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의 전단균열이 일어나는 지점과 원인
전단 초기균녕 형태
전단 균열의 형태를 알기수운 실험체
전단 균열에 있어서 전단균열의; 효과
전단 초기균녕 형태
전단 균열의 형태를 알기수운 실험체
전단 균열에 있어서 전단균열의; 효과
본문내용
게이지를 붙이는 경우는 그위치를 샌드페이퍼로 연마하고 아세톤으로 닦은 후, 그 위치에 게이지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 자른 테이프를 붙여둔다.
5) 석고를 물에 푼 것 또는 옥내용의 백색수성페인트를 물에 묽게 푼것을 실험체에 도포하여 발생한 균열이 발견되기 쉽도록 한다. 이경우 2)에서 기록한 균열과 구별되도록 주의한다.
6) 실험체의 양지점, 하중점, 중아부에 연필이나 사인펜 등으로 자를 대고 치수선을 긋는다. 그리고 실험체의 양측면에 가로, 세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바둑판 모양의 선을 긋고 종방햐으 횡방향에 각기 번호를 붙인다. 이렇게 하여 두면 균열의 기록이 용이해져서 전단 균열발생후 실험체의 측면의 치우침을 관찰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7) 와이어스트레인게이지의 부착위치에 미리 붙여둔 테이프를 떼고 그 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나 먼지 등을 닦아내어 깨끗이 한 다음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고 리드선을 납땜한다.
8) 콘텍트게이지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변형이나 균열폭을 측정할 경우는 콘크리트 표면의 측정위치에 표점을 찍어둔다.
전단 균열의 형태를 알기위한 재하장치의 준비
휨 및 휨-전단 실험용의 재하장치로서는 만능시험기, 압축시험기, 대형구조물시험기, 자
5) 석고를 물에 푼 것 또는 옥내용의 백색수성페인트를 물에 묽게 푼것을 실험체에 도포하여 발생한 균열이 발견되기 쉽도록 한다. 이경우 2)에서 기록한 균열과 구별되도록 주의한다.
6) 실험체의 양지점, 하중점, 중아부에 연필이나 사인펜 등으로 자를 대고 치수선을 긋는다. 그리고 실험체의 양측면에 가로, 세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바둑판 모양의 선을 긋고 종방햐으 횡방향에 각기 번호를 붙인다. 이렇게 하여 두면 균열의 기록이 용이해져서 전단 균열발생후 실험체의 측면의 치우침을 관찰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7) 와이어스트레인게이지의 부착위치에 미리 붙여둔 테이프를 떼고 그 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나 먼지 등을 닦아내어 깨끗이 한 다음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고 리드선을 납땜한다.
8) 콘텍트게이지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변형이나 균열폭을 측정할 경우는 콘크리트 표면의 측정위치에 표점을 찍어둔다.
전단 균열의 형태를 알기위한 재하장치의 준비
휨 및 휨-전단 실험용의 재하장치로서는 만능시험기, 압축시험기, 대형구조물시험기, 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