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9~14주차
본문내용
evils)을 초래할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a clear and present danger)을 발생시키는 그러한 성질의 것이며 그리고 그러한 상황에서 사용되었는가 여부이다. 이것은 접근성과 정도(proximity and degree)의 문제이다.
2. Abrams 사건(1919년)과 Gitlow 사건(1925년) : 표현의 \"해로운 귀향\"(bad tendency)
3. Whitney 사건(1927년) : \"해로운 경향\"(bad tendency)
4. Dennis 사건(1951년)과 Yates 사건(1957년)
\'추상적인 원리의 주장\'과 \'행동의 주장\'간의 구분 선동(incitement)만 규제 가능
5. Brandenburg 사건(1969년) :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원칙으로의 복귀
°과도한 광범의성 금지 원리 : 과도하게 광범위하게 규정된 법률은 위헌임
1. Kunz v. New York 사건(1949년)
침례교 목사인 컨즈(Karl Kunz)는 허가 없이 종교적 집회의 개최를 금지하는 조례위반을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음. 연방대법원은 명확하게 규정된 조례규정은 컨즈(Kunz)의 집회허가를 거부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과도하게 광범위한 조례규정은 수정헌법 제1조상 수용될 수 없음을 판시함.
°막연하기 때문에 무효의 원리 : 그 범위가 막연하거나 불명확한 법은 특수한 헌법적 의미를 지니지 않고, 오로지 위축효과만을 가져오기에는 무효임
1. Smith v. Goguen 사건(1974년)
피상소인이 자신의 바지 엉덩이 부분에 작은 미국국기를 재봉해 다닌 것을 이유로 국기오용금지법 위반으로 유죄판결을 받음. 이 법에는 성조기를 공개적으로 훼손하거나 짓밟거나 모욕적으로 다루는 개인은 형사적 책임을 부여함. 연방대법원은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자조항에 의거해 이 법의 내용이 막연하기 때문에 무효라고 생각함.
°가중 덜 제한적인 수단 원리 : 법률적 침해의 범위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좀 더 완화된 수단이 있는가의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원리
1. Shelton v. Tucker 사건(1960년)
알카사스주(州) 교사는 주(州)법률에 의해 자신이 최근 가입하거나 활동했던 모든 단체의 명단을 매년 보관, 제출하도록 요구 받았음. 원고인 쉘턴(Shelton)과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은 명단확인서 제출을 거부했고 자신의 교사계약이 갱신되지 않았음. 재판의 결과 그는 공산당원이나 폭력에 의한 정부의 전복을 지지하는 어떤 단체의 소속원도 아니었으나, 전미유색인종 지위향상협회(NAACP)의 회원이었음. 이 법의 무제한적이고 무차별적인 포괄성은 교사의 적합성이나 적절함에 대한 주(州)의 합법적 심사를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어서, 위헌으로 판시됨
※퀴즈제시 : 미국의 평등보호 심사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②
①합리성 기준은 차별이 \'합리적\'인 것 이어야 한다. ②엄격심사기준은 입증책임의 엄격성을 말한다.
③인종과 고유국적에 대한 차별에는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했다. ④성차별에는 중간적 심사기준을 적용했다.
요점 정리
1. 미국 역사상 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의 기속력과 수정헌법 제5조의 적법절차 조항이 접목됨으로써 평등보호는 연방정부 행위에도 적용되게 되었다.
2. Warren 대법원 시대 이전에는 \"구 평등보호 시대\"로서 사법소극주의 였다가, Warren 대법원 시대에는 \"이중심사기준에 의한 시대\"였고, Burger 대법원 시대에 와서는 중간적 심사기준이 사용되었다.
3. 합리성 심사기준이란 차별이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것이어야 하고, 그 차별은 입법목적에 대하여 정당하고 \'실질적인 관련\'이 있어야 한다.
4. 엄격심사(Strict Scrutiny)기준에 의하면 \"위헌의 의심이 가는 차별\"이나 \"기본적 권익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한다. 인종과 고유국적에 대한 차별은 엄격심사를 받는다.
5. 중간적 심사기준은 입법목적의 \'중요성\'과 그 목적과 차별수단과의 \'실질적 적합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성차별이나 혼인 외의 자에 대한 차별에는 중간적 심사기준이 적용된다.
