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226
-
227
-
228
-
229
-
230
-
231
-
232
-
233
-
234
-
235
-
236
-
237
-
238
-
239
-
240
-
241
-
242
-
243
-
244
-
245
-
246
-
247
-
248
-
249
-
250
-
251
-
252
-
253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226
-
227
-
228
-
229
-
230
-
231
-
232
-
233
-
234
-
235
-
236
-
237
-
238
-
239
-
240
-
241
-
242
-
243
-
244
-
245
-
246
-
247
-
248
-
249
-
250
-
251
-
252
-
253


본문내용
경우에 have + p.p 즉, 현재 완료형은 과거 시제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가정법이 끝나면 시작하겠습니다.
다시 위 문장으로 돌아가서,
과거에서 다시 한번 과거로 갔으니 이른바 대과거라고 하는 시제가 나왔지요. 시제가 하나 과거로 올라갔습니다.
자, 질문합니다. 이 노인이 그녀와 40년전에 결혼했습니까? -- \"아니요.\"가 답이겠지요. 참 쉽지요.
I could have married her 40 years ago.는
우리말로 해석할때 \'결혼할 수 있었다\'로 하기보다는 \'결혼할 수 도 있었는데\'라고 하는 것이 더 맞을 것입니다.
I would have married you. -- 나 너하고 결혼하려고 했었어.
She could have accepted the proposal. -- 그녀는 그 제안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는데..
You should have been more careful. -- 좀 더 신중했었어야 했는데..
세 문장에서 각각 알 수 있는 사실은 ?
\'결혼을 안 했다. / 제안을 거절했다. / 신중하지 않았다.\' 입니다.
현재 + 과거 사실의 반대
자, 그럼 현재와 과거를 섞어봅시다.
상황을 설정하면,
10년전 한 여자가 필자를 차버렸습니다 (She dumped me).
그러지 않았다면 지금쯤 내 아내일 텐데요 (She is my wife now.)..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면
\"나를 10년전에 차버리지 않았다면, 지금은 내 아내가 돼있을텐데..
자 이렇게 해놓고 문장을 만들어 봅시다.
두가지 내용 모두 사실이 아니지요. 그러니까 시제가 하나씩 올라가는겁니다.
If she had not dumped me 10 years ago, she would be my wife now.
if 절은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니까)
주절은 과거 동사 (현재 사실의 반대니까)를 쓰는 겁니다.
외워야했던 가정법 공식(?)
외워야했던 가정법 공식(?)
자, 지금까지 살펴 본 내용이 문법책에서 말하는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그리고 혼합가정 (과거완료와 과거의 혼합)이었습니다. 굳이 과거완료는 뭐 쁘라스 뭐라고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문법서 내용을 되짚어볼 필요는 있을 것입니다. 앞에서 문법 내용에는 형태와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정법의 이름은 의미와는 전혀 관계없습니다. 오히려 형태와 관계가 있는 것이지요.
다시 말씀드립니다. 이름은 의미가 아니라 형태와 관계있습니다.
가정법 과거완료
If + 주어 + had + p.p, 주어 + 조동사 과거형 + have + p.p
가정법 과거
If + 주어 + 동사의 과거형 (be 동사일때는 were), 주어 +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자 각각의 의미는 과거사실의 반대와 현재사실의 반대라고 말했지요..
그런데 왜 이름은 가정법 과거완료와 과거라고 할까요?
if 절과 주절의 시제를 보십시오. 각각 과거완료 (대과거)와 과거시제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름은 의미와는 상관없이 형태에 맞춰 붙인 것이지요. 이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와 과거, 즉 사실의 반대를 말하는 두가지 용법은 위에서 말한 \"영어는 사실의 반대를 말할 때는 시제가 하나씩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라는 사실만 기억하면 됩니다.
직설법이 뭔데?
중.고등학교 시험에는 가정법을 직설법으로 바꾸라는 문제가 아직도 잘 나옵니다. 다시 말하지만 문장 바꿔쓰기는 시험 문제에는 유용할 지 모르지만 실제 영어 향상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문법서에 나오는 네가지 가정법 중 직설법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당연히 사실의 반대를 말하는 과거완료와 과거 밖에 없겠지요. 왜냐하면 직설법이란 사실을 근거로 말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If I had some time now, I could help you.
-- 시간이 있으면 도와줄수 있을 텐데
자, 사실은 어떻습니까? 시간이 없기 때문에 도와줄 수 없지요.
직설법 문장은 현재 내용을 말하므로 그대로 현재 시제를 쓰면 됩니다.
