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이제는 한류만세형 보도는 지양할 때다)
2.한류의 개념
3.한류의 문화적 배경
4.한류 현상의 원인
5.한류 현상의 현황
5-1.중국
5-2.이란
5-3.대만
5-4.홍콩
5-5.일본
5-6.네팔
6.한류 열풍의 효과
7.한류 열풍의 문제점
8.한류 열풍의 발전 방안
9.참고 자료
2.한류의 개념
3.한류의 문화적 배경
4.한류 현상의 원인
5.한류 현상의 현황
5-1.중국
5-2.이란
5-3.대만
5-4.홍콩
5-5.일본
5-6.네팔
6.한류 열풍의 효과
7.한류 열풍의 문제점
8.한류 열풍의 발전 방안
9.참고 자료
본문내용
에 깊이 파고들었다.
여덟 번째, 중국 현지에 직접 뛰어들어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에 매달렸던 소수의 기업가적 활동가들을 꼽을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 宇田SOFT의 김윤호 사장을 들 수 있다. 1996년 중국에 간 그는 중국 라디오 방송에서 한국음악 전문코너를 맡아 다양한 장르의 한국 대중음악을 소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한국 댄스음악의 가능성을 인지하였고, 한국 댄스가수의 음반 발매 및 대형 콘서트 기획 등을 위해 많은 중국내 관계자들을 끊임없이 만나고 집요하게 설득하였으며 홍보에도 전력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당시 한국내 최고의 인기 댄스그룹 H.O.T.의 중국내 첫 공식음반이 1998년 5월에 시판되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그 뒤를 이어, 클론, NRG, 베이비복스 등이 계속해서 중국에 진출하게 되었다. (주) Media Plus의 박영교, 정연준 부사장 같은 이들도 1996년 2월 중국의 국제방송국과 합작을 통해 한국음악 프로그램을 송출하는데 기여하였다. 후에, 이들은 중국 국무원 외교부와 문화부의 승인까지 획득하여 중국 각 지역으로 한국음악 프로그램 방송을 확대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공헌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류의 원인을 꼽을 때 한국정부의 숨은 지원과 도움을 빼놓을 수 없다. 정부 차원에서 문화관광부가 한국가수들의 중국 공연을 공식 후원해 왔고, 중국어 음반 작업에 대한 예산 지원과 중국내 한국관련 각종 방송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으며, 01년에는 김한길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이 직접 중국을 방문하여 한국 TV 프로그램의 수입을 완전 개방하기로 합의하게 되었다.
5. 한류 열풍의 현황
\'한류\'는 한자어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히 일시적인 바람의 수준이 아닌, 보다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거대한 \'흐름\'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에 더 이상 한류열풍은 없다 ”
한 때 중국에 ‘한류열풍’이 몰아친 적이 있었다. 한국의 스타가 오면 중국 청소년들이 들썩거리고, 콘서트 한 번 했다하면 표가 매진되고, 공연장 주변 교통이 마비되는 그런 현상이 나타났죠.
한국의 대중스타에게 환호하는 중국 청소년들
1년 전 쯤 중국 청소년들이 피켓과 대형 사진을 들고 누굴 기다리던 모습을 매스컴을 통해 자주 볼 수 있었다.
예전 한류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이정현의 바꿔라는 노래는 중국어로 번안되어 여러 가수가 불렀고 크게 히트했다.
한국 영화 재미나고 뛰어난 것은 중국인들도 익히 잘 안다. 중국의 젊은층에서는 한국의 영화스타들을 잘 안다. 선인허(심은하), 추이즈여우(최지우), 쉐징치우(설경구), 쏭청시앤(송승헌), 쏭캉하오(송강호), 취앤시앙위(권상우), 허즈위앤(하지원), 진시산(김희선), 취앤즈시앤(전지현), 안짜이쉬(안재욱).... 영화배우 뿐 아니라 가수 이름들도 많이 안다. 안치시앤(안칠현, 강타), 장나라(장나라, 발음이 가장 원음에 가까움), HOT 등등... 특히 HOT 해체할 때는 중국팬들도 많이 울었다. 이처럼 수많은 한국 스타들에 중국 청소년들은 열광한다. 김희선은 TCL이라는 중국산 핸드폰 광고에 출연해서 핸드폰 시장의 판도를 바꿔놓았고, 전지현의 광고는 시내 곳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중국인들은 한국영화가 어떻게 그렇게 갑자기 발전하게 되었냐고 묻곱 한다.
그것은 아마 영화에 대한 규제를 없앤 것에 기인할 것이다.
중국은 사상적, 정치적 규제가 너무 많아서 영화 제대로 만들기가 힘들다. 장예모감독이 영웅이라는 영화를 만들었을 때 대부분의 중국인은 장예모 씹기 대회를 열었다 한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장예모가 중국 정부의 입맛에 맞는 영화를 만들어서 정부에 아부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영웅 이전의 장예모 영화는 대개 예술작품 성향이었는데 이번 영화에서 정치적 성향이 짙었기 때문이다.
