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이론적 배경
2.1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 아동 문학 지도
2.1.1 아동 문학의 정의(개념)
2.1.2 문학 지도의 필요성 및 목표
2.1.3 문학 교재의 선정
2.2 아동 문학 지도와 관련된 영어 교수 이론
2.2.1 언어 입력 가설과 전신반응 교수법(TPR)
2.2.2 의사 소통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2.2.3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2.2.4 절충식 교수법
III. 우화를 통한 영어의 지도
3.1. 우화(Fable)의 정의
3.1.1 우화의 정의 및 특징
3.1.2 우화의 종류
3.2. 듣기와 말하기 향상을 위한 우화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3.2.1 우화의 재구성(paraphrase)
3.2.2 시각적 자료를 통한 지도
3.2.3 낭독(Reading Aloud)과 Storytelling을 통한 지도
3.2.4 극화를 통한 지도
3.2.5 CD-ROM을 활용한 영어 우화 지도
3.3 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 모형 구안
3.3.1 일반적 영어 수업 모형
3.3.2 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 모형
3.3.3 학습 지도안
IV. 결론 및 제언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이론적 배경
2.1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 아동 문학 지도
2.1.1 아동 문학의 정의(개념)
2.1.2 문학 지도의 필요성 및 목표
2.1.3 문학 교재의 선정
2.2 아동 문학 지도와 관련된 영어 교수 이론
2.2.1 언어 입력 가설과 전신반응 교수법(TPR)
2.2.2 의사 소통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2.2.3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2.2.4 절충식 교수법
III. 우화를 통한 영어의 지도
3.1. 우화(Fable)의 정의
3.1.1 우화의 정의 및 특징
3.1.2 우화의 종류
3.2. 듣기와 말하기 향상을 위한 우화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3.2.1 우화의 재구성(paraphrase)
3.2.2 시각적 자료를 통한 지도
3.2.3 낭독(Reading Aloud)과 Storytelling을 통한 지도
3.2.4 극화를 통한 지도
3.2.5 CD-ROM을 활용한 영어 우화 지도
3.3 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 모형 구안
3.3.1 일반적 영어 수업 모형
3.3.2 우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 모형
3.3.3 학습 지도안
IV.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의 중요한 기능은 의사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듣기와 말하기라고 볼 수 있다. Temperly(1987)는 인간의 의사 전달 생활에 있어서 의사 전달 방법의 비율을 듣기 45%, 말하기 35%, 읽기 16%, 쓰기 9%로 분류하였고, Weaver(1952)도 듣기와 말하기가 약 90%를 점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듣기와 말하기 중에서는 듣기 지도가 선행되어야 말하기 기능의 숙련을 가져온다는 연구가 많다. 최규완(1986)은 우리 나라 4학년을 대상으로 듣기 중심과 말하기 중심의 비교 실험 연구에서 듣기 기능이 말하기 기능으로서 전이력이 크고, 듣기 중심의 학습이 말하기 중심의 학습보다 언어 숙련도가 더 높다고 하였으며, 연준홈(1991)도 그의 실험 연구를 통하여 네가지 기능의 균형적인 향상을 위해 듣기 지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종혁(1992)은 초등학교에서 듣기를 우선으로 하였던 중학생들의 영어 성적을 조사한 결과 그렇지 않았던 학생보다 영어 학습 성취도가 높았다고 결론지었다.
Asher(1982), Krashen(1983)에 의하면 어린이가 모국어나 제 2언어를 습득할 때 공통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사실은 처음부터 말하기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오랫동안 침묵기를 가지면서 목표 언어의 소리를 듣고 이해한다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듣기가 말하기 보다 우선한다는 것이 어느 언어 상황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는 자연적 습득의 순서가 되며 이러한 습득 절차를 학습 원리로 받아들여 영어 교육을 시도해야 된다는 것이 오늘날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자들의 주장이다.
이와 같은 영어 교육의 환경에서 이해 가능 입력 자료로써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 더할 나위 없는 영어 우화나 동화 등을 통해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 중심의 다양한 방법 등을 연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어떠한 제재보다는 우화는 아동들에게 학습동기를 높여주고 즐거움을 제공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들을 수용하고 활용하여 의사 소통 능력, 특히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제재에 틀림없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에서 영어의 의사 소통 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영어로 된 우화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한국 어린이에게 지도하기에 알맞도록 우화를 재구성하여 그 재구성된 우화를 그림 등 시각 자료와 Storytelling, 멀티미디어, CD-ROM, 극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영어 수업에 적용하고, 영어의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해서 어린이들이 보다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외국어를 습득하도록 도움을 주는 우화 수업 모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Ⅱ.이론적 배경
2.1 초등 학교 영어 교육과 아동 문학 지도
2.1.1 아동 문학의 정의(개념)
아동 문학이라는 말을 동아 백과 사전에서는 ‘성인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창조한 문학의 통칭’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박성수(1992)는 좀 더 자세히 ‘아동 문학은 어른이 아동을 대상으로 창조한 문학의 총칭으로서 어린이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감동을 유발하며 높은 교육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 속성으로는 높은 사상, 관찰력, 문학세계를 구성하는 상상력, 언어 구사력 등을 들 수 있으며, 그것의 문학적인 조건으로는 예술성, 흥미성, 교육성, 단순 명쾌성, 생활성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다.
