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一.중국의 영토
1. 중국의 영역
2. 중국 영토의 역사적 변천
3. 중국의 지형
4. 중국의 행정구역
5. 중국 지명 상식
6. 중국의 지역문화 구분
二. 중국인
1. 개설
2. 중국의 한족(漢族)
3. 중국의 소수민족
三. 중국 왕조 흥망사
1. 하(夏)
2. 상(商)
3. 주(周)
4. 춘추전국(春秋戰國)
5. 진(秦)․한(漢)
6. 삼국․양진․남북조
7. 수(隋)․당(唐)
8. 오대(五代)․송(宋)․원(元)
9. 명․청
사(四) 중국문화에 영향을 끼친 전통사상
1. 유가
2. 도가.
3. 불교.
4. 음양오행
오(五). 중국의 예술
1. 소설
2. 희곡
3. 서예와 회화
육(六). 우주 및 인류 기원에 관한 중국의 신화와 전설
1. 반고의 개벽신화
2. 여와의 인간 창조신화
3. 중국의 시조 황제에 관한 전설
칠(七). 중국의 종교
1.도교.
2. 불교
3. 이슬람교
4. 기독교
5. 중국 민중들의 여러 신
팔(八). 중국의 음식문화
1. 세계 각국의 요리 중에서 중국요리
2. 중국의 대중적인 음식
3. 식사 관련 예절
4. 서양식 패스트푸드의 등장
5. 중국의 술
6. 중국의 차
九. 중국인의 심리와 민족 성격
1. 전통사상으로부터 본 중국인의 심리
2. 중국인의 성격
十. 중국의 언어
1. 표준말과 중국어
2. 보통화(普通話)
3. ‘보통화’ 명칭의 유래
4. 중국어의 성조(聲調)
5. 한어(漢語)와 중국어(中國語)
십일. 중국의 문자
1. 중국 문자의 기원
2. 한자의 원조 : 갑골문(甲骨文)
3. 갑골문 이후 중국 문자의 발달
4. 간체자(簡體字)와 번체자(繁體字)
5. 한자의 수
十二. 중국인의 의식주행(衣食住行)
1. 의복
2. 음식
3. 거주
4. 행(行 교통 수단)
십삼. 중국인의 생활 풍속
1. 결혼 풍속
1. 중국의 영역
2. 중국 영토의 역사적 변천
3. 중국의 지형
4. 중국의 행정구역
5. 중국 지명 상식
6. 중국의 지역문화 구분
二. 중국인
1. 개설
2. 중국의 한족(漢族)
3. 중국의 소수민족
三. 중국 왕조 흥망사
1. 하(夏)
2. 상(商)
3. 주(周)
4. 춘추전국(春秋戰國)
5. 진(秦)․한(漢)
6. 삼국․양진․남북조
7. 수(隋)․당(唐)
8. 오대(五代)․송(宋)․원(元)
9. 명․청
사(四) 중국문화에 영향을 끼친 전통사상
1. 유가
2. 도가.
3. 불교.
4. 음양오행
오(五). 중국의 예술
1. 소설
2. 희곡
3. 서예와 회화
육(六). 우주 및 인류 기원에 관한 중국의 신화와 전설
1. 반고의 개벽신화
2. 여와의 인간 창조신화
3. 중국의 시조 황제에 관한 전설
칠(七). 중국의 종교
1.도교.
2. 불교
3. 이슬람교
4. 기독교
5. 중국 민중들의 여러 신
팔(八). 중국의 음식문화
1. 세계 각국의 요리 중에서 중국요리
2. 중국의 대중적인 음식
3. 식사 관련 예절
4. 서양식 패스트푸드의 등장
5. 중국의 술
6. 중국의 차
九. 중국인의 심리와 민족 성격
1. 전통사상으로부터 본 중국인의 심리
2. 중국인의 성격
十. 중국의 언어
1. 표준말과 중국어
2. 보통화(普通話)
3. ‘보통화’ 명칭의 유래
4. 중국어의 성조(聲調)
5. 한어(漢語)와 중국어(中國語)
십일. 중국의 문자
1. 중국 문자의 기원
2. 한자의 원조 : 갑골문(甲骨文)
3. 갑골문 이후 중국 문자의 발달
4. 간체자(簡體字)와 번체자(繁體字)
5. 한자의 수
十二. 중국인의 의식주행(衣食住行)
1. 의복
2. 음식
3. 거주
4. 행(行 교통 수단)
십삼. 중국인의 생활 풍속
1. 결혼 풍속
본문내용
특징에서 따옴 : 흑룡강성, 요녕성, 하북성, 하남성, 산동성, 산서성, 호북성, 호남 성, 섬서성, 청해성
수도를 나타내는 경(京) : 지명 뒤에 경자가 붙으면 수도를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자고로 황제가 거주하는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불렀다.