As I have no time now, I cannot help you. 이렇게 바꿀수 있지요.
문장을 이렇게 바꾸는 과정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더 중요한 것은 사실의 반대를 말할때는 시제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입니다. 현재사실의 반대와 과거사실의 반대를 말할 때 어떻게 하는지 감이 잡히셨나요?
다음 회에서는 문법서에서 말하는 가정법 현재와 미래, 즉 어떤 내용을 단순 추측할 때 사용하는 두가지 용법을 살펴봅니다.
이 두가지는 실제로 가정법, 즉 가짜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지요. 이 두가지는 \'~라면\' 이나 \'~한다면\'의 뜻을 갖는 단순 조건절입니다.
잘 기억하기 바랍니다.
[이전 회][다음 회]
1-10 단순 추측의 if절 (조건절)
조건절에서는 시제를 그대로
자, 오늘은 단순 추측의 if 절을 살펴봅시다.
\'사실의 반대\'를 말할 때는 시제가 하나씩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그랬지요?
단순 추측을 말할때는 시제의 변화가 없습니다.
과거 내용을 추측할 때는 과거 시제를 쓰면되고
현재 내용을 추측할 때는 현재 시제를 쓰면 됩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 한가지,
미래 내용 추측에는 미래 시제를 써서는 안 됩니다.
현재 시제가 미래 시제를 대신합니다. 영어는 시간이나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미래 시제를 쓰지 않습니다.
지지난회에 드렸던 문제의 해답이 명확해졌죠?
If it rains now / If it rained now
두가지 문장 중에 틀린 문장을 고르라는 문제였죠. 답은 둘 다 맞는다는 것이겠죠. (교활한 필자)
If it rains now,
비가 오는지 안 오는지 모르는 경우, 즉 단순 추측의 경우
If it rained now,
비가 오지 않는 푸른 하늘을 보며 말하는 경우, 즉 사실의 반대
이제 아시겠죠?
가정법 미래라고 하는 것
자, 이제 남은 문제는 가정법의 미래라고 나오는 부분입니다.
다시 한번 말합니다. 가정법의 이름에 현혹돼서는 안됩니다. --
\'가정법 현재는 현재의 무슨 내용과 관계있고 가정법 미래는 미래
이와 관련된 내용은 가정법이 끝나면 시작하겠습니다.
다시 위 문장으로 돌아가서,
과거에서 다시 한번 과거로 갔으니 이른바 대과거라고 하는 시제가 나왔지요. 시제가 하나 과거로 올라갔습니다.
자, 질문합니다. 이 노인이 그녀와 40년전에 결혼했습니까? -- \"아니요.\"가 답이겠지요. 참 쉽지요.
I could have married her 40 years ago.는
우리말로 해석할때 \'결혼할 수 있었다\'로 하기보다는 \'결혼할 수 도 있었는데\'라고 하는 것이 더 맞을 것입니다.
I would have married you. -- 나 너하고 결혼하려고 했었어.
She could have accepted the proposal. -- 그녀는 그 제안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는데..
You should have been more careful. -- 좀 더 신중했었어야 했는데..
세 문장에서 각각 알 수 있는 사실은 ?
\'결혼을 안 했다. / 제안을 거절했다. / 신중하지 않았다.\' 입니다.
현재 + 과거 사실의 반대
자, 그럼 현재와 과거를 섞어봅시다.
상황을 설정하면,
10년전 한 여자가 필자를 차버렸습니다 (She dumped me).
그러지 않았다면 지금쯤 내 아내일 텐데요 (She is my wife now.)..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면
\"나를 10년전에 차버리지 않았다면, 지금은 내 아내가 돼있을텐데..
자 이렇게 해놓고 문장을 만들어 봅시다.
두가지 내용 모두 사실이 아니지요. 그러니까 시제가 하나씩 올라가는겁니다.
If she had not dumped me 10 years ago, she would be my wife now.
if 절은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니까)
주절은 과거 동사 (현재 사실의 반대니까)를 쓰는 겁니다.
외워야했던 가정법 공식(?)
외워야했던 가정법 공식(?)
자, 지금까지 살펴 본 내용이 문법책에서 말하는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 그리고 혼합가정 (과거완료와 과거의 혼합)이었습니다. 굳이 과거완료는 뭐 쁘라스 뭐라고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문법서 내용을 되짚어볼 필요는 있을 것입니다. 앞에서 문법 내용에는 형태와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정법의 이름은 의미와는 전혀 관계없습니다. 오히려 형태와 관계가 있는 것이지요.
