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눈먼 아모르
카리타스적 사랑과 쿠피디티스적 사랑
못된 쿠피도
죽음의 눈가리개
변절된 쿠피도
11. 올랭피아
카리타스적 사랑과 쿠피디티스적 사랑
못된 쿠피도
죽음의 눈가리개
변절된 쿠피도
11. 올랭피아
본문내용
구이도 구이니첼리와 그 외 ‘돌체 스틸 누오보(’감미롭고 새로운 문체‘라는 뜻으로 청신체라고도 부르며, 13 - 14세기에 피렌체에서 구이도 구이니 첼리, 단테, 구이도 카발칸티를 중심으로 전개된 문학 운동)’의 대표 시인들은 여인을 천사로 변형시켰다. 그리고 단테의 작품에서 베아트리체로 의인화되고 있는 초자연적 원리는 결코 단정적으로 파악될 수 없었기 때문에 주석자들에 의해 계시, 믿음, 신의 은총, 스콜라 신학, 교회, 심지어 플라톤 철학으로까지 해석되곤 했다.
그렇게 이렇게 달성된 조화는 서로 충돌하는 원리들이 화해를 이루는 경우에 항상 그런 것처럼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다. 페트라르카는 그의 격정의 대상을 다시 인간화하고 감각화하는 동시에 우상화하고 심지어 신격화하기도 했다. 단테의 베아트리체와는 대조적으로 페트라르카의 라우라는 결코 실제 인간 상태에서 벗어나는 법이 없으며, 한 관념으로서 찬양되거나 심지어 예수와 함께 명예를 누리는 성인으로 취급될수록 여인으로서의 매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돌체 스틸 누오보’ 시인들과 단테가 일시적으로 해체시켰던 자애와 욕망의 신학적 대립은 페트라르카에게서 심리적 긴장 상태로 재등장하였다. 위대한 페트라르카는 이 긴장 상태를 어렵지 않게 기념비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모방자들에게서는 그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감상적이면서 약간 모호한, 괴테의 메피스토펠레스를 인용하자면 감각적-초감각적인 태도가 야기되었으며, 이는 아직까지도 ‘플라톤적 사랑’이라 잘못 일컬어지고 있다.
못된 쿠피도
새로이 첨가된 시각적 장애와 관련된 알레고리적 해석들은 더할 나위 없는 험담을 늘어놓는다. 쿠피도는 ‘사람들의 옷과 재물뿐 아니라 그들의 분별력과 지혜도 앗아가기’ 때문에 벌거벗고 앞 못 보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그의 눈이 멀게 된 이유는 ‘사랑이 가난한 자나 부유한 자 그리고 못생긴 자와 아름다운 자를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것처럼 어떤 곳이든 개이치 않고 향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은 쿠피도에 의해 눈이 멀기 때문에 그를 장님이라 부르기도 한다. 사실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사랑의 지배를 받는 사람만큼 눈먼 존재가 또 있겠는가.’ 이런 구절도 있다 ‘화가들은, 사랑에 빠진 이가 판단과 분별력을 잃고 오로지 격정에 의해서만 인도됨으로써 스스로 어느 곳으로 향하는지 깨닫지 못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쿠피도의 눈을 가리게 덮는다.’
이와 같은 생각들은 소네트나 그 외의
그렇게 이렇게 달성된 조화는 서로 충돌하는 원리들이 화해를 이루는 경우에 항상 그런 것처럼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다. 페트라르카는 그의 격정의 대상을 다시 인간화하고 감각화하는 동시에 우상화하고 심지어 신격화하기도 했다. 단테의 베아트리체와는 대조적으로 페트라르카의 라우라는 결코 실제 인간 상태에서 벗어나는 법이 없으며, 한 관념으로서 찬양되거나 심지어 예수와 함께 명예를 누리는 성인으로 취급될수록 여인으로서의 매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돌체 스틸 누오보’ 시인들과 단테가 일시적으로 해체시켰던 자애와 욕망의 신학적 대립은 페트라르카에게서 심리적 긴장 상태로 재등장하였다. 위대한 페트라르카는 이 긴장 상태를 어렵지 않게 기념비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모방자들에게서는 그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감상적이면서 약간 모호한, 괴테의 메피스토펠레스를 인용하자면 감각적-초감각적인 태도가 야기되었으며, 이는 아직까지도 ‘플라톤적 사랑’이라 잘못 일컬어지고 있다.
못된 쿠피도
새로이 첨가된 시각적 장애와 관련된 알레고리적 해석들은 더할 나위 없는 험담을 늘어놓는다. 쿠피도는 ‘사람들의 옷과 재물뿐 아니라 그들의 분별력과 지혜도 앗아가기’ 때문에 벌거벗고 앞 못 보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그의 눈이 멀게 된 이유는 ‘사랑이 가난한 자나 부유한 자 그리고 못생긴 자와 아름다운 자를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것처럼 어떤 곳이든 개이치 않고 향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은 쿠피도에 의해 눈이 멀기 때문에 그를 장님이라 부르기도 한다. 사실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사랑의 지배를 받는 사람만큼 눈먼 존재가 또 있겠는가.’ 이런 구절도 있다 ‘화가들은, 사랑에 빠진 이가 판단과 분별력을 잃고 오로지 격정에 의해서만 인도됨으로써 스스로 어느 곳으로 향하는지 깨닫지 못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쿠피도의 눈을 가리게 덮는다.’
이와 같은 생각들은 소네트나 그 외의
추천자료
[교육학] 미술치료 사례 분석
[미술교육]미술교육 미적체험활동의 필요성과 목적, 미술교육 미적체험활동의 문제점, 미술교...
미술과 생활, 미술 미적체험활동의 의의, 미술 미적체험활동의 필요성, 미술 미적체험활동의 ...
[평생교육방법론]체험적 교육방법 교수-학습기법의 사례와 분석 - 미술 치료 사례연구-
[유아미술교육][유아교육][미술교육]유아미술교육의 특성, 유아미술교육의 목적과 유아미술교...
전통미술감상지도(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 필요성, 전통미술감상지도(한국전통미술감상교육) ...
전통미술지도(한국전통미술교육)의 의의, 전통미술지도(한국전통미술교육)의 전통문양학습, ...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정의와 의의, 한국전통미술교육(전통미술지도)의 지도내용...
제7차교육과정 미술과(제7차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제7차교육과정 미술과(제7차미술...
정신지체아 미술치료의 실제와 원리, 정신지체아 미술치료의 표현활동, 정신지체아 미술치료...
[미술과교육 창의적지도][미술과교육][창의성교육][창의성지도]미술과교육 창의적지도의 필요...
미술감상지도(미술감상교육), 미술발상지도(미술발상교육), 미술판화지도(미술판화교육), 미...
[신고전주의 건축][신고전주의][신고전주의 조각][신고전주의 미술][르네상스]신고전주의의 ...
미술과교육 창의적활동의 의미와 장점, 미술과교육 창의적활동의 요인, 미술과교육 창의적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