서 자신의 자식까지 죽여버릴 정도로 모진 인물로 등장하지만 교씨의 외모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매파가 와서 사씨에게 교씨에 대하여 말하는 부분에서부터 등장하는 교씨는 처음부터 예쁜 외모의 소유자라는 말부터 등장이 시작된다. 이는 당시 대부분의 첩이 빼어난 용모를 지니고 있었을 것이고 이는 독자층인 사대부 부녀자층에 많은 질투를 유발 시켰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씨에 대하여 연민의 감정을 느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교씨와 함께 작품에서 악인으로 등장하는 동청 역시 용모가 매우 좋다는 것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부정적 인물로 등장하는 교씨와 동청을 모두 부모를 일찍 여읜 고아로 작가는 설정해 놓고 있다. 부모님 한쪽이라도 생존해 있는(유연수, 사씨부인) 경우는 부정적 인물로 설정해 놓고 있다. 이런 점이 '2. 〈사씨남정기〉의 문제설정과 적대의 논리' 부분에서 포함되어 적대의 논리를 설명해 주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 이금희, 「朝鮮朝의 傳統的 女性世界」, 『謝氏南征記 硏究』, 半鳥出版社, 1991
○ 맺음말 / 느낀점
위 논문은 가정소설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김만중의 〈사씨남정기〉라는 작품을 통해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등장인물간의 갈등과 희생 그리고 당시의 사회에 퍼져있는 사상들과 독자층을 고려한 글쓰기를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알 수 있는 기회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