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통합의 개념 및 정의
Ⅱ.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① Dewey 의 실용주의 및 아동중심교육이론
② Piaget 의 인지발달-상호작용주의 이론
③ Vygotsky 의 사회적 상호발달주의 이론
④ Erikson 의 심리사회이론
⑤ Gardner 의 다중지능이론
Ⅲ. 프로젝트 접근법(문학적 접근법)에 의한
주제선정 및 교육계획안 작성
① 프로젝트접근법이란? - 문학적 접근법이란?
② 주제선정 및 주제망 작성
③ 교육계획안 작성
Ⅳ 참고문헌
Ⅱ.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① Dewey 의 실용주의 및 아동중심교육이론
② Piaget 의 인지발달-상호작용주의 이론
③ Vygotsky 의 사회적 상호발달주의 이론
④ Erikson 의 심리사회이론
⑤ Gardner 의 다중지능이론
Ⅲ. 프로젝트 접근법(문학적 접근법)에 의한
주제선정 및 교육계획안 작성
① 프로젝트접근법이란? - 문학적 접근법이란?
② 주제선정 및 주제망 작성
③ 교육계획안 작성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정 및 주제망 작성
우리 원은 문학적으로 접근한 동화 프로젝트로 수업을 진행한다. 만4세반인 우리 반 역시 동화 프로젝트로 수업을 진행했다. 주제가 되는 동화는 아이들의 흥미가 높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창의력을 키워 줄 수 있는, 실생활에 경험하지 못한 부분까지 경험을 줄 수 있는 그런 동화를 선정한다, 그러다 보니 교사가 여러 선정 기준을 참고하여 동화를 선정 하게 되었다. 단원 중심 주제의 흐름과 비슷하게 가다보니 학기 초에는 친구와 관련된 동화를 선정 했고, 계절이 바뀔 땐 계절에 어울리는 동화도 선정했다. 중간 중간엔 우리나라 전래동화도 넣어서 명절이나 국경일 등에 우리나라 동화에 관심을 갖고 경험해보도록 했다. 그리고 이번 동화는 추석을 보내고 아이들이 먹었던 음식을 이야기 하다가 ‘사과’를 먹었다는 유아들이 많았는데, 아이들이 사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마침, 사과를 보내주신 어머님이 계셔서 나눠 먹다 보니 아이들이 사과는 어디에서 열리고 만들어지며 어떻게 따는지더 궁금해 했다. 그래서 사과에 관련된 동화 중 동물들이 등장하여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 등 재미있는 구성으로 ‘ 또또와 사과나무’ 라는 동화를 선정하게 되었다
<동화- 또또와 사과나무 소개>
또또는 사과가 너무 먹고 싶은 마음에 사과를 따러 오는 동물들을 따라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 또또는 중간에 포기하거나, 화를 내지 않고 끝까지 사과를 얻으려는 마음에 결국 친구와의 협동으로 성공을 하여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준다.
창의력의 기본 요소가 되는 관찰력은 주의 깊게 사물을 인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발상으로 이어 진다. <또또와 사과나무>는 등장하는 동물들이 많고 각 동물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나와 비교해보는 관찰 및 탐구의 자세를 그리고 있다
주인공 또또는 중간 중간 여러 동물들을 따라하지만, 잘 되지 않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끝까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또또는 키가 작아 큰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딴다는 것이 당연히 힘들지만, 동물들의 등장으로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동물들이 사과를 딸 때 나는 여러 가지 의성어, 의태어들이 글을 간략하고 눈에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무엇보다 사과나무는 흑색으로, 사과는 빨간색으로 표현한 기법은 내용의 주를 이루는 사과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등장하는 동물들도 화려한 색채 보다는 연필로 그린 듯한 느낌으로 간결하면서도 동물들의 특징을 잘 고려하여 묘사를 했다. 배경이나 등장하는 대부분 역시 터치한 듯 흑색이 주를 이루고 빨간 사과가 눈에 들어온다. 표지역시 빨간 테두리를 사용하여 사과나무의 사과에 대한 인상을 더 강렬히 심어주었고, 동화 전반에 ‘사과’ 에 중심을 두고 관찰 할 수 있도록 색체에 더 세심한 표현을 했다.