박화목(1989)은 ‘아동 문학은 아동 문학이라기 보다는 아동을 위한 문학이며’ 라고 하며 아동 문학의 정의를 ‘아동 문학은 제 1차적으로 아동을 독자 대상으로 한 문학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김경중(1994)은 아동 문학은 동심 세계의 문학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동심의 세계는 아동의 세계이면서 우리 인간이 공유하고 추구하는 원초적 동경의 세계, 이상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동 문학의 세계는 아동이나 성인의 특정한 대상에 한정된 세계가 아니라 동심의 세계에서 통용 될 수 있는 정서나 사상, 상상력과 언어 표현 등의 특성을 갖고 창조한 문학의 세계를 문학의 세계를 의미한다. 아동 문학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신화, 전설, 옛날 이야기, 민화를 보면 등장 인물이나 소재구성이 다를지라도 상징과 전형을 통해서 인간 보편의 진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동심 세계의 문학이란 아동의 마음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아동의 마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표현하는 문학이다.
2.1.2 문학 지도의 필요성 및 목표
어린이들은 이야기, 그 중에서도 특히, 우화, 전래동화등을 듣는 것을 좋아하고 친밀감을 느낀다. 그래서 ‘옛날에 옛적에…’라고 시작하면 흔히 그 뒷 이야기를 짐작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학과 영어 교육은 어떠한 연관을 가지며 영어 교육을 위해서 문학 작품은 왜 필요한가?
외국어 교수의 목적 중 하나는 다른 나라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와 문학을 히해하는 데 있으며 문학의 이해는 언어를 통한 그 문화 이해의 한 부분이다. Carter와 Long(1991)은 문학의 도입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모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①문화 모형(The cultural model)
학생들이 문학을 공부함으로써 그들 자신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다른 문화의 개념과 이념을 이해할 수 있고 인정할 수 있으며, 그런 문화가 부여한 문화 유산의 예술적인 형태와 전통적인 생각, 느낌을 지각할 수 있게 한다.
②언어 모형(The language model)
학생들에게 문학을 가르침으로써 언어 발달을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다. 이것은 문학이 특별한 어휘, 구문, 언어 조작 기술 등과 연관되어 있고, 언어는 문학의 매개체이므로 어린이들은 문학작품을 읽고 문학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언어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③개인 성장 모형(The personal growth model)
개인 성장 모형을 주장하는 교사들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읽는 것에 종사하도록 돕는 것이다. 문학 교육에서의 교사의 성공이란 학생들이 교실을 벗어나서 좀 더 효과적으로 문학 작품을 읽도록 교사가 도와주면, 학생들은 사
듣기와 말하기 중에서는 듣기 지도가 선행되어야 말하기 기능의 숙련을 가져온다는 연구가 많다. 최규완(1986)은 우리 나라 4학년을 대상으로 듣기 중심과 말하기 중심의 비교 실험 연구에서 듣기 기능이 말하기 기능으로서 전이력이 크고, 듣기 중심의 학습이 말하기 중심의 학습보다 언어 숙련도가 더 높다고 하였으며, 연준홈(1991)도 그의 실험 연구를 통하여 네가지 기능의 균형적인 향상을 위해 듣기 지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종혁(1992)은 초등학교에서 듣기를 우선으로 하였던 중학생들의 영어 성적을 조사한 결과 그렇지 않았던 학생보다 영어 학습 성취도가 높았다고 결론지었다.
Asher(1982), Krashen(1983)에 의하면 어린이가 모국어나 제 2언어를 습득할 때 공통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사실은 처음부터 말하기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오랫동안 침묵기를 가지면서 목표 언어의 소리를 듣고 이해한다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듣기가 말하기 보다 우선한다는 것이 어느 언어 상황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는 자연적 습득의 순서가 되며 이러한 습득 절차를 학습 원리로 받아들여 영어 교육을 시도해야 된다는 것이 오늘날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자들의 주장이다.
