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아제이론의 기본개념
피아제의 심리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4.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period)
5. 아동기 사고의 특성
피아제 이론의 의의와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의미
피아제 이론의 비판
피아제의 심리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eriod)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4.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period)
5. 아동기 사고의 특성
피아제 이론의 의의와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의미
피아제 이론의 비판
본문내용
것을 말한다. 형식적 조작의 사고가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으로서 피아제가 고안한 유명한 실험은 고전적 물리학에 관한 문제인데 추의 진동에 관한 것이다. 길이, 무게, 높이, 힘 등의 상대적 효과를 잘 고려해야만 대답할 수 있는 문제인데, 이 실험에서 형식적 조작의 사고가 가능한 청소년들은 효과적인 실험을 설계하고, 이를 잘 관찰하여 타당한 결론을 끌어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청소년과 모든 성인이 매사에 형식적 조작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시기가 되면 청소년들은 처음으로 도덕적, 정치적, 철학적인 생각과 가치문제 등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타인의 사고과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은 문제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생각할까 등의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5. 아동기 사고의 특성
1) 보존개념 물체의 외형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로부터 빼거나 더하지 않으면, 그 물체의 특정한 양은 그대로 보존된다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
2) 조망수용 사고의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 감정, 인지 등을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3) 유목화 물체를 공통의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한 대상이 하나의 유목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는 능력.
4) 서열화 사물을 영역별로 차례대로 배열할 수 있는 능력.
피아제 이론의 의의와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의미
이러한 능동적인 존재로서의 아동을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은 어떤 것이어야 할까? 교사는 아동이 여러 가지 물리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을 가능한 한 많이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아동 자신이 학습 경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교사는 또 아동이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때, 아동의 인지구조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아동에게 제시된 경험의 유형과 아동이 현재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간에 지나친 격차가 있으면 진정한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서 교사로서의 어려운 점은 개인차 때문에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 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이 완전 개별화 되기에는 우리나라와 같이 대형 학급을 가진 교사들에겐 더욱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Piaget의 연구는 많은 다른 연구들을 자극했다. 그의 이론은 지금까지 가장 포괄적인 이론이며 아동이 세상에 대해서 사고하고 문제들을 푸는 양식에 대한 많은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아마도 Piaget의 모델은 인지발달의 실제 모습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이상으로 보는 편이 더 좋을 것이다. 특정 아동의 흥미와 능력 그리고 환경적 필요성이 Piaget가 설명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지 발달은 단계간의 "단락 구분이 있는" 일련의 개개의 단계라기 보다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피아제 이론의 비판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1960년대가 되기까지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게 무시를 당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심리학의 주요 관심사가 인지적 요소들에 관한 것임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더욱이, 많은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인지발달은 피아제가 주장한 것처럼 연속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 나간다는 사실을 믿고 있다. 물론, 일부 심리학자들은 피 아제가 인지발달의 각 단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한 몇몇 실험들이 잘못 되었음을 지적하고 있지만 그들도 피아제의 이론적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 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포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피아제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서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피아제의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실로 크다. 그의 이론에서 우리는 학습을 두 가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의 과정을 통해 심리구조의 재구성을 이룩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이루어져 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이란 새로운 정보의 획득이며 새로운 심리구조의 획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 화와 조절이라는 적응과정의 결과로 새로운 정보와 심리구조를 획득하는 인간은 지식을 추구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다.
5. 아동기 사고의 특성
1) 보존개념 물체의 외형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로부터 빼거나 더하지 않으면, 그 물체의 특정한 양은 그대로 보존된다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
2) 조망수용 사고의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 감정, 인지 등을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3) 유목화 물체를 공통의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한 대상이 하나의 유목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는 능력.
4) 서열화 사물을 영역별로 차례대로 배열할 수 있는 능력.
피아제 이론의 의의와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의미
이러한 능동적인 존재로서의 아동을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은 어떤 것이어야 할까? 교사는 아동이 여러 가지 물리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을 가능한 한 많이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아동 자신이 학습 경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교사는 또 아동이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때, 아동의 인지구조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아동에게 제시된 경험의 유형과 아동이 현재 가지고 있는 인지구조간에 지나친 격차가 있으면 진정한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서 교사로서의 어려운 점은 개인차 때문에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 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이 완전 개별화 되기에는 우리나라와 같이 대형 학급을 가진 교사들에겐 더욱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Piaget의 연구는 많은 다른 연구들을 자극했다. 그의 이론은 지금까지 가장 포괄적인 이론이며 아동이 세상에 대해서 사고하고 문제들을 푸는 양식에 대한 많은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아마도 Piaget의 모델은 인지발달의 실제 모습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이상으로 보는 편이 더 좋을 것이다. 특정 아동의 흥미와 능력 그리고 환경적 필요성이 Piaget가 설명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지 발달은 단계간의 "단락 구분이 있는" 일련의 개개의 단계라기 보다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보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피아제 이론의 비판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1960년대가 되기까지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게 무시를 당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심리학의 주요 관심사가 인지적 요소들에 관한 것임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더욱이, 많은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인지발달은 피아제가 주장한 것처럼 연속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해 나간다는 사실을 믿고 있다. 물론, 일부 심리학자들은 피 아제가 인지발달의 각 단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한 몇몇 실험들이 잘못 되었음을 지적하고 있지만 그들도 피아제의 이론적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이 인간의 전 인지영역을 포괄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수학적. 과학적. 사고의 발달에 관해서는 상당히 언급되고 있지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정서성이 포함된 인지적 측면들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피아제의 이론을 통해서는 아이들의 공포, 불안, 흥분, 백일몽 등에 관한 지식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정서발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상호관계서의 규명도 필요하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피아제의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실로 크다. 그의 이론에서 우리는 학습을 두 가지 의미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동화와 조절이라는 적응의 과정을 통해 심리구조의 재구성을 이룩함으로써 인지발달이 이루어져 간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이란 새로운 정보의 획득이며 새로운 심리구조의 획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 화와 조절이라는 적응과정의 결과로 새로운 정보와 심리구조를 획득하는 인간은 지식을 추구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