중국 TV의 특징은 같은 연속극을 여러 채널에서 동시에 방영하고, 이쪽에서 끝나면 저쪽에서 시작하는 식으로 꽤 오랫동안 같은 연속극을 방영한다는 것이다.
만약 대장금을 방영한다면 무척 인기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작권료가 너무 비싸 중국 방송국에서 판권 사기를 꺼려하고 있다.
물론 해적판은 시장에 나온 지 오래 됐지요. 화질도 선명하고 부가 영상도 완벽하게 다 있어서 소장의 가치가 있을 정도라 한다.
5-1. 중국
본격적인 한류 열풍의 진원지는 역시 중국이다. 중국에서는 한국 대중문화와 연예인들을 추종하는 매니아 집단인 소위 ‘하한쭈’(哈韓族)까지 등장할 정도로 많은 젊은이들이 한류에 매료되어 있다.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주역은 대중가요와 방송드라마였다. 먼저 1996년부터 중국내 몇몇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대중음악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홍콩 스타TV의 위성방송을 통해 한국 가요 프로그램이 중국에 방영되기 시작했다. 또한 당시 한국 청소년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그룹 H.O.T의 앨범 ‘행복’이 1998년 5월 17일 한국 음반으로는 최초로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 공식 발매되었다. 중국 최대의 음반회사인 상하이셩상출판사를 통해 출시된 H.O.T의 앨범은 당초 잘해야 5000장쯤 팔릴 것이라는 회사측의 예상과는 달리 시판 한 달만에 무려 5만장이나 판매되었다.
5-2. 이란
1976년 이슬람 혁명 이전에 서남아시아 국가 중 제일 먼저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양국간의 우의는 무척 돈독하게 이어져 왔다. 테헤란 시 중심에 서울로가 우리나라 서울 강남 금융가에 테레헤란로가 있는 것만 봐도 두 나라는 거의 형제 국에 가까울 정도로 가깝다.
한류 열풍의 핵심에는 한국 드라마의 역할이 크다. 전 국민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몰고 있다.
시아 이슬람 종교 색이 짙은 몇 안 되는 이란 음식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한국 전통의 궁중 최고 요리가 드라나 ‘대장금’을 통해 소개되면서 시청자들을 더욱 매료시켰다. 그리고 단아하면서도 한국적인 곡선미가 들어간 기와지붕과 전통 한옥도 이들에게 매우 관심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우리 전자 제품, 고급 자동차가 테레한 주류 사히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전자, 자동차 최강국 일본보다 한참 늦게 발을 드려놓았지만 한류 열풍은 에너지 부국인 이란 전국을
여덟 번째, 중국 현지에 직접 뛰어들어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에 매달렸던 소수의 기업가적 활동가들을 꼽을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 宇田SOFT의 김윤호 사장을 들 수 있다. 1996년 중국에 간 그는 중국 라디오 방송에서 한국음악 전문코너를 맡아 다양한 장르의 한국 대중음악을 소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한국 댄스음악의 가능성을 인지하였고, 한국 댄스가수의 음반 발매 및 대형 콘서트 기획 등을 위해 많은 중국내 관계자들을 끊임없이 만나고 집요하게 설득하였으며 홍보에도 전력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당시 한국내 최고의 인기 댄스그룹 H.O.T.의 중국내 첫 공식음반이 1998년 5월에 시판되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그 뒤를 이어, 클론, NRG, 베이비복스 등이 계속해서 중국에 진출하게 되었다. (주) Media Plus의 박영교, 정연준 부사장 같은 이들도 1996년 2월 중국의 국제방송국과 합작을 통해 한국음악 프로그램을 송출하는데 기여하였다. 후에, 이들은 중국 국무원 외교부와 문화부의 승인까지 획득하여 중국 각 지역으로 한국음악 프로그램 방송을 확대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공헌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류의 원인을 꼽을 때 한국정부의 숨은 지원과 도움을 빼놓을 수 없다. 정부 차원에서 문화관광부가 한국가수들의 중국 공연을 공식 후원해 왔고, 중국어 음반 작업에 대한 예산 지원과 중국내 한국관련 각종 방송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으며, 01년에는 김한길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이 직접 중국을 방문하여 한국 TV 프로그램의 수입을 완전 개방하기로 합의하게 되었다.
5. 한류 열풍의 현황
\'한류\'는 한자어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히 일시적인 바람의 수준이 아닌, 보다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거대한 \'흐름\'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에 더 이상 한류열풍은 없다 ”
한 때 중국에 ‘한류열풍’이 몰아친 적이 있었다. 한국의 스타가 오면 중국 청소년들이 들썩거리고, 콘서트 한 번 했다하면 표가 매진되고, 공연장 주변 교통이 마비되는 그런 현상이 나타났죠.
한국의 대중스타에게 환호하는 중국 청소년들
1년 전 쯤 중국 청소년들이 피켓과 대형 사진을 들고 누굴 기다리던 모습을 매스컴을 통해 자주 볼 수 있었다.
