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부터 임시 정부 수립 미 해방 이후 까지--한국근대사의 이해 및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강점기부터 임시 정부 수립 미 해방 이후 까지--한국근대사의 이해 및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로 한국은 내정외교의 권리를 빼앗기고 유명무실한 독립국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한국의 정치는 명실공히 통감의 수중에 들어가게 된것이다. 그 해 8월에는 군대를 해산하고,1909년 7월에는 사법 및 감옥사무를 일본에 위임하고 1910년 8월에는 경찰권을 위임당하였다.사지를 자르고,눈을 빼고,머리를 잘라 모든 권리를 박탈한 후 1910년에 병합조약을 체결하였다.
군대가 경계를 하고 헌병들이 순회하는 가운데 1910년 8월 22일 총리대신 이완용과 통감 테라우치 사이에 조인된 한일합병조약은 비밀에 붙였다가 8월 29일 공표되었다. 그 내용은 “일본 황제와 한국 황제는 양국간의 특수하고 긴밀한 관계를 고려하여 서로의 행복을 증진하며 동양의 평화를 영구히 확보하고자 하며,이를 위하여 한국을 일본제국에 병합함이 최선이라고 확신하여 이에 양국간의 병합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한다.”라고하는 전문과 제1조 한국 정부에 관한 일체의 통치권을 완전.영구히 일본황제에게 양여한다 등의 8개조로 되어있다.이로써 조선왕조는 517년만에 나라를 잃게되고 한민족은 나라없는 민족이 되었으며,한반도는 잔인무도한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되어 온갖 압박과 착취를 받게 되었다.
한국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 일본은 지속적으로 한국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수탈과 침략을 자행하고,결국 한국을 식민지로 병합하였다.이 과정에서 일본은 시종 불법적인 침략행위를 일삼아,한국의 영토와 주권을 침해하였다.이 과정에서 일본은 불법적으로 한국의 내정에 간섭하고 親日세력을 양성하고 反日세력을 탄압하면서,그들의 제국주의적 야욕을 한국에 관철 시켰다.일본의 한국침략은 한국민족을 주체로 한 근대사회의 성립을 왜곡.저지시켰고,반대로 일본이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일본은 한국의 침략에 뒤이은 식민지 지배를 통해,선진자본주의와 제국주의국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일본의 한국침략과정
조약명 (연대)
한국대표
일본대표
결 과
한일의정서(1904)
이지용
하야시 林權助
내정간섭.군기지확보
제1차한일협약(1904)
윤치호
//
고문정치
을사조약(1905)
박제순
//
보호정치,통감부설치
한일신협약(1907)
이완용
이토 伊藤博文
차관정치
한일합방조약(1910)
//
데라우치寺內正毅
한일합방
<한일 합방 조약의 주내용>
일본 황제와 한국 황제는 양국간의 특수하고 긴밀한 관계를 고려하여 서로의 행복을 증진하며 동양의 평화를 영구히 확보하고자 하며,이를 위하여 한국을 일본 제국에 병합함이 최선이라고 확신하여 이에 양국간에 병합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고···············(전문)
0.한국 정부에 대한 일체의 통치권을 완전하고 영구히 일본 황제에게 넘겨준다.(제1조)
0.일본 황제는 한국의 왕실,왕족 및 병합에 공이 있는 한국인에게 일본의 작위와 하사금을 내려준다.(제3,4,5조)
0.성의를 다해 충실하게 일본의 한국 통치를 존중하는 한국인 중 자격을 갖춘자는 사정이 허락하는 한 한국 내의 일본 관리로 임명한다.(제 7조)
일제시대의 성격논쟁
<일제시대시기구분>
0.강만길
1.1910 - 3.1운동
2.3.1운동이후 - 만주사변(1931)
3.만주사변이후 일본패전
제 1기는 ‘합방’에 반대하는 의병전쟁과 애국계몽운동을 탄압하기 위하여
무단통치의 분위기 분위기 속에서 행정.경제.사회.문화면에서 식민통치
의 기반을 마련해 갔던시기
제 2기는 소위 ‘문화정치’를 기틀로 민족분열과 회유정책으로 바꾸어간
시기로써 친일세력을 확대시켜 식민통치의 기반을 한층 더 공고히
하였던 시기
제 3기는 ‘대정 데모크라시’시기가 끝나고 팟쇼 체제로 넘어가면서 침략
전쟁을 확대하여 식민지 조선에 대한 전쟁협력을 강요하던 시기
0.김운태
1)식민통치준비기(1905 을사 ‘보호국’화의 식민지배 초기 상황에서 1910년:합병‘조약까지)
2)식민통치형성기(1910년 ’합병‘조약부터 식민지지배체제를 확립하는 1919년 3.1독립운동기간)
3)회유조정시기(1919년에서 식민정책을 반성,심화시키면서 1931년 만주사변까지의 기간)
4)병참기지화시기(1931년에서 대륙본토 침략을 확대하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까지의 기간)
5)전시동원기(1937년에서 태평양 세계대전을 도발하여 1945년에서 1945년 8.15패전과 광복까지 의 기간)
0일본의 구분
1)1900년에서 제1차세계대전을 거쳐 1918년(大正 7년)쌀소동 까지의 제국주의 이행기
2)쌀소동에서 1931년 만주사변까지의 전반적 위기의 격화시기
3)만주사변에서 1945년 패전까지의 제국주의 이행시기
<식민지 시대의 성격규정>
식민지시대의 역사적 성격을 규정하는데 있어 반드시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무릇 일제하의 식민지시대를 민족사전체의 흐름으로 보아서 근대화 및 자본주의화 또는 공업화의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인지 또는 이를 결정적으로 부정하여야 할 것인지 이 문제에 관하여서 1930년대 이후의 일제의 개발전략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그 찬반의 견해
첫째,근대화 및 자본주의화와 공업화의 시기
둘째,봉건사회에서 산업자본주의시대로 가는 과도기로서의 상업자본주의의 시기
세째,식민지 半봉건사회
0.근대화 및 자본주의화와 공업화의 시기
일본의 식민지통치가 한국에서 경제성장,교통,통신,금융,교육,문화 등의 부문에서 남긴 근대적 변혁은 본질적 또는 성격적인 면에서는 근대화를 왜곡시킨 면이 있더라도 양적인면에 주목해서 일단 근대화가 이루어졌다.그것이 모두 식민지 지배목적이나 일제의 침략목적 또는 일본자본주의 자체의 내재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진것이 확연한 사실이라 하여도 근대적 변혁,근대적 시설과 생산양식이 나타난 이상 그리고 이와 같은 근대적 변혁이 지배적으로 나타난 이상 이 시기는 근대화의 시기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
문제점 : 식민지통치하에 근대적인 시설이 이루어지고 또 경제의 양적인 성장이 있었다 해도 그것은 일본침략세력이나 그것에 예속된 극소수 한국인의 경제부분에 한정되었고 민족자본적 성격을 가진 경제부분은 그 성장이 철저히 봉쇄되엇다.또 농업생산 부분에서는 지주.전호제가 오히려 심화되었고 그 결과 농지소유관계는 영세화 되어가고 농민생활은 궁핍화일로에 있었다.이는 일제식민지하에서 설사 근대화를 위한 일부 조건이 갖추어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6.03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