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건강교육 시험범위 써머리. 요약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건강교육 시험범위 써머리.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2장. 생활환경
󰊱화재 안전
󰊲교통안전
󰊳미디어 안전

제3장. 사회 환경
󰊱환경 및 공해에 대한 안전
󰊲미아·유괴·성폭력

제4부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목적 및 필요성
󰊲응급처치의 기본원칙
󰊳응급 처치를 위한 구급용품
󰊴증상에 따른 응급 저치

본문내용

력(p202)(1)성폭력의 의미
성폭력이란
상대방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성적 행위를 하거나 성적 행위를 강요하
는 행위. 광범위적인 개념
어린이 성폭력은
13세 미만의 어린이에 대한 성폭력을 말하며, 친족성폭력의 경우도 종종 발생.
친족 성폭력은 일상적으로 대면하므로 지속적이라는 점이 특징. 친족 성폭력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더욱 심각한 후유증과 어려움을 겪게 됨.
(2)성폭력의 실태와 특성
-주로 아는 사람에 의한 피해가 78%
-윗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복종적인 공경과 순종을 강조하는 우리 사회의 관
행은 어린이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거나 친족이나 주변인을 경계하는 것을 어
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음
-영유아 피해자의 속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성적 행위를 위장
-어린이에게 폭력과 위협을 가하여 피해 사실을 장기간 노출하지 못하게 하여 지
속적인 피해에 노출되기도 함
(3)유형별 어린이 성폭력
어린이 성폭력은 성인에 대한 믿음을 파괴하고 더 나아가 인간에 대한 신뢰를
상실케 하고 배신감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범죄 행위.
(4)성폭력 예방교육
●성폭력 예방을 위한 어린이 안전 수칙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안전 수칙
①어린이와 성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
“옷 안의 네 몸은 소중한 부분이니까 다른 사람이 만지면 안돼.”
②누군가가 원치 않거나 불쾌하게 느껴지는 접촉을 할 때 단호하게 “안돼요!”
③어린이에게 가해자가 협박할 수도 있다고 말해주고,
“싫어요, 비밀로 하지 않을 거에요.”라고 말하라고 주의를 준다.
④어린이에게 “너에게 어떤 어려움이 생기더라도 끝까지 보호해 줄 테니 부끄러
워하거나 무서워하지 말고 곧장 이야기하라.”고 일러준다.
⑤낯선 사람의 차를 혼자 타지 말라고 일러준다.
⑥어디 갈 때에는 부모님이나 보호자에게 누구와 함께 가는지를 꼭 알리도록
한다.
⑦집에 혼자 있을 때 누군가 오면 문을 열어주지 말라고 일러준다.
⑧공공화장실에 가거나 엘리베이터를 탈 때에는 친구나 어른과 함께 가도록 한다
⑨좋은 느낌과 나쁜 느낌은 어떤 것인지 알려준다.
⑩영유아 자신의 몸은 소중하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어린이 성폭력 피해 시 부모를 위한 수칙
①어린이가 피해 사실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②어린이를 안심시킨다.
③어린이를 병원에 데리고 간다. ④경찰에 신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⑤전문 상담 기관에 알린다. ⑥어린이 앞에서 지나치게 걱정하지 말아야 한다.
⑦어린이 앞에서 가해자에 대한 심한 말을 삼간다.
⑧소아정신과 의사를 만나본다.
(5)성폭력 피해자의 후유증
①신체적 후유증 ②심리적 후유증 ③사회적 후유증 ④성적 후유증
(6)성범죄자 관리를 위한 방법
①한국의 경우: 사회교육용 성격이 강하다. -청소년보호위원회
②미국의 경우: 이웃을 보호하는 개념으로 법이 시행- 매건법
제3부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목적 및 필요성(P211)
*응급처치란 돌발적인 사고나 질병이 발생되었을 때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기 전까지 행해지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로서 인명 구조, 고통 경감, 상처
나 질병의 악화 방지, 심리적인 안정을 목적으로 함.
응급처치의 기본원칙(P211)
①기도유지: 산고 공급이 5분 이상 차단되면 심각한 손상을 받을 수도.
②지혈: 15%이상을 잃으면 쇼크를 초래, 25%정도를 잃으면 사망
③쇼크 예방
④의식 상태와 신체 부위 관찰 -동공 살피기
⑤상처 보호: 멸균조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깨끗한 거즈로 살짝 덮어준다.
골절-손상부위에 부목을 대어주고, 손상 부위를 높게 유지시킴.
⑥통증과 불안감소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의 순서
1)영유아의 상태를 평가한다.
2)심폐소생술(CPR)의 ABC
①Airway(기도확보) ②Breathing(인공호흡) ③Circulation(심장 마사지)
3)다친 유아를 옮긴다.
4)응급실로 간다.
5)응급실에서 ①급성 응급 상태 ②긴급성 응급 상태 ③비긴급성 응급 상태
6)다친 유아의 회복을 돕는다.
응급 처치를 위한 구급용품(p218)
1)구급상자 의료용 재료, 외용제, 내용제
2)구급물품
*식초-벌레에 물렸을 때, 소다수-곤충에 쏘였을 때, 화장을 입었을 때
소금과 물-소독제, 올리브유-벌레가 귓속으로 들어갔을 때
바늘-상처에 가시나 돌 등이 들어 갔을 때
증상에 따른 응급 저치(p220)
1)연조직 손상
(1)찰과상
①세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옥시풀이나 머큐로크롬 등으로 소독
②수돗물로 깨끗하게 씻기, 필요하면 비누를 사용해서 씻고, 흐르는 물에 씻는다.
(2)열상(베인 상처)
①상처가 가벼운 경우- 2~3분이면 지혈
②심한 상처-
심장보다 높게 하기, 시장 가까운 부분의 지혈점 압박, 5분 이상 하지 않기.
③붕대의 매듭은 상처 있는 곳을 피하여 묶기.
(3)자상(찔린 상처)-족집게, 파상풍 예방 조치,
(4)타박상
(5)끼인 상처
(6)손톱의 상처
(7)교상(물리거나 쏘인 상처)
-항사독소가 준비 될 수 있도록 미리 병원에 전화하기.
-물린 곳은 정상적인 조직까지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알코올이나 과산화수소로
소독하지 않는다.
-꿀벌에 쏘였을 때: 벌침을 제거하고 비누와 물로 씻은 후 카라민 로션을 두드려
발라준다.
-독사: 독을 빨아내지 않는다. 움직임을 줄이며, 독액의 흐름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하고, 물린 부위에 깨끗하고 차가운 수건이나
습기가 있는 붕대로 덮어주기.
2)뼈와 관절의 손상(p225)
(1)골절 골굴절 형태로 발생(휘는 것), 튀어나온 뼈를 도로 밀어 넣으려고 하지 말
기, 들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따뜻하게 해주고 삼각끈으로 팔을 지지
(2)탈구 탈구(관절 부분에서 뼈가 빠진 상태), 힘을 주어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3)염좌 염좌(관절이 어긋났다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 상태), 발못의 염좌-통증
이 있어 발을 움직일 수 없고, 점차 부어올라 내출혈 때문에 파랗게 된다.
3)두부손상(p227)
①혹이 생겼을 때: 차가운 물수건으로 식힘
②상처나 출혈이 있을 때: 상반신을 조금 높게
③구역질, 구토: 구토물이 기관을 막지 않게 하기 위해 고개를 옆으로 돌림
④코나 귀에서 출혈이 있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