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이고, 히포크라스 시대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동양의학에서 ‘소갈’에 대한 기록이 보이지만, 현대의 당뇨병과 완전히 일치하진 않는다.), 정제설탕을 많이 섭취한 사탕수수 농장주들에게서 다발했던 당뇨병이 사탕수수를 통째로 씹어먹었던 농장 노동자들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의 일반인들은 설탕을 많이 먹으면 당뇨에 걸리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설탕은 몸에 이로울 것이 전혀 없는 물질이다. 오히려 장기적으로 섭취했을 때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해를 입게 된다. 그렇다면, 서양의학적으로 이렇게 해로운 설탕을 동양의학에서는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까? 설탕의 ‘단 맛’은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土氣의 甘味’ 와 같은 것일까?
한의학에서는 단맛을 가진 약은 강화하는 작용, 완화 작용, 조화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五行배속에 따르면 단 맛은 土에 속해 土의 장부인 脾胃의 氣를 길러준다. 또, 苦欲補瀉이론에 따라 심장을 돕기도 한다. 그러나, 단맛이 나는 음식을 과도하게 먹으면 木克土원리에 따라 뼈가 약해져서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며 머리카락이 빠진다.
단 맛이 과도했을 때의 증상은 정제 설탕을 많이 먹었을 때의 증상과도 일치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정제설탕의 감미가 비위의 기를 길러준다거나 심장을 돕는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다. 설탕을 제외한 완전한 자연식품 중 토기가 강한 무설탕 식혜, 기장쌀, 소고기, 미나리 등을 섭취함으로써 우리 몸에 감미를 보충해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 슈거블루스 (윌리엄더프티), 음양오행으로 풀어본 건강상식 백가지 (장동순)
결과적으로, 설탕은 몸에 이로울 것이 전혀 없는 물질이다. 오히려 장기적으로 섭취했을 때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해를 입게 된다. 그렇다면, 서양의학적으로 이렇게 해로운 설탕을 동양의학에서는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까? 설탕의 ‘단 맛’은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土氣의 甘味’ 와 같은 것일까?
한의학에서는 단맛을 가진 약은 강화하는 작용, 완화 작용, 조화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五行배속에 따르면 단 맛은 土에 속해 土의 장부인 脾胃의 氣를 길러준다. 또, 苦欲補瀉이론에 따라 심장을 돕기도 한다. 그러나, 단맛이 나는 음식을 과도하게 먹으면 木克土원리에 따라 뼈가 약해져서 뼈마디가 쑤시고 아프며 머리카락이 빠진다.
단 맛이 과도했을 때의 증상은 정제 설탕을 많이 먹었을 때의 증상과도 일치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정제설탕의 감미가 비위의 기를 길러준다거나 심장을 돕는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 같다. 설탕을 제외한 완전한 자연식품 중 토기가 강한 무설탕 식혜, 기장쌀, 소고기, 미나리 등을 섭취함으로써 우리 몸에 감미를 보충해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 슈거블루스 (윌리엄더프티), 음양오행으로 풀어본 건강상식 백가지 (장동순)
추천자료
신생아 건강사정과 간호
영아의 건강문제
피부와 생활건강
2008 건강예찬 유전자건강법
신체활동과 건강(고혈압)
(아동건강교육)아동의 발달단계별 안전사고를 기술하시오.
[건강한 가정과 가족자원봉사] 건강가정의 의미와 특징, 가족자원봉사를 통한 가족건강성 및 ...
보건진료소 이용정도에 따른 건강지식, 건상상태, 건강의 필요성 인식과 건강행위 이행의 비...
누리과정에서 만 5세 아동건강교육 영역의 내용을 제시하고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특징과 자...
[정신건강론] 정신건강 관련 영화감상평 - 블랙스완 (Black Swan)
[노인건강문제관리] 해외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여성건강간호학) 조산 preterm labor
아동건강교육-전염성질환에 대한 예방접종 및 조기발견과 대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