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이후의 발달(청년기, 성인기, 노인기) - 청년기의 특징과 성적발달, 성인기(성년기)와 노인기(노년기)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 이후의 발달(청년기, 성인기, 노인기) - 청년기의 특징과 성적발달, 성인기(성년기)와 노인기(노년기)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기 이후의 발달

I. 청년기
1. 청년기의 특징
2. 청년기의 성적발달

II. 성인기

III. 노인기

본문내용

II. 성인기
성인기는 직장을 잡고 가정을 갖게 되면서 시작된다. 경제적으로 독립
이 이루어지고사회적 생활이 확대되면서 책임과 의무가 부과된다. 가정에
서 아이가 탄생하고 사회에서는 초보로서 생활이 시작된다. 이제 어엿한
사회의 일원으로 대우받고 일방적인 가르침과 요구보다는 서로 주고받는
상호 작용이 행동의 기초가 된다.
성인 초기는 지금까지 배운 것을 토대로 사회에 적용하며 살아가게 된
다. 성인기는 다시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는 측업을
잡아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결혼을 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관계나 혹은 직업
적 전문성을 확보하는 시기이다. 성인기의 이런 특징을 에릭슨은 친밀성
대 고립감의 갈등이라고 표현했다. 이제 인생의 중요과업은 결혼을 하고
새로운 사회관계를 형성하는 시기로 이것을 잘 해내면 친밀성을 확보하게
되고 그렇지 못하면 고립감에 빠진다. 성인 초기는 몹시 바본 시기이다. 가
정에서는 아이가 태어나고 사회에서는 사회 초년생으로 사회 일선에서 열
심히 배우고 익혀야 한다.
성인 중기에는 사회적으로 안정된 직업을 갖고 사회적 지위도 확보해
야 한다. 이런 기반 하에서 사회적 재생산의 의무를 충분하게 완수해야 한
다. 이 시기의 과제는 생산성의 획득이므로 에릭슨은 생산성 대 침체감의
갈등이라고 하였다. 가정에서는 2세를 낳아 양육하고 사회에서는 생산적
인 일을 해야 한다. 이런 과제를 완수하면 생산성을, 그렇지 못하면 침체를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는 지금까지 배운 것을 사용하는 시기로 인생의 가
장 핵심적인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성공은 인생의 성공이 되고
이 시기의 실패는 인생의 실패가 된다. 이 전 시기는 바로 이 시기를 준비해
온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를 정점으로 신체적, 지적에서 쇠퇴 징후가 나타
나고 개인적인 짧은 위축되기 시작된다. 성인중기에 들어서 면 건강이 주편
관심거리가 되고 성적으로도 변하게 된다. 여성은 성호르몬의 변화에 의하
여 폐경기가 되고 갱년기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오랜 경륜은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일을 바라보는 안목에
깊이가 있어 지혜를 담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런데 반복적인 일에 대한 학
습의 결여로 습관화에 빠지며 변화를 추구하고 새로운 것을 찾기보다는 기
존의 것에 안주하는 경향이 있다. 즉 매너리즘에 빠지게 된다. 성인 중기에
그 동안 온갖 뒷바라지를 한 아이들이 자기 목소리를 내며 독립하기 시작
하고 이제 새로운 출발을 준비해야 하는 위기를 경험한다. 그래서 쓸쓸함
과 서글픔을 간직하게 되는데, 이것을 빈둥지(emp nest) 현상이라고 한
다. 이로 인하여 부부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며 시간과 경제적 여유로 인
하여 둘이 같이 지내는 시간이 증가하고 더 많은 배려를 하게 되며 금슬이
좋아지게 된다. 그래서 이 시기를 흔히 제2의 신혼기라고 한다.
50대가 가까워짐에 따라 인생을 보는 관점이 바뀌는 경향이 있다. 지
금까지 주로 출생에서 시간을 바라보았다면 지금부터는 죽음에서 인생을
바라본다. 즉 지금까지는 미래를 중심으로 희망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았
다. 그러나 싱인 후기에 다다르면 과거를 중심으로 추억을 되새기며 세상
을 바라본다. 미래보다는 과거가 더 아름답고 화려하게 보인다.
III. 노인기
정년퇴직을 하고 사회 일선에서 벗어난 시기부터 노년기라고 본다. 이
제 인생의 주기의 마지막에 도달한 것이다. 주위에서 알고 지내던 친구들
의 부고소식을 자주 접하게 되고 죽음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의식하게 된
다. 노년기의 특징은 첫째, 신체적 약화이다. 근력이 약화되고 상처가 잘
낫지 않으며 시력과 청력이 눈에 띄게 나빠진다. 둘째는 사회적인 능력의
상실이다. 이런 능력의 상실은 노인들에게 무기력과 고독을 가져다준다.
노인기의 과제는 이런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들이
풀어야 하는 가장 큰 숙제는 죽음이다. 죽음은 이생을 마감하는 장엄한 순
간으로 그가 어떻게 살아왔든 무엇을 했던 그 모든 것을 가습에 묻고 떠나
가는 것이다.
이 시기의 이런 절박함을 에릭슨은 통정감과 절망이라고 표현하였다.
만약 노인들이 생을 전적으로 수용하고 죽음을 건전하게 맞이할 준비가 되
어 있으면 죽음은 새로운 시작으로 맞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통정감이라
고 한다. 하지만 인생을 실패로 간직하고 고통과 고독 속에 보내게 되면 더
이상 희망이 없는 막막한 어둠의 세계를 맞이하게 된다. 이들에게는 다시 기
회는 없고 그것은 영원한 패배만 있을 뿐이다. 이것은 철저한 절망이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3.1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