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터넷발달에 의한 혁신적인 물류시스템의 필요성
(2) 기술변화에 힘입은 물류관리의 변화
(2.1) 물류관리 --> 로지스틱스 --> SCM
(2.2) 경영과 로지스틱스 패러다임의 변화
(2.3) 정보기술을 활용한 물류혁신기법
(3) SCM
(3.1) SCM의 개념 및 효과
(3.2) SCM의 중요성
(3.3) 공급체인의 구조와 구축방법
3.3.1 공급체인구조
3.3.2 공급체인관리의 구축방법
3.3.3 공급체인관리의 성과와 적용
(4) Global e-SCM 성공사례
(1) Global e-SCM과 성공사례
(1.1) Dell
(1.2) 기타 국․내외 성공사례
(5) 맺음말
(2) 기술변화에 힘입은 물류관리의 변화
(2.1) 물류관리 --> 로지스틱스 --> SCM
(2.2) 경영과 로지스틱스 패러다임의 변화
(2.3) 정보기술을 활용한 물류혁신기법
(3) SCM
(3.1) SCM의 개념 및 효과
(3.2) SCM의 중요성
(3.3) 공급체인의 구조와 구축방법
3.3.1 공급체인구조
3.3.2 공급체인관리의 구축방법
3.3.3 공급체인관리의 성과와 적용
(4) Global e-SCM 성공사례
(1) Global e-SCM과 성공사례
(1.1) Dell
(1.2) 기타 국․내외 성공사례
(5) 맺음말
본문내용
트워크구조의 형태
공급체인구조는 수평구조, 수직구조, 기업의 수평적 위치로 설명된다. 수평구조는 공급체인을 구성하는 공급업자 또는 고객의 열(列)의 수로 나타나며 열의 수에 따라 공급체인의 길이가 결정된다. 수직구조는 각 열에 포함되는 공급업자 또는 고객의 수로 나타나며 공급체인의 폭을 보여준다. 공급체내 기업은 최초 원산지나 최종소비지 근처 또는 양끝의 어딘가에 위치한다.
공급체인구조의 이러한 세 가지 변수의 조합은 다양한 형태의 공급체인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어떤 기업이 다수의 공급업자 대신 하나의 공급업자와 거래하기로 결정한다면 공급체인의 폭은 가늘어질 것이다. 또한 어떤 기업이 로시스틱스, 생산, 마케팅, 제품개발 등을 아웃소싱하기로 결정한다면 공급체인의 폭과 길이가 증가하고 공급체인 네트워크에서의 기업의 수평적 위치가 변할 것이다.
③ 경영프로세스의 연결형태
공급체인 전체에 걸쳐 모든 경영프로세스가 동일한 수준으로 통합관리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프로세스의 연결형태는 각기 다르며 통합의 정도도 연결형태마다 다르다. 어떤 연결은 다른 연결보다 더욱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형태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3.3.2 공급체인관리의 구축방법
SCM의 구축방법은 학자들과 관련실무진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Scott와 Westbrook은 SCM시스템의 구축방법을 3단계로 제시하고 있다. 1단계는 기업들이 공급사슬을 구축하여 기존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 있어 문제를 파악하고 제기하는 단계로 Pipeline Mapping단계라고 한다. 2단계에서는 공급자와의 관계형태를 파악한다. 공급체인관리는 기업내부뿐만 아니라 관련되어 있는 모든 기업을 포함한 전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공급체인내의 기업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가 중요한 요소이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공급체인의 효율성을 높이는 행동을 선택한다. 이 단계는 pipeline map을 통한 개선기회의 파악과 공급주체와의 관계파악을 통해 공급체인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애요소의 인식단계를 거친 후 실질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즉,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공급체인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개선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고 실행하는 단계이다.
AT 커니 컨설팅은 SCM 구축방법으로 3가지 체인을 정의한다. ① 판매, 물류, 제조의 출하를 포함하여 고객요구에 응하여 제품을 공급하는 수요체인, ② 판매예측을 기초로 제조 및 자재를 조달하는 공급체인, ③ 수요와 공급의 2개 체인을 최적화하는 전체최적체인이다. AT 커니 컨설팅을 공급체인을 3개로 나누어 각각의 문제점과 개혁방안을 검토함으로써 SCM을 구축한다.