6. 미국헌법상 표현의 자유는 \"언런\"의 범주를 획정하고, 사전제한금지원칙에 근거하여 내용에 기초한 규제와 내용중립적 규제로 구분할 수 있다.
7.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원칙에 관한 판례로는 Schenck 사건(1919년), Abrams 사건(1919년)과 Gitlow 사건(1925년), Whitney 사건(1927년), Dennis 사건(1951년)과 Yates 사건(1957년), Brandenburg 사건(1969년) 등이 있다.
비교 헌법(12주차)
학습내용 : 1. 독일 법질서의 총체, 독일 기본법
2. 독일 연방의회의 조직과 구성, 권한
3. 독일의 선거제도
학습목표 : ·독일의 법질서를 학습할 수 있다.
·독일 연방의회의 구성과 그 권한을 이해할 수 있다.
·독일의 선거제도의 측징과 그 기능을 학습할 수 있다.
Ⅰ. 독일 법질서
°기본법과 그 적용범위
1. 기본법(Grundgesetz: GG)
°기본법이란?
기본법이란 1945년 독일의 과거로부터 새로운 국가질서를 창설하기 위해 특수성을 표현한 것임
1949년 헌법제정과정에 독일국민 전체가 참여할 수 없었음(독일의 분단)
이러한 독일의 분단이 헌법제정작업에 의해 심화 내지 영구화되어서는 안된다고 판단함
결국 헌법제정작업이 잠정적이라는 것을 표현함
(기본법 전문[前文]에 \"과도기[過渡期]를 위해서“만 국가생활을 규정하였고, 새로운 질서는 기본법 제146조에서 ”독일국민의 자유로운 결정으로 의결된“헌법에 의한다고 규정함)
2. 기본법(GG)과 주헌법(LV)
·기본법과 더불어 각 주의 헌법도 헌법질서를 구성함
·기본법은 각 주에도 직접적인 효력을 지님
→기본법 제28조 1항 “각 주의 헌법질서는 이 기본법에거 의미하는 공화적·민주적 및 사회적 법 치국가의 제 원칙에 부합하여야 한다.”(동질성조항)
·연방법과 주법이 모순되는 경우→기본법 제31조 “연방법은 주법에 우선한다.”(연방법 우위조항)
·주헌법이 기본권을 보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기본법(GG)의 기본권보장 조항으로 보장하면 됨
·주헌법이 기본법보다 폭
2. Abrams 사건(1919년)과 Gitlow 사건(1925년) : 표현의 \"해로운 귀향\"(bad tendency)
3. Whitney 사건(1927년) : \"해로운 경향\"(bad tendency)
4. Dennis 사건(1951년)과 Yates 사건(1957년)
\'추상적인 원리의 주장\'과 \'행동의 주장\'간의 구분 선동(incitement)만 규제 가능
5. Brandenburg 사건(1969년) :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원칙으로의 복귀
°과도한 광범의성 금지 원리 : 과도하게 광범위하게 규정된 법률은 위헌임
1. Kunz v. New York 사건(1949년)
침례교 목사인 컨즈(Karl Kunz)는 허가 없이 종교적 집회의 개최를 금지하는 조례위반을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음. 연방대법원은 명확하게 규정된 조례규정은 컨즈(Kunz)의 집회허가를 거부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과도하게 광범위한 조례규정은 수정헌법 제1조상 수용될 수 없음을 판시함.
°막연하기 때문에 무효의 원리 : 그 범위가 막연하거나 불명확한 법은 특수한 헌법적 의미를 지니지 않고, 오로지 위축효과만을 가져오기에는 무효임
1. Smith v. Goguen 사건(1974년)
피상소인이 자신의 바지 엉덩이 부분에 작은 미국국기를 재봉해 다닌 것을 이유로 국기오용금지법 위반으로 유죄판결을 받음. 이 법에는 성조기를 공개적으로 훼손하거나 짓밟거나 모욕적으로 다루는 개인은 형사적 책임을 부여함. 연방대법원은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자조항에 의거해 이 법의 내용이 막연하기 때문에 무효라고 생각함.
