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실명: 방 1
Zone : interior
층:1층
면적:11.7
층고:
천정고:
용적:
냉 방
난 방
방 위
열 type
면 적
A[]
K
KA
온도차
일사량
취득열량
[kcal/h]
온도차
손실열량
일사
흡수율
SC
SCA
12시
14시
16시
12시
14시
16시
창
유
리
S
관류
-
-
-
-
투과
-
-
-
-
N
〃
-
-
-
-
-
-
-
-
-
-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W
〃
1.5*1.2
1.8
0.5
0.9
-
-
〃
〃
〃
〃
외
벽
지
붕
S
〃
1.2*2.4
2.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실명: 방 2
Zone : interior
층:1층
면적:9.9
층고:
천정고:
용적:
냉 방
난 방
방 위
열 type
면 적
A[]
K
KA
온도차
일사량
취득열량
[kcal/h]
온도차
손실열량
일사
흡수율
SC
SCA
12시
14시
16시
12시
14시
16시
창
유
리
S
관류
-
-
-
-
투과
-
-
-
-
N
〃
-
-
-
-
-
-
-
-
-
-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W
〃
1.2*1.5
1.8
0.5
0.9
-
-
〃
〃
〃
〃
외
벽
지
붕
S
〃
1.2*2.4
2.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실명: 방 3
Zone : interior
층:1층
면적:12.87
층고:
천정고:
용적:
냉 방
난 방
방 위
열 type
면 적
A[]
K
KA
온도차
일사량
취득열량
[kcal/h]
온도차
손실열량
일사
흡수율
SC
SCA
12시
14시
16시
12시
14시
16시
창
유
리
S
관류
-
-
-
-
투과
-
-
-
-
N
〃
-
-
-
-
-
-
-
-
-
-
-
-
-
-
-
-
-
-
-
-
-
-
E
〃
1.5*1.2
1.8
0.5
0.9
-
-
〃
〃
〃
〃
W
〃
-
-
-
-
-
-
-
-
-
-
-
-
-
-
-
-
-
-
-
-
-
-
외
벽
지
붕
S
〃
1.2*2.4
2.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5. 공조(냉방, 난방) 방식의 선정
일반 가정집이므로 보일러를 통한 난방
냉방에는 에어콘을 이용
6. 공조계산
1.풍량계산
층
SHF
취출온도
Q
1
12
21
75
15000
2
15
32
75
25000
2. 열원 기기의 용량 계산
공조기 부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냉방시 :
난방시 :
<표 3.55>에서 외기량에 관한 DATA를 찾는다.
층
2
외기량[m3/m2h]
2
다음 외기부하를 구한다.
에서
1)냉방시
2)난방시
냉방시, = 0.15 *
난방시 송풍기(fan) 부하는 고려하지 않는다.
최종 건물의 총 열원부하, 보일러 냉동기 용량
층
냉방
K(여유율)
*(1/3320)
냉동기 용량
1
0.03
*(1/3320)
2
0.03
*(1/3320)
총 냉동기 용량: RT(냉동톤)
층
난방
예열+배관부하
*(1/538.8)
환산증발량[kg/h]
1
0.35
*(1/538.8)
2
0.35
*(1/538.8)
총 보일러 환산증발량 : [kg/h] ==> 증기보일러의 용량
7. 참고 자료
네이버 카페
: 조명기구 발열량: http://cafe.naver.com/designggabalrigi.cafe
공기조화 핸드북 (공학박사 金孝經 東明社)
공기조화, 난방설비의 이론과 설계 (진호근 대광서림)
공기조화 기초이론 ( 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건축공기 조화설비 ( 정광섭 김광우 공저 지문당)
공기조화 및 냉동 (McQuiston Fayec 희중당)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실명: 방 1
Zone : interior
층:1층
면적:11.7
층고:
천정고:
용적:
냉 방
난 방
방 위
열 type
면 적
A[]
K
KA
온도차
일사량
취득열량
[kcal/h]
온도차
손실열량
일사
흡수율
SC
SCA
12시
14시
16시
12시
14시
16시
창
유
리
S
관류
-
-
-
-
투과
-
-
-
-
N
〃
-
-
-
-
-
-
-
-
-
-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W
〃
1.5*1.2
1.8
0.5
0.9
-
-
〃
〃
〃
〃
외
벽
지
붕
S
〃
1.2*2.4