예전 한류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이정현의 바꿔라는 노래는 중국어로 번안되어 여러 가수가 불렀고 크게 히트했다.
한국 영화 재미나고 뛰어난 것은 중국인들도 익히 잘 안다. 중국의 젊은층에서는 한국의 영화스타들을 잘 안다. 선인허(심은하), 추이즈여우(최지우), 쉐징치우(설경구), 쏭청시앤(송승헌), 쏭캉하오(송강호), 취앤시앙위(권상우), 허즈위앤(하지원), 진시산(김희선), 취앤즈시앤(전지현), 안짜이쉬(안재욱).... 영화배우 뿐 아니라 가수 이름들도 많이 안다. 안치시앤(안칠현, 강타), 장나라(장나라, 발음이 가장 원음에 가까움), HOT 등등... 특히 HOT 해체할 때는 중국팬들도 많이 울었다. 이처럼 수많은 한국 스타들에 중국 청소년들은 열광한다. 김희선은 TCL이라는 중국산 핸드폰 광고에 출연해서 핸드폰 시장의 판도를 바꿔놓았고, 전지현의 광고는 시내 곳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중국인들은 한국영화가 어떻게 그렇게 갑자기 발전하게 되었냐고 묻곱 한다.
그것은 아마 영화에 대한 규제를 없앤 것에 기인할 것이다.
중국은 사상적, 정치적 규제가 너무 많아서 영화 제대로 만들기가 힘들다. 장예모감독이 영웅이라는 영화를 만들었을 때 대부분의 중국인은 장예모 씹기 대회를 열었다 한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장예모가 중국 정부의 입맛에 맞는 영화를 만들어서 정부에 아부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영웅 이전의 장예모 영화는 대개 예술작품 성향이었는데 이번 영화에서 정치적 성향이 짙었기 때문이다.
중국 TV의 특징은 같은 연속극을 여러 채널에서 동시에 방영하고, 이쪽에서 끝나면 저쪽에서 시작하는 식으로 꽤 오랫동안 같은 연속극을 방영한다는 것이다.
만약 대장금을 방영한다면 무척 인기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작권료가 너무 비싸 중국 방송국에서 판권 사기를 꺼려하고 있다.
물론 해적판은 시장에 나온 지 오래 됐지요. 화질도 선명하고 부가 영상도 완벽하게 다 있어서 소장의 가치가 있을 정도라 한다.
5-1. 중국
본격적인 한류 열풍의 진원지는 역시 중국이다. 중국에서는 한국 대중문화와 연예인들을 추종하는 매니아 집단인 소위 ‘하한쭈’(哈韓族)까지 등장할 정도로 많은 젊은이들이 한류에 매료되어 있다.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주역은 대중가요와 방송드라마였다. 먼저 1996년부터 중국내 몇몇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대중음악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홍콩 스타TV의 위성방송을 통해 한국 가요 프로그램이 중국에 방영되기 시작했다. 또한 당시 한국 청소년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그룹 H.O.T의 앨범 ‘행복’이 1998년 5월 17일 한국 음반으로는 최초로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 공식 발매되었다. 중국 최대의 음반회사인 상하이셩상출판사를 통해 출시된 H.O.T의 앨범은 당초 잘해야 5000장쯤 팔릴 것이라는 회사측의 예상과는 달리 시판 한 달만에 무려 5만장이나 판매되었다.
5-2. 이란
1976년 이슬람 혁명 이전에 서남아시아 국가 중 제일 먼저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양국간의 우의는 무척 돈독하게 이어져 왔다. 테헤란 시 중심에 서울로가 우리나라 서울 강남 금융가에 테레헤란로가 있는 것만 봐도 두 나라는 거의 형제 국에 가까울 정도로 가깝다.
한류 열풍의 핵심에는 한국 드라마의 역할이 크다. 전 국민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몰고 있다.
시아 이슬람 종교 색이 짙은 몇 안 되는 이란 음식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한국 전통의 궁중 최고 요리가 드라나 ‘대장금’을 통해 소개되면서 시청자들을 더욱 매료시켰다. 그리고 단아하면서도 한국적인 곡선미가 들어간 기와지붕과 전통 한옥도 이들에게 매우 관심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우리 전자 제품, 고급 자동차가 테레한 주류 사히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전자, 자동차 최강국 일본보다 한참 늦게 발을 드려놓았지만 한류 열풍은 에너지 부국인 이란 전국을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일본 여성들은 왜 한류에 열광하는가?
‘한류(韓流)’와 동아시아 - 동아시아의 화해와 소통의 가능성에 대해서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글로벌 한류와 혁신 전략
한국 TV 드라마와 한류
베트남 내 한류형성의 배경과 원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세계의풍속과문화] 세계속의 한류 현상 내용과 성격
엔터테인먼트와 산업의 이해와 제2의 한류 성공전략 최종(아이돌가수중심)
k-pop 열풍
한류
[사회과학]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