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업양도의 의미
2. 관련 주요 판례 검토
2. 관련 주요 판례 검토
본문내용
우에는 원칙적으로 해당 근로자들의 근로관계가 양수하는 기업에 포괄적으로 승계되는 바, 여기서 영업의 동일성 여부는 일반 사회관념에 의하여 결정되어져야 할 사실인정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문제의 행위(양도계약관계)가 영업의 양도로 인정되느냐 안되느냐는 단지 어떠한 영업재산이 어느 정도로 이전되어 있는가에 의하여 결정되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고 거기에 종래의 영업조직이 유지되어 그 조직이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가에 의하여 결정되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예컨대 영업재산의 전부를 양도했어도 그 조직을 해체하여 양도했다면 영업의 양도는 되지 않는 반면에 그 일부를 유보한 채 영업시설을 양도했어도 그 양도한 부분만으로도 종래의 조직이 유지되어 있다고 사회관념상 인정되면 그것을 영업의 양도라 볼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자유주의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
[M&A][기업인수합병]M&A(기업인수합병) 개념과 특징, 각 나라별 M&A(기업인수합...
합병에 대하여
공인노무사 서브 노트-노동법1(실제 답안지 형식에 작성)
한국의 청년실업 현황 및 원인과 국제비교를 통한 시사점
기업합병과 근로관계에 대한 노동법상 쟁점
[구조조정사례]현대중기산업의 구조조정 사례, 한국전기초자의 구조조정 사례, 대우의 구조조...
쌍용차 파업 사태와 윤리적 문제 및 이해관계자에 미친 영향
노동법상 근로계약의 자동적 종료사유
M&A와 단체협약 관련 법적 검토
직무스트레스 대응방안
현대자동차 노동조합
[법률해석][근로자파견 법령]법률해석의 목적, 법률해석과 근로자파견 법령, 법률해석과 GP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