3.3.3 공급체인관리의 성과와 적용
① 공급체인관리의 성과
공급체인관리는 기업의 비용절감과 고객서비스 개선 등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의 주요 요소가 되고 있다. SCM의 효과는 SCM이 적용되는 산업의 특성, SCM이 적용되는 범위 및 깊이, 참여하는 기업에 따라 차이가 난다. PRTM의 조사에 의하면 공급체인관리의 선두기업들은 평균기업들과 비교하여 사이클타임에 있어서는 40~65%의 우위를 갖고, 비용에 있어서는 3~6%, 재고는 50~80% 적게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M의 원래개념은 고객수주부터 대금지불에 이르기까지 설비, 부품, 완제품까지 물류를 취급하는 전프로세스에 걸쳐 공급업체, 제조판매분배기능, 고객과 관련되는 활동 모두를 의미하나, 실제적으로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는 SCM은 프로세스별로 매우 다양하다. SCM은 특정기술이라기보다는 경영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공급체인관리의 대표적인 예로는 ECR과 QR이 있다.
① ECR(Efficient Consumer Respond)
ECR은 월마트 등의 할인업체들이 식품부문을 강화하면서 하이퍼마켓화하는 데 위협을 느낀 미국 슈퍼마켓업계에서 시작되었다. 미국 식품체인협회의 1992년 보고서는 기존 식품유통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식품유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과감한 혁신방안들을 제시하였고, 미국 식품체인 협회가 제시한 혁신 프로그램이 ECR이다.
ECR은 제조업체와 소매업체간 데이터, 기술, 비용과 표준화 등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이익의 바탕 위에 공급체인상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원료공급업자에서부터 매장까지 전체 공급체인을 리엔지니어링함으로써 비효율과 초과비용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ECR의 도입으로 미국 식품산업은 연간 총매출의 5%에 달하는 300억달러 이상을 절감할 수 있었다.
-> 효율적 재고 보충
효율적 재고보충을 위한 업무프로세스 개선의 핵심은 지속적 재고보충프로그램(CRP :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이다. CRP는 구매자의 주문에 의해 공급자가 배송하는 기존의 공급과정과 달리 서로간의 정보공유에 의해 공급자가 공급시점과 양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즉, CRP는 경로구성원들간의 협력관계에 기초한 정보공유를 통해 소매상의 주문에 의해 재고보충을 하는 기존의 pushtltmxpa을 공급체인의 마지막에 위치한 고비자의 실제판매자료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고보충을 하는 pull 시스템으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 P&G는 소매상이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소매상의 충분한 안전재고의 보장과 초과재고 감소, 물류비용 최소화를 고려하여 소매상에 보낼 선적량과 선적시기를 결정한다.
기존시스템에서는 제한된 창고공간 때문에 소매상들은 적은 양을 구매하여 매장에 직접 공급해야 했으므로 재고부족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소량주문으로 운송비용이 증가하였다. 소매상이 EDI를 통하여 제조업체에게 판매와 재고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제조업체는 소비자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재고상황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을 공급하여 경로상의 재고를 줄이면서도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RP는 규모의 경제 이점이 있는 만재된 트럭용량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값비싼 LTL(less-than-truckload)선적으로 인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RP의 목적이 소매상의 재고관리업무
공급체인구조는 수평구조, 수직구조, 기업의 수평적 위치로 설명된다. 수평구조는 공급체인을 구성하는 공급업자 또는 고객의 열(列)의 수로 나타나며 열의 수에 따라 공급체인의 길이가 결정된다. 수직구조는 각 열에 포함되는 공급업자 또는 고객의 수로 나타나며 공급체인의 폭을 보여준다. 공급체내 기업은 최초 원산지나 최종소비지 근처 또는 양끝의 어딘가에 위치한다.
공급체인구조의 이러한 세 가지 변수의 조합은 다양한 형태의 공급체인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어떤 기업이 다수의 공급업자 대신 하나의 공급업자와 거래하기로 결정한다면 공급체인의 폭은 가늘어질 것이다. 또한 어떤 기업이 로시스틱스, 생산, 마케팅, 제품개발 등을 아웃소싱하기로 결정한다면 공급체인의 폭과 길이가 증가하고 공급체인 네트워크에서의 기업의 수평적 위치가 변할 것이다.
③ 경영프로세스의 연결형태
공급체인 전체에 걸쳐 모든 경영프로세스가 동일한 수준으로 통합관리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프로세스의 연결형태는 각기 다르며 통합의 정도도 연결형태마다 다르다. 어떤 연결은 다른 연결보다 더욱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형태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3.3.2 공급체인관리의 구축방법
SCM의 구축방법은 학자들과 관련실무진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Scott와 Westbrook은 SCM시스템의 구축방법을 3단계로 제시하고 있다. 1단계는 기업들이 공급사슬을 구축하여 기존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 있어 문제를 파악하고 제기하는 단계로 Pipeline Mapping단계라고 한다. 2단계에서는 공급자와의 관계형태를 파악한다. 공급체인관리는 기업내부뿐만 아니라 관련되어 있는 모든 기업을 포함한 전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공급체인내의 기업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가 중요한 요소이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공급체인의 효율성을 높이는 행동을 선택한다. 이 단계는 pipeline map을 통한 개선기회의 파악과 공급주체와의 관계파악을 통해 공급체인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애요소의 인식단계를 거친 후 실질적인 행동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즉,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공급체인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개선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고 실행하는 단계이다.
