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지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孫休) 가 죽고 난 이후 교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나라의 안과 밖이 어수선했으며, 민심은 훌륭한 군주가 황제에 오르기를 갈망하고있었다고 정사의 손호전에 첫머리에 나온다. 이때 승상 복양흥과 장포가 손휴의 비에게 손호를 후계자로 삼자고 간언 하여 손호가 오 나라의 황제로 등극하게 된다.
하지만“ 손호의 소원이 실현 된 후, 포학하고 교만해지고 꺼리고 싫어하는 것이 많아졌으며 주색을 좋아하게 되었으므로 조정의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모두 실망했다” 진수<<삼국지>>, <오서1권> [손호전] (신원출판사 ,1994년 ,page.94)
라고 나온다.
이처럼 손호는 자신의 등극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손호는 수년전 서소를 위나라에 사신으로 보냈다가 중원을 칭찬했다는 이유로 살해했고, 선황의 비 경주 주씨를 살해했다. 그리고 황태후의 상례를 지내는데 궁전어원의 구석방에서 치르게 하고, 선황의 친자를 잡아죽였다.
또한 신하들을 모아놓고 연회를 열때마다 모든 사람들을 잔뜩 취하게 한후, 손호 황문랑(黃門郞)에 10명에게는 술 먹지 않고 , 신하들이 술김에 한 실수를 꼼꼼히 적도록 하여, 잘못에 저지른자는 엄벌에 처하며, 궁녀들 가운데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의 얼굴을 벗기며, 사람의 눈을 뽑기도하는 악행을 저질렸다. 관리과 백성들은 하루 하루를 두려워하면서 살아가고 민심은 벌써 오를 떠나버렸다.
손호의 이런 만행은 계속 되었고, 이를 저지하는 충언을 하는 사람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위에서 충언을 하는 사람의 예를 하소전 (賀邵傳)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하소는 손휴가 즉위 했을때부터 관직에 있다가, 손호의 시대에 중앙으로 들어와 좌천군에 임명되고, 승진하여 중서령이 되었으며, 태자태부를 겸임하게 되었다.
손호가 흉포해지고 교만해져 정사가 나날이 피폐해지자, 하소는 상소를 올려 다음과 같이 간언한다.
.........조정 밖에는 산악(山嶽)과 같은 수장이 없고, 조정안에는 빈곳을 수습할 신하가 없습니다. 간사하고 아첨하는 무리들은 비상하여 오라와 조정의 권위를 농락하고 영리를 도적질하고, 충성스런 신하는 해를 당하고 있습니다............신이 듣기로 국가를 일으킨 군주는 자신의 허물에 관해 듣기 좋아하고, 황음하고 어지러운 군주는 자신의 명성을 듣기 좋아한다고 합니다.........민중들은 끊임없는 요구에 지쳐있으며 ...지방관원들은 죄의 책임을 지는 일을 두려워하여 잔혹한 협버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