이와 같은 영어 교육의 환경에서 이해 가능 입력 자료로써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 더할 나위 없는 영어 우화나 동화 등을 통해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 중심의 다양한 방법 등을 연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어떠한 제재보다는 우화는 아동들에게 학습동기를 높여주고 즐거움을 제공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들을 수용하고 활용하여 의사 소통 능력, 특히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제재에 틀림없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에서 영어의 의사 소통 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영어로 된 우화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한국 어린이에게 지도하기에 알맞도록 우화를 재구성하여 그 재구성된 우화를 그림 등 시각 자료와 Storytelling, 멀티미디어, CD-ROM, 극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영어 수업에 적용하고, 영어의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해서 어린이들이 보다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외국어를 습득하도록 도움을 주는 우화 수업 모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Ⅱ.이론적 배경
2.1 초등 학교 영어 교육과 아동 문학 지도
2.1.1 아동 문학의 정의(개념)
아동 문학이라는 말을 동아 백과 사전에서는 ‘성인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창조한 문학의 통칭’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박성수(1992)는 좀 더 자세히 ‘아동 문학은 어른이 아동을 대상으로 창조한 문학의 총칭으로서 어린이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감동을 유발하며 높은 교육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 속성으로는 높은 사상, 관찰력, 문학세계를 구성하는 상상력, 언어 구사력 등을 들 수 있으며, 그것의 문학적인 조건으로는 예술성, 흥미성, 교육성, 단순 명쾌성, 생활성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다.
박화목(1989)은 ‘아동 문학은 아동 문학이라기 보다는 아동을 위한 문학이며’ 라고 하며 아동 문학의 정의를 ‘아동 문학은 제 1차적으로 아동을 독자 대상으로 한 문학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김경중(1994)은 아동 문학은 동심 세계의 문학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동심의 세계는 아동의 세계이면서 우리 인간이 공유하고 추구하는 원초적 동경의 세계, 이상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동 문학의 세계는 아동이나 성인의 특정한 대상에 한정된 세계가 아니라 동심의 세계에서 통용 될 수 있는 정서나 사상, 상상력과 언어 표현 등의 특성을 갖고 창조한 문학의 세계를 문학의 세계를 의미한다. 아동 문학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신화, 전설, 옛날 이야기, 민화를 보면 등장 인물이나 소재구성이 다를지라도 상징과 전형을 통해서 인간 보편의 진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동심 세계의 문학이란 아동의 마음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아동의 마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표현하는 문학이다.
2.1.2 문학 지도의 필요성 및 목표
어린이들은 이야기, 그 중에서도 특히, 우화, 전래동화등을 듣는 것을 좋아하고 친밀감을 느낀다. 그래서 ‘옛날에 옛적에…’라고 시작하면 흔히 그 뒷 이야기를 짐작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학과 영어 교육은 어떠한 연관을 가지며 영어 교육을 위해서 문학 작품은 왜 필요한가?
외국어 교수의 목적 중 하나는 다른 나라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와 문학을 히해하는 데 있으며 문학의 이해는 언어를 통한 그 문화 이해의 한 부분이다. Carter와 Long(1991)은 문학의 도입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모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①문화 모형(The cultural model)
학생들이 문학을 공부함으로써 그들 자신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다른 문화의 개념과 이념을 이해할 수 있고 인정할 수 있으며, 그런 문화가 부여한 문화 유산의 예술적인 형태와 전통적인 생각, 느낌을 지각할 수 있게 한다.
②언어 모형(The language model)
학생들에게 문학을 가르침으로써 언어 발달을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다. 이것은 문학이 특별한 어휘, 구문, 언어 조작 기술 등과 연관되어 있고, 언어는 문학의 매개체이므로 어린이들은 문학작품을 읽고 문학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언어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③개인 성장 모형(The personal growth model)
개인 성장 모형을 주장하는 교사들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읽는 것에 종사하도록 돕는 것이다. 문학 교육에서의 교사의 성공이란 학생들이 교실을 벗어나서 좀 더 효과적으로 문학 작품을 읽도록 교사가 도와주면, 학생들은 사
추천자료
초등 5학년 영어 11 What are you doing? 지도안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학습자료의 활용과 실제
초등 영어 지도안 (4학년 5단원 - Who Is She?)
[초등학교교육평가]초등학교 영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 수학과교육평가, 초등학교 과학과교육...
[초등학교교육평가,교육평가,초등교육,국어,영어,수학,과학,사회]초등학교 국어과교육평가, ...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의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 초등학교 수학과와 사회과의 ICT활...
모성 영어 논문 해석
초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도입과 방향,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 ICT(정보통신기...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운영 방향,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의 정보통신기술...
초등특수교육 논문요약
(논문 요약) “초등학생들의 태권도수련이 신체조성 및 체력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어교육과 졸업논문] 상상력 신장을 위한 초등 문학 교육 연구 - 3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
[특수아 초등 영어과 지도] 영어과 수업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