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로교
1. 장로교의 정의
· 국내 개신교 중에서 가장 많은 성도와 가장 많은 교단을 가지고 있는 교파
· 장로 : 신약성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독, 목사, 장로를 같은 직책
· 장로교 : 장로교는 장로들에 의해 처리되는 교회
2. 조직
· 장로인 목사 :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말씀을 가르침
· 일반 교우의 대표자 : 교회를 치리 하는 치리 장로
· 제직회 : 목사, 장로, 집사, 권찰
· 당회 : 목사, 장로
· 노회 : 목사, 개 교회 파송 치리 장로
· 총회 : 정책, 헌법
3. 창시자 : 프랑스의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인 칼빈(1509~1564)
< 요한 칼빈의 개혁운동 >
- 개혁하다가 박해를 받고 도망감
- 제네바에서 화렐에게 개혁을 지도해 줄 것을 권유받음
- 이로 인하여 제네바가 장로교회의 본산이 됨
- 죤낙스가 개혁운동을 배워 스코틀랜드에서 구교를 제거하고 장로교회를 세움
- 그 결과 제네바와 스코틀랜드가 장로교회의 대표가 됨
- 칼빈을 따르는 자 : 성경에 나오는 장로(Presbyteios)라는 말을 따서 \"장로교\"라고 불림
4. 역사
· 칼빈에 의해 16세기 중엽 성경에서 말하는 장로회제도를 확립함
· 1559년 : 프랑스에서만 2,000여 교회가 장로 제도를 채택
· 이후 네덜란드, 스코틀랜드에서도 많은 장로교회가 생겨남
① 스코틀랜드
- 1560년 이후 장로교회를 국교회로 지정, 잉글랜드와 미국으로 전파
- 1660년 청교도혁명이 끝나고 왕정복고 후 잉글랜드에서는 세력이 약화됨
- 세계 장로교의 규범인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과 웨스트민스터요리문답, 헌법, 예배지침 등을 마련
② 미국
- 1706년 : 필라델피아에서 처음으로 노회가 조직
- 1789년 : 최초의 장로교 총회가 개최
⇒ 노예문제, 신학, 전도방법 등의 이견으로 여러 교단이 출현하였으나, 신학, 교리 등에는 차이가 없음
- 18세기 이후 : 아시아, 아프리카 등 해외선교에 앞장서 많은 선교사들을 파송
③ 한국
- 19세기 말부터 선교가 이루어지기 시작함
- 1882년 : <누가복음>, <요한복음>의 번역 출간
- 1907년 : 대한예수교장로회 독노회 창설
- 1912년 :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창설
- 광복 이후 : 여러 갈등 요인으로 인해 분열되기 시작해 2002년 현재 40개가 넘는 교단이 활동
· 세계적인 장로교 연합단체 : 세계개혁교회연맹(WARC)
· 세계 장로교 총 교인수 : 약 5000만 명 정도로 추정
5. 정치
· 민주적인 정치제도 중시
· 교회 중직을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
6. 교리
· 인간의 전적 타락
· 무조건 선택
· 제한된 속죄
· 불가항력적 은혜
· 성도의 견인
7. 신조
· 각 사람의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에 의해 이루어진다.
· 각 신도의 구원은 영원한 하나님의 뜻의 일부이다.
·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믿음에 대한 상급이 아니다.
·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
· 중생은 유일하신 하나님의 역사이다.
· 한번 구원받은 자는 언제나 구원받은 자로 있다.
2) 침례교
1. 침례교의 정의
· 침례교는 세례를 행할 때 물을 뿌리거나 부어서 하지 않고 전신을 물속에 잠기게 해서 베풀기 때문에 침례교라는 명칭이 붙여짐
2. 조직
· 교회의 직원 : 목사, 집사, 이사, 회계
· 상임위원회(직원 및 교회에서 선출된 수명의 위원) : 교인들이 승인한 것을 실행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권한이 없음
· 교역자 : 자기가 입교한 교회에서 선교사로서의 면허를 받음
- 교역자로 임명받기 원하는 사람은 자신이 속해 있는 평의회에 출두하여 자신의 신앙경험, 소명감, 특수한 교리에 대하여 심사를 받음
3. 창시자 : 요한 스미스
· 영국의 핍박으로부터 폴랜드의 암스텔담으로 망명해 온 비 영국교도들은 요한 스미스의 지휘 밑에 처음으로 뱁티스트파 (침례교회)를 설립함.