주제망
긴 목 긴 코 점프 비둘기 캥거루 원숭이
사과를 따는 방법 사과를 따는 동물 기린
날개로 날아서 코의 힘 생쥐 물개 코뿔소 코끼리
또또와 사과나무
도끼 사다리 사과 쨈 사과파이
도구 사용하기 사과로 만든 요리
긴 막대 돌 사과 쥬스 사과 케익
푸드득푸드득 쿵쿵쿵 성큼성큼
사과를 딸 때 나는 소리
( 의성어*의태어 )
폴짝폴짝 대롱대롱 두리번두리번
Ⅳ 참고문헌
방인옥 외5 <유아교과교육론> 창지사 2001
권영례. 서영숙 <교과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1
박성연.도현심 <아동발달> 동문사 2001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3
이연승 <창의적 활동을 위한 주제 중심 통합교육과정> 시그마프레스 2006
http://cafe.daum.net/aisarng 보육동산
http://www.changsa.com/dongwha.htm 창의사고 -동화프로젝트-
우리 원은 문학적으로 접근한 동화 프로젝트로 수업을 진행한다. 만4세반인 우리 반 역시 동화 프로젝트로 수업을 진행했다. 주제가 되는 동화는 아이들의 흥미가 높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창의력을 키워 줄 수 있는, 실생활에 경험하지 못한 부분까지 경험을 줄 수 있는 그런 동화를 선정한다, 그러다 보니 교사가 여러 선정 기준을 참고하여 동화를 선정 하게 되었다. 단원 중심 주제의 흐름과 비슷하게 가다보니 학기 초에는 친구와 관련된 동화를 선정 했고, 계절이 바뀔 땐 계절에 어울리는 동화도 선정했다. 중간 중간엔 우리나라 전래동화도 넣어서 명절이나 국경일 등에 우리나라 동화에 관심을 갖고 경험해보도록 했다. 그리고 이번 동화는 추석을 보내고 아이들이 먹었던 음식을 이야기 하다가 ‘사과’를 먹었다는 유아들이 많았는데, 아이들이 사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마침, 사과를 보내주신 어머님이 계셔서 나눠 먹다 보니 아이들이 사과는 어디에서 열리고 만들어지며 어떻게 따는지더 궁금해 했다. 그래서 사과에 관련된 동화 중 동물들이 등장하여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 등 재미있는 구성으로 ‘ 또또와 사과나무’ 라는 동화를 선정하게 되었다
<동화- 또또와 사과나무 소개>
또또는 사과가 너무 먹고 싶은 마음에 사과를 따러 오는 동물들을 따라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 또또는 중간에 포기하거나, 화를 내지 않고 끝까지 사과를 얻으려는 마음에 결국 친구와의 협동으로 성공을 하여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준다.
창의력의 기본 요소가 되는 관찰력은 주의 깊게 사물을 인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발상으로 이어 진다. <또또와 사과나무>는 등장하는 동물들이 많고 각 동물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나와 비교해보는 관찰 및 탐구의 자세를 그리고 있다
주인공 또또는 중간 중간 여러 동물들을 따라하지만, 잘 되지 않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끝까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또또는 키가 작아 큰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딴다는 것이 당연히 힘들지만, 동물들의 등장으로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고 동물들이 사과를 딸 때 나는 여러 가지 의성어, 의태어들이 글을 간략하고 눈에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무엇보다 사과나무는 흑색으로, 사과는 빨간색으로 표현한 기법은 내용의 주를 이루는 사과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등장하는 동물들도 화려한 색채 보다는 연필로 그린 듯한 느낌으로 간결하면서도 동물들의 특징을 잘 고려하여 묘사를 했다. 배경이나 등장하는 대부분 역시 터치한 듯 흑색이 주를 이루고 빨간 사과가 눈에 들어온다. 표지역시 빨간 테두리를 사용하여 사과나무의 사과에 대한 인상을 더 강렬히 심어주었고, 동화 전반에 ‘사과’ 에 중심을 두고 관찰 할 수 있도록 색체에 더 세심한 표현을 했다.
주제망
긴 목 긴 코 점프 비둘기 캥거루 원숭이
사과를 따는 방법 사과를 따는 동물 기린
날개로 날아서 코의 힘 생쥐 물개 코뿔소 코끼리
또또와 사과나무
도끼 사다리 사과 쨈 사과파이
도구 사용하기 사과로 만든 요리
긴 막대 돌 사과 쥬스 사과 케익
푸드득푸드득 쿵쿵쿵 성큼성큼
사과를 딸 때 나는 소리
( 의성어*의태어 )
폴짝폴짝 대롱대롱 두리번두리번
Ⅳ 참고문헌
방인옥 외5 <유아교과교육론> 창지사 2001
권영례. 서영숙 <교과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1
박성연.도현심 <아동발달> 동문사 2001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3
이연승 <창의적 활동을 위한 주제 중심 통합교육과정> 시그마프레스 2006
http://cafe.daum.net/aisarng 보육동산
http://www.changsa.com/dongwha.htm 창의사고 -동화프로젝트-
추천자료
통합적 유아교육 과정의 구성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 원리로서 스코프, 통합성, 연속성, 계열성을 자신의 전공과목과 관련하...
열린교육의 의미, 열린교육의 성격, 열린교육의 전제, 열린교육과 개별화학습, 열린교육과 주...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성격,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원리와 과정,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아동문학 작품을 통해 유아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가
아동문학작품을 통해 어떻게 유아교육과정의 5개 발달영역(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생활)과 ...
통합 교육 과정
구성주의와 통합 교육 과정 - 구성주의 이론적 배경, 지적 기능의 세 가지 관점, 라바텔리 프...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자폐아동)의 의미, 지적 특성,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
교육정보화 의미, 교육정보화 효과, 교육정보화 필요성, 교육정보 통합규격과 보급방안, 교육...
[유아미술교육] 미술 감상교육의 중요성, 미술 감상 교육 내용 및 방법, 통합적 미술교육, 통...
아동문학작품을 통해 어떻게 유아교육과정의 5개 발달영역(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생활)과 연계...
유아특수교육 (유아특수교육의 정의 및 목적, 유아특수교육의 필요성 및 관련 법령, 유아특수...
지리과와 과학과의 교육과정 재구성 - 지리과의 기후영역과 과학과의 지구과학영역 비교,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