다시 말씀드립니다. 이름은 의미가 아니라 형태와 관계있습니다.
가정법 과거완료
If + 주어 + had + p.p, 주어 + 조동사 과거형 + have + p.p
가정법 과거
If + 주어 + 동사의 과거형 (be 동사일때는 were), 주어 +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자 각각의 의미는 과거사실의 반대와 현재사실의 반대라고 말했지요..
그런데 왜 이름은 가정법 과거완료와 과거라고 할까요?
if 절과 주절의 시제를 보십시오. 각각 과거완료 (대과거)와 과거시제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름은 의미와는 상관없이 형태에 맞춰 붙인 것이지요. 이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와 과거, 즉 사실의 반대를 말하는 두가지 용법은 위에서 말한 \"영어는 사실의 반대를 말할 때는 시제가 하나씩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라는 사실만 기억하면 됩니다.
직설법이 뭔데?
중.고등학교 시험에는 가정법을 직설법으로 바꾸라는 문제가 아직도 잘 나옵니다. 다시 말하지만 문장 바꿔쓰기는 시험 문제에는 유용할 지 모르지만 실제 영어 향상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문법서에 나오는 네가지 가정법 중 직설법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당연히 사실의 반대를 말하는 과거완료와 과거 밖에 없겠지요. 왜냐하면 직설법이란 사실을 근거로 말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문장을 보세요.
If I had some time now, I could help you.
-- 시간이 있으면 도와줄수 있을 텐데
자, 사실은 어떻습니까? 시간이 없기 때문에 도와줄 수 없지요.
직설법 문장은 현재 내용을 말하므로 그대로 현재 시제를 쓰면 됩니다.
As I have no time now, I cannot help you. 이렇게 바꿀수 있지요.
문장을 이렇게 바꾸는 과정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더 중요한 것은 사실의 반대를 말할때는 시제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입니다. 현재사실의 반대와 과거사실의 반대를 말할 때 어떻게 하는지 감이 잡히셨나요?
다음 회에서는 문법서에서 말하는 가정법 현재와 미래, 즉 어떤 내용을 단순 추측할 때 사용하는 두가지 용법을 살펴봅니다.
이 두가지는 실제로 가정법, 즉 가짜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지요. 이 두가지는 \'~라면\' 이나 \'~한다면\'의 뜻을 갖는 단순 조건절입니다.
잘 기억하기 바랍니다.
[이전 회][다음 회]
1-10 단순 추측의 if절 (조건절)
조건절에서는 시제를 그대로
자, 오늘은 단순 추측의 if 절을 살펴봅시다.
\'사실의 반대\'를 말할 때는 시제가 하나씩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그랬지요?
단순 추측을 말할때는 시제의 변화가 없습니다.
과거 내용을 추측할 때는 과거 시제를 쓰면되고
현재 내용을 추측할 때는 현재 시제를 쓰면 됩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 한가지,
미래 내용 추측에는 미래 시제를 써서는 안 됩니다.
현재 시제가 미래 시제를 대신합니다. 영어는 시간이나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미래 시제를 쓰지 않습니다.
지지난회에 드렸던 문제의 해답이 명확해졌죠?
If it rains now / If it rained now
두가지 문장 중에 틀린 문장을 고르라는 문제였죠. 답은 둘 다 맞는다는 것이겠죠. (교활한 필자)
If it rains now,
비가 오는지 안 오는지 모르는 경우, 즉 단순 추측의 경우
If it rained now,
비가 오지 않는 푸른 하늘을 보며 말하는 경우, 즉 사실의 반대
이제 아시겠죠?
가정법 미래라고 하는 것
자, 이제 남은 문제는 가정법의 미래라고 나오는 부분입니다.
다시 한번 말합니다. 가정법의 이름에 현혹돼서는 안됩니다. --
\'가정법 현재는 현재의 무슨 내용과 관계있고 가정법 미래는 미래
추천자료
다시보는 영어독해 요령
4학년 영어 What time is it? 지도안 세안
초등 영어과 세안(11. What Do You Want to Do?)
초등 영어 읽기 교육
고대 영어의 어순 연구
조기 영어 교육에 있어서 청화식 교수법(The audio-lingual method)과 자연적 접근법(The nat...
어떻게 영어를 학습해야 할 것인가?
우화를 통한 영어지도
[영어학] 언어란 무엇인가? What is language?
한국어와 영어의 접미사 비교
초등 영어 지도안 (4학년 5단원 - Who Is She?)
한정성에 관련된 영어 관사 인지와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