2.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실명: 방 2
Zone : interior
층:1층
면적:9.9
층고:
천정고:
용적:
냉 방
난 방
방 위
열 type
면 적
A[]
K
KA
온도차
일사량
취득열량
[kcal/h]
온도차
손실열량
일사
흡수율
SC
SCA
12시
14시
16시
12시
14시
16시
창
유
리
S
관류
-
-
-
-
투과
-
-
-
-
N
〃
-
-
-
-
-
-
-
-
-
-
-
-
-
-
-
-
-
-
-
-
-
-
E
〃
-
-
-
-
-
-
-
-
-
-
-
-
-
-
-
-
-
-
-
-
-
-
W
〃
1.2*1.5
1.8
0.5
0.9
-
-
〃
〃
〃
〃
외
벽
지
붕
S
〃
1.2*2.4
2.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실명: 방 3
Zone : interior
층:1층
면적:12.87
층고:
천정고:
용적:
냉 방
난 방
방 위
열 type
면 적
A[]
K
KA
온도차
일사량
취득열량
[kcal/h]
온도차
손실열량
일사
흡수율
SC
SCA
12시
14시
16시
12시
14시
16시
창
유
리
S
관류
-
-
-
-
투과
-
-
-
-
N
〃
-
-
-
-
-
-
-
-
-
-
-
-
-
-
-
-
-
-
-
-
-
-
E
〃
1.5*1.2
1.8
0.5
0.9
-
-
〃
〃
〃
〃
W
〃
-
-
-
-
-
-
-
-
-
-
-
-
-
-
-
-
-
-
-
-
-
-
외
벽
지
붕
S
〃
1.2*2.4
2.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N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E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W
〃
4.2*2.4
10.88
하계
0.527
K
하계지붕
0.451
동계지붕
0.459
동계
0.532
내벽
천정
바닥
극간풍
냉방:
난방:
조명
냉방:백열등:
형광등:
난방:백열등:
형광등:
무시
무시
재실자
난방( )인
냉방( )인
무시
무시
기기
무시
무시
축열
실내부하
외기
5. 공조(냉방, 난방) 방식의 선정
일반 가정집이므로 보일러를 통한 난방
냉방에는 에어콘을 이용
6. 공조계산
1.풍량계산
층
SHF
취출온도
Q
1
12
21
75
15000
2
15
32
75
25000
2. 열원 기기의 용량 계산
공조기 부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냉방시 :
난방시 :
<표 3.55>에서 외기량에 관한 DATA를 찾는다.
층
2
외기량[m3/m2h]
2
다음 외기부하를 구한다.
에서
1)냉방시
2)난방시
냉방시, = 0.15 *
난방시 송풍기(fan) 부하는 고려하지 않는다.
최종 건물의 총 열원부하, 보일러 냉동기 용량
층
냉방
K(여유율)
*(1/3320)
냉동기 용량
1
0.03
*(1/3320)
2
0.03
*(1/3320)
총 냉동기 용량: RT(냉동톤)
층
난방
예열+배관부하
*(1/538.8)
환산증발량[kg/h]
1
0.35
*(1/538.8)
2
0.35
*(1/538.8)
총 보일러 환산증발량 : [kg/h] ==> 증기보일러의 용량
7. 참고 자료
네이버 카페
: 조명기구 발열량: http://cafe.naver.com/designggabalrigi.cafe
공기조화 핸드북 (공학박사 金孝經 東明社)
공기조화, 난방설비의 이론과 설계 (진호근 대광서림)
공기조화 기초이론 ( 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건축공기 조화설비 ( 정광섭 김광우 공저 지문당)
공기조화 및 냉동 (McQuiston Fayec 희중당)
추천자료
굵은골재의 비중및 흡수율 시험
경도 측정의 정리 및 경도계 사용 절차에 대하여
작업환경측정-유기용제의 전처리 및 직독식 기기의 사용
세가지 문제에대한 각각의 현실및 대비책
육류 손질 및 보관법
새로운 글로벌시대 해외무역실무전략.PPT자료
전기 풍로 및 밥솥의 감식에 대하여
이산화황 및 암모니아의 유해성
방화관련 화재패턴 및 인공 증거물
[형사소송법] 변호인제도의 의의, 변호인의 선임, 변호인의 지위, 변호인의 권한, 보조인의 ...
[산업보안학 産業保安學] 사고 예방 및 대응 - 안전사고의 예방, 차량사고의 예방, 화재의 예...
[지역발전론] 참여정부의 지역농업 및 농촌 균형발전 정책평가(비전 및 목표, 중점사업, 관련...
[향기요법] 향기요법의 개념과 적용 및 방법, 치매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향과 오일(향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