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응의 자유도가 큼
4. 문항제작이 용이
1. 지식수준이상의 학습결과를 측정하기 곤란
2. 두 가지 이상의 정답 가능
3. 철자, 숫자, 부호 등을 잘못 쓴 답안의 처리 등 채점상의 곤란
객관식
*
선택형
진위형
진술문을 제시하고 그 진위나 정로를 묻는 형식
1.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적절
2. 문항 작성이 용이: 짧은 시간 에 다양하고 많은 양을 출제 가 능
3. 채점이 객관적이고 빠름
1. 추측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신 뢰도가 낮음
2. 단편적인 지식 측정, 학습의 욕을 감퇴시키고 피상적인 학습을 할 가능성이 큼
선다형
3개 이상의 답지 중에서 최선의 답을 선택하도록 하는 형식(답지의 수에 따라 4지선다, 5지선다형이라고 부름)
1. 문항형식이 갖는 융통성과 신축 성이 큼
2. 채점이 쉽고 객관성, 신뢰성이 높음
3. 원하는 문항의 채점결과나 난이 도를 쉽게 얻을 수 있음
1. 좋은 문항제작이 쉽지 않음
2. 지식위주의 문항을 만드는 결 함이 발생
3. 능력이 높은 학생보다는 낮은 학생에게 유리
배합형
전제와 답지를 제시하고 관련 있는 것끼리 짝짓도록 하는 형식
1. 여러 가지 검사목적에 적절하게 변형가능
2. 내용의 포괄성이 크고 분석판 단, 비교, 해석하는 능력을 측 정할 수 있음
1. 단순한 사실의 기억력을 평가 할 가능성
2. 동질적인 전제와 동질적인 답 지의 창출이 어렵다.
3. 배합의 수가 적어짐에 따라 정답의 단서제공
분류형
일정한 기준이나 개념에 따라 답지의 내용을 분류하는 형식
제 5 절 정의적 영역(情意的 領域)의 평가(評價)
▣ 정의적 영역 : 감정적 색조(感情的 色調)나 정서, 수용 또는 거부의 태도 등이 강조되는 목표를 말하며 우리 일상생활에서의 흥미, 감상, 가치, 적응, 신념체계 등에 관련되는 영역이다.
1. 정의적 영역평가(領域評價)는 왜 중요한가?
① 전인교육의 관점에서 정의적 영역평가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② 학교 생활지도의 가본자료로서 정의적 영역의 평가결과가 요구된다.
③ 개인의 진로(進路)결정을 위한 필요에서 정의적 영역의 평가는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와 같은 정의적 영역평가의 가치와 필요성을 인지하고, 정의적 영역의 평가의 중요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관찰법·면접법·사회 측정법·자기보고방법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2. 관찰법(觀察法)
· 관찰법은 평가의 도구로서 가장 원시적인 도구이면서도 현재까지 널리 쓰여지고 있다.
· 관찰이 평가의 도구로 쓰여지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①계획된 평가의 방법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② 타당도·신뢰도·객관도가 높아야 한다.
③ 관찰 결과는 반드시 기록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 관찰을 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① 관찰계획을 치밀하게 세워야 한다.
② 분석적인 관찰을 하도록 한다.
③ 관찰자의 교육을 해야 한다.
④ 객관적인 태도로 관찰을 해야 한다.
⑤ 관찰 당시의 상황을 상세히 기록해 두도록 한다.
⑥ 표본추출(標本抽出)
⑦ 관찰결과의 기록의 방법을 사전에 치밀하게 정해 두어야 한다.
3. 면접법
면접법이라 함은 언어상호작용(言語相互作用)을 매개로 하여 학생으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말한다. 면접법은 과거에는 지적인 영역의 평가에도 많이 쓰여진 바 있다. 면접법은 앞에서 논한 관찰법과 병행하여 쓰여지고 있는 것이 통례이다.
면접은 면접진행 절차에 따라 구조화된 면접(structured interview)과 구조화되지 않은 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나눌 수 있다.
(1) 구조화된 면접
· 구조화된 면접이란 사전에 치밀한 계획을 세워서 면접을 진행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 구조화된 면접법에서는 정보를 비교할 수 있고, 신뢰도가 높으며, 미숙한 면접자라도 실시 할 수 있고, 질문 어구나 언어구성에서 오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구조화되지 않은 면접
· 면접계획은 세우되 면접목적만을 명백히 하고 방법은 면접자에게 일임하는 면접의 방법을 말한다.
· 구조화되지 않은 면접은 목적하는 바의 종보를 깊이 있게 얻을 수 있고 면접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는 면접 이 가능하다.
· 면접을 위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면접의 표준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3)반구조화된 면접
· 반구조화된 면접이란 사전에 면접에 관한 치밀한 계획을 세우되 면접장면에서 면접자가 융통성 있는 면접 을 진행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 반구조화된 면접법은 구조화된 면접과 구조화되지 않은 면접의 장·단점을 절충한 것으로 실제로 가장 많 이 사용되고 있다.
4. 사회성 측정법(社會性 測定法)
집단 내에서의 개인의 사회적 위치 및 비형식적인 집단형성의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사회성 측정(socimetry), 사회성 측정검사(sociometric test) 또는 사회성 측정기술(sociometric technique)이라고 한다.
사회성 측정기술의 가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말할 수 있으나 특히 다음과 같은 점은 주목을 끌고 있다.
① 개인의 사회적 적응을 개선시킨다.
→ 사회적 적응을 필요로 하는 학생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진단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② 집단의 사회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다.
→ 학교나 학급 내에 있는 비형식적인 여러 성격의 소집단의 종류와 구조를 사회성 측정기술에 의하여 쉽게 찾아낼 수 있다.
③ 집단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준다.
④ 특수한 교육문제 해결에 적용시킬 수 있다.
5. 자기보고방법(自己報告方法)
자기보고방법이라고 하는 것은 문장화된 질문내용에 대하여 자기 자신에 관한 여러 가지 판단을 하고 진술 또는 표식을 하는 방법을 말한다. 자기보고방법의 구체적인 형태는 질문지법이다.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과거의 사실 : 과거에 있었단 사실을 상기시켜서 정보를 수집한다.
(2) 현재의 상태 : 학생에 관한 현재의 사실이나 상태를 질문한다.
(3) 내성적인 자료 : 개인의 흥미, 태도, 적응, 신념과 같은 내면세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