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 효과이론- 의제설정기능이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컴 효과이론- 의제설정기능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의제설정기능이론의 등장
1) 한정효과(소 효과이론)에 대한 도전
2) '의제설정'개념의 기원과 발전

III. 의제설정의 개념 및 가정
1) 의제 및 의제설정의 개념 2) 기본 가정
3) 조건적 가정

IV. 의제설정기능 이론에 대한 실증연구
1. 의제설정기능 이론에 대한 실증연구
1) McCombs와 Shaw에 의한 최초의 연구
2) McLeod등에 의한 재 검증 연구
2. 연구모델의 확장과 기타논의
1) 연구모델의 확장
2) 기타 논의들

V. 의제설정기능 이론에 대한 비판과 평가
1) 의제 설정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2) 의제설정기능이론에 대한 평가와 과제

VI. 결론

본문내용

Ⅱ. 의제설정기능이론의 등장
1. 한정효과(소 효과이론)에 대한 도전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이론의 역사를 간단히 되돌아보면, 초기에는 탄환이론이 크게 유행했으나, 194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한정효과이론이 크게 대두되었다. 그때부터 매스 미디어의 영향은 보 잘 것 없는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했고 커뮤니케이션 2단계 유통가설이 1955년 발표되자 탄환이론은 그 타당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거기에다가 1960년에 Joseph Klapper가 소위 '소 효과이론'을 들고 나옴으로써, 매스 미디어의 영향력 내지 효과는 과소평가되었고 이것은 1970년대 이전까지 커뮤니케이션 학계를 지배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다가 1960년대 후반에 와서야 비로소 소 효과이론에 대한 도전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것은 Sears와 Freedman에 의한 것으로써 소 효과이론의 기본적 가정의 하나로 내세우고 있던 '선별적 노출(selective information)'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모두 조사해서 종합했다. 그들은 "수용자들은 자신의 기존태도나 입장에 지지적인 정보(supportive information)를 선호하는 심리적 성향이 있다"는 가정에는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이와 같은 매스 미디어효과에 관한 기존의 입장에 도전, 새로운 입장에서 매스 미디어의 효과를 재 고찰해 보자는 움직임이 1960년대 후반부터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게 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의제설정이론이다.
2. '의제설정'개념의 기원과 발전
의제설정 기능이론의 기원은 1922년 출판된 Walter Lippmann의 Public Opinion에서 그 뿌리를 찾아볼 수 있지만 그것이 공식적 이론 내지는 가설로서 처음 제창된 것은 1972년 Maxwell E . McCombs와 Donald L. Shaw에 의해서였다. 하지만 이들이 이 이론에서 내세운 핵심개념인 '의제설정'이라는 개념은 그 이전에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논의된 바 있었던 것이었는데, 이것에 대하여 가장 명확하게 서술한 사람은 Bernard C. Cohen이다. 1963년 출판되었던 Cohen의 The Press and Foreign Policy에서는 "언론은 정보와 의견의 단순한 조달자가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이다. '무엇을 생각'(what to think)할 것이냐를 사람들에게 말해 주는데 있어서는 그것이 항상 성공적이라고는 할 수 없겠으나,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5.23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613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