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출신 배경
2) 정치이력과 사상적 경향
3. 결 론
- 참고문헌 -
2. 본 론
1) 출신 배경
2) 정치이력과 사상적 경향
3. 결 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 제갈량의 삶과 그의 업적 >
1. 서론
제갈량(181~234)은 후한 말 태산군승(泰山郡丞)을 지낸 제갈규(諸葛珪)의 아들이며 자는 공명(孔明)이다. 제갈량은 현재의 산동성 칭다오[靑島] 서쪽 낭야()에서 태어났다. 형 제갈근은 덕행이 높았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의 대신으로 손권의 신임이 두터웠던 사람이었다. 제갈량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백부(伯父)인 제갈현(諸葛玄) 슬하에서 자랐으나 그 백부(伯父)가 전란을 피해 형주목(荊州牧:형주의 도지사) 유표에게 의탁하였기 때문에 그도 형주에 살게 되었다. 그러다가 백부(伯父)가 죽은 후 10년간 양양성 서쪽 융중에 은거하여 농사짓고 학문을 닦았다. 그러던 중 서서(徐庶)의 소개를 받은 유비의 삼고초려에 감동하여 유비를 섬기기 시작했다. 삼고초려 이듬해(208)에 조조가 형주를 장악하고 유비가
1. 서론
제갈량(181~234)은 후한 말 태산군승(泰山郡丞)을 지낸 제갈규(諸葛珪)의 아들이며 자는 공명(孔明)이다. 제갈량은 현재의 산동성 칭다오[靑島] 서쪽 낭야()에서 태어났다. 형 제갈근은 덕행이 높았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의 대신으로 손권의 신임이 두터웠던 사람이었다. 제갈량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백부(伯父)인 제갈현(諸葛玄) 슬하에서 자랐으나 그 백부(伯父)가 전란을 피해 형주목(荊州牧:형주의 도지사) 유표에게 의탁하였기 때문에 그도 형주에 살게 되었다. 그러다가 백부(伯父)가 죽은 후 10년간 양양성 서쪽 융중에 은거하여 농사짓고 학문을 닦았다. 그러던 중 서서(徐庶)의 소개를 받은 유비의 삼고초려에 감동하여 유비를 섬기기 시작했다. 삼고초려 이듬해(208)에 조조가 형주를 장악하고 유비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