AT 커니 컨설팅은 SCM 구축방법으로 3가지 체인을 정의한다. ① 판매, 물류, 제조의 출하를 포함하여 고객요구에 응하여 제품을 공급하는 수요체인, ② 판매예측을 기초로 제조 및 자재를 조달하는 공급체인, ③ 수요와 공급의 2개 체인을 최적화하는 전체최적체인이다. AT 커니 컨설팅을 공급체인을 3개로 나누어 각각의 문제점과 개혁방안을 검토함으로써 SCM을 구축한다.
3.3.3 공급체인관리의 성과와 적용
① 공급체인관리의 성과
공급체인관리는 기업의 비용절감과 고객서비스 개선 등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의 주요 요소가 되고 있다. SCM의 효과는 SCM이 적용되는 산업의 특성, SCM이 적용되는 범위 및 깊이, 참여하는 기업에 따라 차이가 난다. PRTM의 조사에 의하면 공급체인관리의 선두기업들은 평균기업들과 비교하여 사이클타임에 있어서는 40~65%의 우위를 갖고, 비용에 있어서는 3~6%, 재고는 50~80% 적게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M의 원래개념은 고객수주부터 대금지불에 이르기까지 설비, 부품, 완제품까지 물류를 취급하는 전프로세스에 걸쳐 공급업체, 제조판매분배기능, 고객과 관련되는 활동 모두를 의미하나, 실제적으로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는 SCM은 프로세스별로 매우 다양하다. SCM은 특정기술이라기보다는 경영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공급체인관리의 대표적인 예로는 ECR과 QR이 있다.
① ECR(Efficient Consumer Respond)
ECR은 월마트 등의 할인업체들이 식품부문을 강화하면서 하이퍼마켓화하는 데 위협을 느낀 미국 슈퍼마켓업계에서 시작되었다. 미국 식품체인협회의 1992년 보고서는 기존 식품유통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식품유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과감한 혁신방안들을 제시하였고, 미국 식품체인 협회가 제시한 혁신 프로그램이 ECR이다.
ECR은 제조업체와 소매업체간 데이터, 기술, 비용과 표준화 등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이익의 바탕 위에 공급체인상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원료공급업자에서부터 매장까지 전체 공급체인을 리엔지니어링함으로써 비효율과 초과비용을 제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ECR의 도입으로 미국 식품산업은 연간 총매출의 5%에 달하는 300억달러 이상을 절감할 수 있었다.
-> 효율적 재고 보충
효율적 재고보충을 위한 업무프로세스 개선의 핵심은 지속적 재고보충프로그램(CRP : 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이다. CRP는 구매자의 주문에 의해 공급자가 배송하는 기존의 공급과정과 달리 서로간의 정보공유에 의해 공급자가 공급시점과 양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즉, CRP는 경로구성원들간의 협력관계에 기초한 정보공유를 통해 소매상의 주문에 의해 재고보충을 하는 기존의 pushtltmxpa을 공급체인의 마지막에 위치한 고비자의 실제판매자료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고보충을 하는 pull 시스템으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 P&G는 소매상이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소매상의 충분한 안전재고의 보장과 초과재고 감소, 물류비용 최소화를 고려하여 소매상에 보낼 선적량과 선적시기를 결정한다.
기존시스템에서는 제한된 창고공간 때문에 소매상들은 적은 양을 구매하여 매장에 직접 공급해야 했으므로 재고부족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소량주문으로 운송비용이 증가하였다. 소매상이 EDI를 통하여 제조업체에게 판매와 재고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제조업체는 소비자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재고상황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을 공급하여 경로상의 재고를 줄이면서도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RP는 규모의 경제 이점이 있는 만재된 트럭용량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값비싼 LTL(less-than-truckload)선적으로 인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RP의 목적이 소매상의 재고관리업무
추천자료
SCM의 도입에 관한 연구
이마트의 SCM
[분석/조사] Dell의 SCM 도입 성공사례와 시사점 및 우리의 견해
[분석/조사] FedEx의 SCM 전략 분석 및 FedEx의 성공 요인 레포트
FedEx의 SCM 전략 분석 및 FedEx의 성공 요인 레포트
월마트 SCM 사례연구
SCM 공급사슬내의 CPFR 과 VMI- 재고관리
SCM 전략의 유형
SCM의 정의와 사례연구
e-SCM과 APS 그리고 통합방법
SCM과 ERP 기업사례 포스코
SCM성공 및 실패 사례와 발전방향
scm공급망관리 레포트paper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