음양과 지명 : 중국 사람들은 산의 남쪽이나 하천의 북쪽을 양(陽)이라 했고 그 반대를 음(陰)이라 했다.⇒화음. 형양. 낙양. 회음.
6. 중국의 지역문화 구분
중국은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독특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기나긴 역사광대한 지역다양한 민족 구성 등의 제요소들은 근본적으로 중국의 모습을 단순하고도 단일한 형태를 갖게 하는 것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의 특성으로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서 인식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황하문화
황하 중상류의 중국의 고대 문화, 일명 제(齊)노(魯)문화를 일컫는다. 초기의 중국인들은 황하 중상류 지역에서 생활하였으며, 언어와 문자도 이곳에서 창조되었으며, 신화와 전설 또한 이곳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다. 황하는 중국 민족에게 있어서는 어머니와 같은 강이며 중국인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행정구역
약칭
성정부소재지
비고
북경
경
직할시
상해
호
천진
진
중경
투
하북성
기
석가장
성
하남성
예
정주
산동성
노
제남
산서성
진
태원
섬서성
진
서안
요녕성
요
심양
길림성
길
장춘
흑룡강성
흑
하얼빈
강소성
소
남경
절강성
절
향주
안휘성
환
합비
복건성
민
복주
강서성
감
남창
호북성
악
무한
호남성
상
장사
해남성
경
해구
광동성
월
광주
사천성
촉
성도
귀주성
검
귀양
운남성
전
곤명
감숙성
롱
난주
청해성
청
서녕
광서장족자치구
계
남녕
자치구
서장티베트족자치구
장
랍살
영하회족자치구
영
은천
신강위구르족자치구
신
오로목제
내몽고자치구
내몽고
호화호특
(대만)
대
대북
장강문화
고고학자들은 양자강 유역에서 발굴된 유적들이 황하보다 앞선 시기가 있다하여 중국문화의 발원지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것은 이 문명이 황하 문명보다 역사 발전에 끼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중국 문화의 기원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지역은 일찌감치 발달된 쌀 문화, 예술과 제련 기술의 극치를 보여주는 월왕(越王)의 보검 등은 중국문화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데에 일조를 담당한 양자강문화의 존재를 알리는 데에 충분하다..
관동문화
관동 지역은 동북 지역을 가리키는데 이곳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수렵과 목축을 주업으로 하였다. 따라서 학자들은 관동문화를 수렵문화로 분류하고 있다.
화남 및 서남문화
이곳의 지형과 기후는 매우 복잡하고 민족 성분이 가장 복잡한 지역이라 매우 복잡다단한 특성을 갖는다. 그래서 비록 넓은 범주의 중국문화이지만, ‘오리부동속(五里不同俗), 십리부동어(十里不同語)’ 즉 다섯리만 걸어가도 풍속이 다르고 십 리를 가면 사용하는 언어가 틀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서북 소수민족 문화
이곳은 자고로 여러 민족과 각종의 여러 문화가 합쳐진 지역이다. 주민들도 회족위그루족티베트족으로 이루어져있고, 중원과 멀리 떨어져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황하 문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二. 중국인
1. 개설
중국인들은 자신을 처음 만든 창조주는 전설에 나오는 여와라고 생각하고 있다. 여와가 황토로 자신들을 만들어 땅에 대해 애착이 강하다.
중국은 의심할 여지없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글 갖고 있다. 그러나 전체 인구의 95%가 중부와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은 다민족이 함께 모여 살고 있는 일종의 인종 전시장이다. 모두 56개의 서로 다른 민족들이 있으나 그 중 한족이 전체 인구의 93%를 점하고 있다.
중국인의 전통관념과 국가 정책의 시행 착오로 인하여 중국은 인구문제로 커다란 압박을 받고 있다.
2. 중국의 한족(漢族)
한족은 세계의 각 민족 중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전통적으로 자녀가 많은 대가정을 원하고 있어서 갈수록 인구는 더 많아지게 된 것이다. 근대 공산당 정권이 수립된 후에도 사람은 가장 소중한 재산이라는 원칙을 가지고 50년대와 60년대에는 자식을 많이 낳는 것을 장려하기도 했다.
