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조 (유리로 된 것), 비커
물이 모래를 통과하면 어떻게 될까?
① 1.5리터 병의 뚜껑에 구멍을 뚫고 밑부분을 자른 용기의 맨 밑에 휴지를 깔고
자갈 → 모래 → 숯 → 모래 → 자갈의 순으로 채운다.
② 위에서 천천히 더러운 물을 붓는다.
③ 유리 그릇에 떨어지는 물을 원래의 더러운 물과 비교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관찰해본다.
교사 : 이 물은 왜 더러워졌을까?
유아 : 흙이 썩어서요.
교사 : 이 더러운 물을 그대로 두면 어떻게 될까?
유아 : 물이 썩어요.
교사 : 어떻게 하면 이 더러운 물을 깨끗하게 만들 수 있을까?
교사 : 더러운 물을 이 병에 부으면 어떻게 될까?
교사 : (병에 물을 부은 후) 더러운 물이 어떻게 되었니?
유아 : 깨끗해졌어요.
교사 : 왜 물이 깨끗해졌을까?
유아 : 자갈, 모래, 숯, 모래, 자갈이 물을 깨끗하게 했어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물을 깨끗하게 만드는 곳을 견학할 계획을 세운다
(수도국, 하수처리장, 자갈이 많은 시냇물 등)
신나는 물의 움직임
** 신나는 물의 움직임 ** - 신체 표현 -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신체로 표현할 수
있다.
깨끗해진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① 더럽게 오염된 물의 움직임을 상상해본다.
② 물이 정화되고 있을 때는 어떻게 움직일지 상상해본다.
③ 물이 깨끗해진 다음에는 어떻게 움직일지 상상해본다.
④ 상상한 물의 움직임을 물이 오염되고 정화되어 깨끗해지기까지의 과정을
음악에 맞추어 자유스럽게 표현하여 본다.
교사 : 더러운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유아 : 느리게요.
교사 : 물이 모래와 자갈들을 통과할 때는 어떻게 움직일까?
유아 : 모래 사이를 왔다 갔다 해요.
교사 : 모래를 통과해서 다시 깨끗하게 된 물은 기분이 어떨까?
유아 : 깨끗해져서 기분이 좋아요.
교사 : 깨끗해진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유아 : 기분이 좋아서 신나고 빠르게 움직여요.
물방울의 역할과 그 물방울이 정화되기 위해서 통과하는 모래알갱이들의 역할을 맡은 유아들로
나누어서 표현활동을 하면 한층 재미있다.
동시 듣고
표현하기
(장마철)
** 동시 듣고 표현하기 ** - 언어영역 -
동시를 감상하고 그림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다.
장마철
서정숙
수박밭에 수박이
참외밭에 참외가
주룩주룩 비맞고
잘도 크지요.
수박 먹고 참외 먹고
여름철 장마철
나도 크지요
감자 밭에 감자가
옥수수밭 옥수수
주룩주룩 비맞고
잘도 크지요.
감자 먹고 옥수수 먹고
여름철 장마철
나도 크지요.
장난감 씻기
** 장난감 씻기 ** - 역할 -
놀잇감을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물에 세제와 묵은 때가 녹이는 특성이 있는 것을 안다.
1) 집에서 그릇 닦아 본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2) 교실의 장난감을 닦는 것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3) 장난감 닦는 순서에 관하여 의논한다.
◇ 스펀지로 닦기, 물로 헹구기, 행주로 물기 닦기 등 준비물을 보면서 역할을 분담한다.
◇ 설거지통에 세제와 물을 넣어 비눗물 만들기
◇ 헹굼물 떠 놓기
◇ 플라스틱 바구니와 행주 준비하기
4) 설거지를 하고 뒷마무리를 한다.
◇ 첫 번째 유아가 비눗물에 장난감을 넣고 스펀지로 닦아 헹굼통에 넣는다.
◇ 그 다음 유아는 맑은 물에 헹궈 플라스틱 바구니에 담는다.
◇ 마지막으로 장난감의 물기를 행주로 닦아 정리한다.
* 관련활동 : 인형 옷 빨래하기, 인형 목욕시키기
스펀지
** 스펀지 ** - 과학-
물을 흡수하는 물질에 대해 안다.
1) 스펀지에 물을 적셔서 벽에 그림을 그려 보세요.
그늘진 곳과 햇빛나는 곳에서 물로 그림을 그려 보세요.
어느 곳의 물이 빨리 마르는지 비교해 보세요.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까?
2) ‘스펀지가 어느 날.......’ 이나 ‘ 가장 유명한 스펀지’라는 제목으로 이야기를 만들어서 적어보세요.
스펀지 형태를 이용해서 여러 도형을 구상해 보세요.
스펀지의 여러 면을 관찰해 보고 필요하면 잘라도 보세요
3) 마른 스펀지를 물에 흠뻑 적셔 보세요.
측량컵을 사용해서 얼마만큼의 물이 흡수 되었는지 측정해 보세요.
