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필요성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선정절차
3. 단위사업(활동내용)
4. 수행인력
5. 필요한 시설 및 장비
6. 협력관계
Ⅴ. 추진 일정표
Ⅵ. 총괄 진행표
Ⅶ. 평가계획
1. 평가 도구
2. 평가 시기
참고문헌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선정절차
3. 단위사업(활동내용)
4. 수행인력
5. 필요한 시설 및 장비
6. 협력관계
Ⅴ. 추진 일정표
Ⅵ. 총괄 진행표
Ⅶ. 평가계획
1. 평가 도구
2. 평가 시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 순서에 따라 서비스를 받기까지의 대기기간은 개인별차가 있다. 부모교육은 올해 처음 시작했으며, 앞으로는 중·단기간의 부모교육과정(8주내지 10주)을 계획 중에 있다. 사례발표, 직원교육, 학회나 연수참가 등은 그때그때 사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Ⅵ. 총괄 진행표
아래의 음악치료 서비스 총괄진행표는 서비스기간 2년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정기적 평가는 6개월에 한번씩으로, 치료대상자나 장애아동 부모님의 사정과 희망에 따라 조기 종결될 수 있다.
(p.769)
+----------------+
| 대상자 모집 |
+----------------+
.
+----------------+
| 선별판정회의 |
+----------------+
.
+----------------+ +----------------------+
| 대상 선정 +--+ 검사, 상담, 부모교육 |
+----------------+ +----------------------+
.
+----------------+
| 서비스 제공 |
+----------------+
.
+----------------+
| 평가 및 상담 |
+----------------+
.
+----------------+
| 서비스 종결 |
+----------------+
.
+----------------+
| 사후 지도 |
+----------------+
Ⅶ. 평가계획
음악치료의 평가는 매 세션의 상세한 서술식 기록 및 묘사, 분석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정기적인 녹음 및 비디오 녹화를 통해 기록보관 및 분석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공식적인 평가는 1년에 두 차례하고 있으며, 평가서를 작성, 보관중이다.
(p.770)
1. 평가 도구
1) 세션별 녹음 및 녹화를 통한 행동 및 음악적 상호작용의 분석작업 노도프-로빈스 음악 / 행동 반응분석 및 평가도구 기준
2) 매회 치료기록의 종합분석평가
2. 평가시기
1) 접수상담 후 초기평가(검사를 기준으로) 아동의 현재 상태 파악, 계획 수립 자료
2)분기별 평가
치료 진전상태 파악 및 계획수정
3) 종결 평가
치료 종결 결정
참 고 문 헌
Bruscia K. E., Defining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1989, pp.29-54.
Ruud E., Music Therapy and is Relationship to Current Treatment Theories, MMB Music INC, 1995, pp.13-60.
Nordoff P., Robbins C.,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Victor Gollancz LTD, 1971, pp.47-74.
Streeter E.,(김진아 역) \"음악은 특수아동을 어떻게 도울 수 있나요\" (Marking Music with the Young Child with special Neess),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8, pp.8-28.
Ⅵ. 총괄 진행표
아래의 음악치료 서비스 총괄진행표는 서비스기간 2년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정기적 평가는 6개월에 한번씩으로, 치료대상자나 장애아동 부모님의 사정과 희망에 따라 조기 종결될 수 있다.
(p.769)
+----------------+
| 대상자 모집 |
+----------------+
.
+----------------+
| 선별판정회의 |
+----------------+
.
+----------------+ +----------------------+
| 대상 선정 +--+ 검사, 상담, 부모교육 |
+----------------+ +----------------------+
.
+----------------+
| 서비스 제공 |
+----------------+
.
+----------------+
| 평가 및 상담 |
+----------------+
.
+----------------+
| 서비스 종결 |
+----------------+
.
+----------------+
| 사후 지도 |
+----------------+
Ⅶ. 평가계획
음악치료의 평가는 매 세션의 상세한 서술식 기록 및 묘사, 분석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정기적인 녹음 및 비디오 녹화를 통해 기록보관 및 분석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공식적인 평가는 1년에 두 차례하고 있으며, 평가서를 작성, 보관중이다.
(p.770)
1. 평가 도구
1) 세션별 녹음 및 녹화를 통한 행동 및 음악적 상호작용의 분석작업 노도프-로빈스 음악 / 행동 반응분석 및 평가도구 기준
2) 매회 치료기록의 종합분석평가
2. 평가시기
1) 접수상담 후 초기평가(검사를 기준으로) 아동의 현재 상태 파악, 계획 수립 자료
2)분기별 평가
치료 진전상태 파악 및 계획수정
3) 종결 평가
치료 종결 결정
참 고 문 헌
Bruscia K. E., Defining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1989, pp.29-54.
Ruud E., Music Therapy and is Relationship to Current Treatment Theories, MMB Music INC, 1995, pp.13-60.
Nordoff P., Robbins C.,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Victor Gollancz LTD, 1971, pp.47-74.
Streeter E.,(김진아 역) \"음악은 특수아동을 어떻게 도울 수 있나요\" (Marking Music with the Young Child with special Neess),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8, pp.8-2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