3. 중국의 소수민족
중국의 소수민족은 모두 55개의 민족인데, 아직도 식별이 안되는 민족도 있다.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들의 독립에 관한 움직임에 매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어 계획적으로 한족들을 이주케하고 있으며, 독립 경향이 가장 강한 티베트 지역과 신강 지구에서는 군대를 동원하여 무력 진압하고 있다. 또한 소수민족들을 한족 거주지역으로 이주하기도 하여 점차 한족으로 동화되는 소수민족들도 있다.
三. 중국 왕조 흥망사
1. 하(夏)
일반적으로 중국의 왕조사는 하왕조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되어 있다. 다만 이 왕조의 실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
한(漢)나라의 역사가 사마천이 지은 『사기(史記)』에 의하면 하왕조는 모두 14대 17명에 걸쳐 왕위가 계승되었으며, 4백 년간 지속되었다고 한다.
2. 상(商)
기원전 약 17세기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1899년, 우연한 기회에 상나라 때 사용하던 문자인 갑골문의 발견으로 인하여 전설적인 왕조가 아니라 실제 존재하였던 왕조임이 밝혀졌다.
상부족은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는데, 오랫동안 수도의 역할을 한 은(殷)이라는 곳의 지역 이름을 따서 은왕조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나라는 탕왕으로부터 시작하여 17대 31명의 왕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약 육백년간 지속되었다.
3. 주(周)
주나라 초기에 왕실 친척들을 지방의 각 제후로 봉하여 다스리게 하는 봉건제를 실시하였다. 이후 71개의 제후국이 생겨났으며, 이들은 주나라 왕실을 종실로 하여 각자 지역의 통치를 담당하였다.
기원전 770년, 평왕이 즉위하여 수도를 낙읍(오늘날의 하남성 낙양)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이를 기점으로 이전을 서주(西周), 이후를 동주(東周)라 일
수도를 나타내는 경(京) : 지명 뒤에 경자가 붙으면 수도를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자고로 황제가 거주하는 수도를 경사(京師)라고 불렀다.
음양과 지명 : 중국 사람들은 산의 남쪽이나 하천의 북쪽을 양(陽)이라 했고 그 반대를 음(陰)이라 했다.⇒화음. 형양. 낙양. 회음.
6. 중국의 지역문화 구분
중국은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독특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기나긴 역사광대한 지역다양한 민족 구성 등의 제요소들은 근본적으로 중국의 모습을 단순하고도 단일한 형태를 갖게 하는 것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의 특성으로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서 인식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황하문화
황하 중상류의 중국의 고대 문화, 일명 제(齊)노(魯)문화를 일컫는다. 초기의 중국인들은 황하 중상류 지역에서 생활하였으며, 언어와 문자도 이곳에서 창조되었으며, 신화와 전설 또한 이곳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다. 황하는 중국 민족에게 있어서는 어머니와 같은 강이며 중국인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행정구역
약칭
성정부소재지
비고
북경
경
직할시
상해
호
천진
진
중경
투
하북성
기
석가장
성
하남성
예
정주
산동성
노
제남
산서성
진
태원
섬서성
진
서안
요녕성
요
심양
길림성
길
장춘
흑룡강성
흑
하얼빈
강소성
소
남경
절강성
절
향주
안휘성
환
합비
복건성
민
복주
강서성
감
남창
호북성
악
무한
호남성
상
장사
해남성
경
해구
광동성
월
광주
사천성
촉
성도
귀주성
검
귀양
운남성
전
곤명
감숙성
롱
난주
청해성
청
서녕
광서장족자치구
계
남녕
자치구
서장티베트족자치구
장
랍살
영하회족자치구
영
은천
신강위구르족자치구
신
오로목제
내몽고자치구
내몽고
호화호특
(대만)
대
대북
장강문화
고고학자들은 양자강 유역에서 발굴된 유적들이 황하보다 앞선 시기가 있다하여 중국문화의 발원지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것은 이 문명이 황하 문명보다 역사 발전에 끼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중국 문화의 기원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지역은 일찌감치 발달된 쌀 문화, 예술과 제련 기술의 극치를 보여주는 월왕(越王)의 보검 등은 중국문화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데에 일조를 담당한 양자강문화의 존재를 알리는 데에 충분하다..
관동문화
관동 지역은 동북 지역을 가리키는데 이곳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수렵과 목축을 주업으로 하였다. 따라서 학자들은 관동문화를 수렵문화로 분류하고 있다.