다음엔 한 번 짜낸 후의 스펀지를 물에 적셔 보세요. 얼마만큼 흡수했나요?
결과를 비교해 보고 결론을 맺어 보세요.
같은 실험을 비눗물 같이 물보다 좀 무거운 액체를 사용해서 해 보세요.
어떤 점이 다른지 관찰하고 이야기해 보세요.
얼음 속 물고기들은 어떻게 될까요?
** 얼음 속 물고기들은 어떻게 될까요? ** - 창의성 활동 -
1) 그림과 함께 결론이 없는 아래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2) 호수의 물고기는 겨울 동안 어떻게 될지 묻고 유아들의 생각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이야기를 전개하는 동안 유아들은 물고기들이 어떻게 될지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유아들이 미리 생각해 본다면 추위 속에서 물고기들이 어떻게 견디는지 알게 될 것이다.)
* 물고기가 얼어서 죽어요.
* 물고기가 꽁꽁 얼어 있다가 봄이 되면 녹아서 살아나요.
* 다른 곳으로 헤엄쳐서 가니까 살 수 있어요.
① 작고 평화로운 호수가 있어요. 철이는 호수가 보이는 언덕에 살고 있어요.
② 철이는 호숫가에서 노는 것을 제일 좋아한답니다.
철이는 물고기들에게 이름을 붙여 주었지요. “점박아, 잘 지냈니? 왕눈이도 왔네.”
호수에 사는 물고기들이 철이 주변으로 몰려들지요.
철이를 보며 반갑다고 인사하는 것 같습니다.
③ 여름에 철이는 물고기들과 함께 헤엄을 치지요. 정말 즐겁습니다.
④ 가을엔 나뭇잎 배를 띄우며 놀지요. 물고기들이 유유히 헤엄을 치며 나뭇잎 배와 겨룹니다.
⑤ 이제 추운 겨울이 되었어요. 호수도 추위가 왔어요. 철이가 호수를 찾았습니다.
호수는 조금씩 얼기 시작했습니다. “어쩌면 좋지?”
철이는 호수가 어는 것을 보고 너무나 걱정이 되었습니다.
⑥ 호수가 완전히 얼어버렸습니다.
얼음 때문에 이제 물속은 보이지 않습니다.
물고기들이 얼어 죽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철이의 마음은 몸씨 우울했습니다.
얼음 속 물고기 어떻게 될까요? (2)
** 얼음 속 물고기 어떻게 될까요? (2) ** - 창의성 활동 -
1) 활동1〉의 뒷부분을 생각하여 그림으로 그리고 이야기 한다.
물총놀이
** 물총놀이 ** - 조형 & 게임 -
1) 빈 케
물이 모래를 통과하면 어떻게 될까?
① 1.5리터 병의 뚜껑에 구멍을 뚫고 밑부분을 자른 용기의 맨 밑에 휴지를 깔고
자갈 → 모래 → 숯 → 모래 → 자갈의 순으로 채운다.
② 위에서 천천히 더러운 물을 붓는다.
③ 유리 그릇에 떨어지는 물을 원래의 더러운 물과 비교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관찰해본다.
교사 : 이 물은 왜 더러워졌을까?
유아 : 흙이 썩어서요.
교사 : 이 더러운 물을 그대로 두면 어떻게 될까?
유아 : 물이 썩어요.
교사 : 어떻게 하면 이 더러운 물을 깨끗하게 만들 수 있을까?
교사 : 더러운 물을 이 병에 부으면 어떻게 될까?
교사 : (병에 물을 부은 후) 더러운 물이 어떻게 되었니?
유아 : 깨끗해졌어요.
교사 : 왜 물이 깨끗해졌을까?
유아 : 자갈, 모래, 숯, 모래, 자갈이 물을 깨끗하게 했어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물을 깨끗하게 만드는 곳을 견학할 계획을 세운다
(수도국, 하수처리장, 자갈이 많은 시냇물 등)
신나는 물의 움직임
** 신나는 물의 움직임 ** - 신체 표현 -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신체로 표현할 수
있다.
깨끗해진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① 더럽게 오염된 물의 움직임을 상상해본다.
② 물이 정화되고 있을 때는 어떻게 움직일지 상상해본다.
③ 물이 깨끗해진 다음에는 어떻게 움직일지 상상해본다.
④ 상상한 물의 움직임을 물이 오염되고 정화되어 깨끗해지기까지의 과정을
음악에 맞추어 자유스럽게 표현하여 본다.
교사 : 더러운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유아 : 느리게요.
교사 : 물이 모래와 자갈들을 통과할 때는 어떻게 움직일까?
유아 : 모래 사이를 왔다 갔다 해요.
교사 : 모래를 통과해서 다시 깨끗하게 된 물은 기분이 어떨까?
유아 : 깨끗해져서 기분이 좋아요.
교사 : 깨끗해진 물은 어떻게 움직일까?