°가중 덜 제한적인 수단 원리 : 법률적 침해의 범위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좀 더 완화된 수단이 있는가의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원리
1. Shelton v. Tucker 사건(1960년)
알카사스주(州) 교사는 주(州)법률에 의해 자신이 최근 가입하거나 활동했던 모든 단체의 명단을 매년 보관, 제출하도록 요구 받았음. 원고인 쉘턴(Shelton)과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은 명단확인서 제출을 거부했고 자신의 교사계약이 갱신되지 않았음. 재판의 결과 그는 공산당원이나 폭력에 의한 정부의 전복을 지지하는 어떤 단체의 소속원도 아니었으나, 전미유색인종 지위향상협회(NAACP)의 회원이었음. 이 법의 무제한적이고 무차별적인 포괄성은 교사의 적합성이나 적절함에 대한 주(州)의 합법적 심사를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어서, 위헌으로 판시됨
※퀴즈제시 : 미국의 평등보호 심사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②
①합리성 기준은 차별이 \'합리적\'인 것 이어야 한다. ②엄격심사기준은 입증책임의 엄격성을 말한다.
③인종과 고유국적에 대한 차별에는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했다. ④성차별에는 중간적 심사기준을 적용했다.
요점 정리
1. 미국 역사상 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의 기속력과 수정헌법 제5조의 적법절차 조항이 접목됨으로써 평등보호는 연방정부 행위에도 적용되게 되었다.
2. Warren 대법원 시대 이전에는 \"구 평등보호 시대\"로서 사법소극주의 였다가, Warren 대법원 시대에는 \"이중심사기준에 의한 시대\"였고, Burger 대법원 시대에 와서는 중간적 심사기준이 사용되었다.
3. 합리성 심사기준이란 차별이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것이어야 하고, 그 차별은 입법목적에 대하여 정당하고 \'실질적인 관련\'이 있어야 한다.
4. 엄격심사(Strict Scrutiny)기준에 의하면 \"위헌의 의심이 가는 차별\"이나 \"기본적 권익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한다. 인종과 고유국적에 대한 차별은 엄격심사를 받는다.
5. 중간적 심사기준은 입법목적의 \'중요성\'과 그 목적과 차별수단과의 \'실질적 적합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성차별이나 혼인 외의 자에 대한 차별에는 중간적 심사기준이 적용된다.
6. 미국헌법상 표현의 자유는 \"언런\"의 범주를 획정하고, 사전제한금지원칙에 근거하여 내용에 기초한 규제와 내용중립적 규제로 구분할 수 있다.
7.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원칙에 관한 판례로는 Schenck 사건(1919년), Abrams 사건(1919년)과 Gitlow 사건(1925년), Whitney 사건(1927년), Dennis 사건(1951년)과 Yates 사건(1957년), Brandenburg 사건(1969년) 등이 있다.
비교 헌법(12주차)
학습내용 : 1. 독일 법질서의 총체, 독일 기본법
2. 독일 연방의회의 조직과 구성, 권한
3. 독일의 선거제도
학습목표 : ·독일의 법질서를 학습할 수 있다.
·독일 연방의회의 구성과 그 권한을 이해할 수 있다.
·독일의 선거제도의 측징과 그 기능을 학습할 수 있다.
Ⅰ. 독일 법질서
°기본법과 그 적용범위
1. 기본법(Grundgesetz: GG)
°기본법이란?
기본법이란 1945년 독일의 과거로부터 새로운 국가질서를 창설하기 위해 특수성을 표현한 것임
1949년 헌법제정과정에 독일국민 전체가 참여할 수 없었음(독일의 분단)
이러한 독일의 분단이 헌법제정작업에 의해 심화 내지 영구화되어서는 안된다고 판단함
결국 헌법제정작업이 잠정적이라는 것을 표현함
(기본법 전문[前文]에 \"과도기[過渡期]를 위해서“만 국가생활을 규정하였고, 새로운 질서는 기본법 제146조에서 ”독일국민의 자유로운 결정으로 의결된“헌법에 의한다고 규정함)
2. 기본법(GG)과 주헌법(LV)
·기본법과 더불어 각 주의 헌법도 헌법질서를 구성함
·기본법은 각 주에도 직접적인 효력을 지님
→기본법 제28조 1항 “각 주의 헌법질서는 이 기본법에거 의미하는 공화적·민주적 및 사회적 법 치국가의 제 원칙에 부합하여야 한다.”(동질성조항)
·연방법과 주법이 모순되는 경우→기본법 제31조 “연방법은 주법에 우선한다.”(연방법 우위조항)
·주헌법이 기본권을 보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기본법(GG)의 기본권보장 조항으로 보장하면 됨
·주헌법이 기본법보다 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