· 스미스가 그 곳에 이미 설립된 메노나잇파와 합동하려 하자, 토마스 헬위와
1. 장로교의 정의
· 국내 개신교 중에서 가장 많은 성도와 가장 많은 교단을 가지고 있는 교파
· 장로 : 신약성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독, 목사, 장로를 같은 직책
· 장로교 : 장로교는 장로들에 의해 처리되는 교회
2. 조직
· 장로인 목사 :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말씀을 가르침
· 일반 교우의 대표자 : 교회를 치리 하는 치리 장로
· 제직회 : 목사, 장로, 집사, 권찰
· 당회 : 목사, 장로
· 노회 : 목사, 개 교회 파송 치리 장로
· 총회 : 정책, 헌법
3. 창시자 : 프랑스의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인 칼빈(1509~1564)
< 요한 칼빈의 개혁운동 >
- 개혁하다가 박해를 받고 도망감
- 제네바에서 화렐에게 개혁을 지도해 줄 것을 권유받음
- 이로 인하여 제네바가 장로교회의 본산이 됨
- 죤낙스가 개혁운동을 배워 스코틀랜드에서 구교를 제거하고 장로교회를 세움
- 그 결과 제네바와 스코틀랜드가 장로교회의 대표가 됨
- 칼빈을 따르는 자 : 성경에 나오는 장로(Presbyteios)라는 말을 따서 \"장로교\"라고 불림
4. 역사
· 칼빈에 의해 16세기 중엽 성경에서 말하는 장로회제도를 확립함
· 1559년 : 프랑스에서만 2,000여 교회가 장로 제도를 채택
· 이후 네덜란드, 스코틀랜드에서도 많은 장로교회가 생겨남
① 스코틀랜드
- 1560년 이후 장로교회를 국교회로 지정, 잉글랜드와 미국으로 전파
- 1660년 청교도혁명이 끝나고 왕정복고 후 잉글랜드에서는 세력이 약화됨
- 세계 장로교의 규범인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과 웨스트민스터요리문답, 헌법, 예배지침 등을 마련
② 미국
- 1706년 : 필라델피아에서 처음으로 노회가 조직
- 1789년 : 최초의 장로교 총회가 개최
⇒ 노예문제, 신학, 전도방법 등의 이견으로 여러 교단이 출현하였으나, 신학, 교리 등에는 차이가 없음
- 18세기 이후 : 아시아, 아프리카 등 해외선교에 앞장서 많은 선교사들을 파송
③ 한국
- 19세기 말부터 선교가 이루어지기 시작함
- 1882년 : <누가복음>, <요한복음>의 번역 출간
- 1907년 : 대한예수교장로회 독노회 창설
- 1912년 :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창설
- 광복 이후 : 여러 갈등 요인으로 인해 분열되기 시작해 2002년 현재 40개가 넘는 교단이 활동
· 세계적인 장로교 연합단체 : 세계개혁교회연맹(WARC)
· 세계 장로교 총 교인수 : 약 5000만 명 정도로 추정
5. 정치
· 민주적인 정치제도 중시
· 교회 중직을 공동의회에서 세례교인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
6. 교리
· 인간의 전적 타락
· 무조건 선택
· 제한된 속죄
· 불가항력적 은혜
· 성도의 견인
7. 신조
· 각 사람의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에 의해 이루어진다.
· 각 신도의 구원은 영원한 하나님의 뜻의 일부이다.
·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믿음에 대한 상급이 아니다.
·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
· 중생은 유일하신 하나님의 역사이다.
· 한번 구원받은 자는 언제나 구원받은 자로 있다.
2) 침례교
1. 침례교의 정의
· 침례교는 세례를 행할 때 물을 뿌리거나 부어서 하지 않고 전신을 물속에 잠기게 해서 베풀기 때문에 침례교라는 명칭이 붙여짐
2. 조직
· 교회의 직원 : 목사, 집사, 이사, 회계
· 상임위원회(직원 및 교회에서 선출된 수명의 위원) : 교인들이 승인한 것을 실행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권한이 없음
· 교역자 : 자기가 입교한 교회에서 선교사로서의 면허를 받음
- 교역자로 임명받기 원하는 사람은 자신이 속해 있는 평의회에 출두하여 자신의 신앙경험, 소명감, 특수한 교리에 대하여 심사를 받음
3. 창시자 : 요한 스미스
· 영국의 핍박으로부터 폴랜드의 암스텔담으로 망명해 온 비 영국교도들은 요한 스미스의 지휘 밑에 처음으로 뱁티스트파 (침례교회)를 설립함.
· 스미스가 그 곳에 이미 설립된 메노나잇파와 합동하려 하자, 토마스 헬위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