화남 및 서남문화
이곳의 지형과 기후는 매우 복잡하고 민족 성분이 가장 복잡한 지역이라 매우 복잡다단한 특성을 갖는다. 그래서 비록 넓은 범주의 중국문화이지만, ‘오리부동속(五里不同俗), 십리부동어(十里不同語)’ 즉 다섯리만 걸어가도 풍속이 다르고 십 리를 가면 사용하는 언어가 틀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서북 소수민족 문화
이곳은 자고로 여러 민족과 각종의 여러 문화가 합쳐진 지역이다. 주민들도 회족위그루족티베트족으로 이루어져있고, 중원과 멀리 떨어져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황하 문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二. 중국인
1. 개설
중국인들은 자신을 처음 만든 창조주는 전설에 나오는 여와라고 생각하고 있다. 여와가 황토로 자신들을 만들어 땅에 대해 애착이 강하다.
중국은 의심할 여지없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글 갖고 있다. 그러나 전체 인구의 95%가 중부와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은 다민족이 함께 모여 살고 있는 일종의 인종 전시장이다. 모두 56개의 서로 다른 민족들이 있으나 그 중 한족이 전체 인구의 93%를 점하고 있다.
중국인의 전통관념과 국가 정책의 시행 착오로 인하여 중국은 인구문제로 커다란 압박을 받고 있다.
2. 중국의 한족(漢族)
한족은 세계의 각 민족 중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전통적으로 자녀가 많은 대가정을 원하고 있어서 갈수록 인구는 더 많아지게 된 것이다. 근대 공산당 정권이 수립된 후에도 사람은 가장 소중한 재산이라는 원칙을 가지고 50년대와 60년대에는 자식을 많이 낳는 것을 장려하기도 했다.
3. 중국의 소수민족
중국의 소수민족은 모두 55개의 민족인데, 아직도 식별이 안되는 민족도 있다.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들의 독립에 관한 움직임에 매우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어 계획적으로 한족들을 이주케하고 있으며, 독립 경향이 가장 강한 티베트 지역과 신강 지구에서는 군대를 동원하여 무력 진압하고 있다. 또한 소수민족들을 한족 거주지역으로 이주하기도 하여 점차 한족으로 동화되는 소수민족들도 있다.
三. 중국 왕조 흥망사
1. 하(夏)
일반적으로 중국의 왕조사는 하왕조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되어 있다. 다만 이 왕조의 실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
한(漢)나라의 역사가 사마천이 지은 『사기(史記)』에 의하면 하왕조는 모두 14대 17명에 걸쳐 왕위가 계승되었으며, 4백 년간 지속되었다고 한다.
2. 상(商)
기원전 약 17세기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1899년, 우연한 기회에 상나라 때 사용하던 문자인 갑골문의 발견으로 인하여 전설적인 왕조가 아니라 실제 존재하였던 왕조임이 밝혀졌다.
상부족은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는데, 오랫동안 수도의 역할을 한 은(殷)이라는 곳의 지역 이름을 따서 은왕조라고 칭하기도 한다.
상나라는 탕왕으로부터 시작하여 17대 31명의 왕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약 육백년간 지속되었다.
3. 주(周)
주나라 초기에 왕실 친척들을 지방의 각 제후로 봉하여 다스리게 하는 봉건제를 실시하였다. 이후 71개의 제후국이 생겨났으며, 이들은 주나라 왕실을 종실로 하여 각자 지역의 통치를 담당하였다.
기원전 770년, 평왕이 즉위하여 수도를 낙읍(오늘날의 하남성 낙양)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이를 기점으로 이전을 서주(西周), 이후를 동주(東周)라 일
추천자료
중화인민공화국 50년사를 읽고..
북한의 최고인민회의에 대하여
[구 소련 동구지역 연구]소비에트 공화국
현대중국의 이해(100년의 꿈,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 파워포인트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죽은인간이 지배하는「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비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을 읽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북한 헌법)
중국근현대사 - 역사를 알면 길이 보인다! (아편전쟁과 혼란기, 개혁의 시기,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정치외교론] 전국 인민 대표대회 (전인대).pptx
마오쩌둥(毛澤東/모택동) 혁명의 유산 - 중국혁명의 대장정, 중화인민공화국건립과 중국식 사...
마오쩌둥 혁명의 유산,중국혁명,중화인민공화국건립,사회주의체제,마오쩌둥의 시대별 대외정책
문화대혁명,중화인민공화국,대약진,해서파관,홍위병,패왕별희 사회현상,문혁에 대한 중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