유아 : 기분이 좋아서 신나고 빠르게 움직여요.
물방울의 역할과 그 물방울이 정화되기 위해서 통과하는 모래알갱이들의 역할을 맡은 유아들로
나누어서 표현활동을 하면 한층 재미있다.
동시 듣고
표현하기
(장마철)
** 동시 듣고 표현하기 ** - 언어영역 -
동시를 감상하고 그림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다.
장마철
서정숙
수박밭에 수박이
참외밭에 참외가
주룩주룩 비맞고
잘도 크지요.
수박 먹고 참외 먹고
여름철 장마철
나도 크지요
감자 밭에 감자가
옥수수밭 옥수수
주룩주룩 비맞고
잘도 크지요.
감자 먹고 옥수수 먹고
여름철 장마철
나도 크지요.
장난감 씻기
** 장난감 씻기 ** - 역할 -
놀잇감을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물에 세제와 묵은 때가 녹이는 특성이 있는 것을 안다.
1) 집에서 그릇 닦아 본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2) 교실의 장난감을 닦는 것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3) 장난감 닦는 순서에 관하여 의논한다.
◇ 스펀지로 닦기, 물로 헹구기, 행주로 물기 닦기 등 준비물을 보면서 역할을 분담한다.
◇ 설거지통에 세제와 물을 넣어 비눗물 만들기
◇ 헹굼물 떠 놓기
◇ 플라스틱 바구니와 행주 준비하기
4) 설거지를 하고 뒷마무리를 한다.
◇ 첫 번째 유아가 비눗물에 장난감을 넣고 스펀지로 닦아 헹굼통에 넣는다.
◇ 그 다음 유아는 맑은 물에 헹궈 플라스틱 바구니에 담는다.
◇ 마지막으로 장난감의 물기를 행주로 닦아 정리한다.
* 관련활동 : 인형 옷 빨래하기, 인형 목욕시키기
스펀지
** 스펀지 ** - 과학-
물을 흡수하는 물질에 대해 안다.
1) 스펀지에 물을 적셔서 벽에 그림을 그려 보세요.
그늘진 곳과 햇빛나는 곳에서 물로 그림을 그려 보세요.
어느 곳의 물이 빨리 마르는지 비교해 보세요.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까?
2) ‘스펀지가 어느 날.......’ 이나 ‘ 가장 유명한 스펀지’라는 제목으로 이야기를 만들어서 적어보세요.
스펀지 형태를 이용해서 여러 도형을 구상해 보세요.
스펀지의 여러 면을 관찰해 보고 필요하면 잘라도 보세요
3) 마른 스펀지를 물에 흠뻑 적셔 보세요.
측량컵을 사용해서 얼마만큼의 물이 흡수 되었는지 측정해 보세요.
다음엔 한 번 짜낸 후의 스펀지를 물에 적셔 보세요. 얼마만큼 흡수했나요?
결과를 비교해 보고 결론을 맺어 보세요.
같은 실험을 비눗물 같이 물보다 좀 무거운 액체를 사용해서 해 보세요.
어떤 점이 다른지 관찰하고 이야기해 보세요.
얼음 속 물고기들은 어떻게 될까요?
** 얼음 속 물고기들은 어떻게 될까요? ** - 창의성 활동 -
1) 그림과 함께 결론이 없는 아래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2) 호수의 물고기는 겨울 동안 어떻게 될지 묻고 유아들의 생각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이야기를 전개하는 동안 유아들은 물고기들이 어떻게 될지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유아들이 미리 생각해 본다면 추위 속에서 물고기들이 어떻게 견디는지 알게 될 것이다.)
* 물고기가 얼어서 죽어요.
* 물고기가 꽁꽁 얼어 있다가 봄이 되면 녹아서 살아나요.
* 다른 곳으로 헤엄쳐서 가니까 살 수 있어요.
① 작고 평화로운 호수가 있어요. 철이는 호수가 보이는 언덕에 살고 있어요.
② 철이는 호숫가에서 노는 것을 제일 좋아한답니다.
철이는 물고기들에게 이름을 붙여 주었지요. “점박아, 잘 지냈니? 왕눈이도 왔네.”
호수에 사는 물고기들이 철이 주변으로 몰려들지요.
철이를 보며 반갑다고 인사하는 것 같습니다.
③ 여름에 철이는 물고기들과 함께 헤엄을 치지요. 정말 즐겁습니다.
④ 가을엔 나뭇잎 배를 띄우며 놀지요. 물고기들이 유유히 헤엄을 치며 나뭇잎 배와 겨룹니다.
⑤ 이제 추운 겨울이 되었어요. 호수도 추위가 왔어요. 철이가 호수를 찾았습니다.
호수는 조금씩 얼기 시작했습니다. “어쩌면 좋지?”
철이는 호수가 어는 것을 보고 너무나 걱정이 되었습니다.
⑥ 호수가 완전히 얼어버렸습니다.
얼음 때문에 이제 물속은 보이지 않습니다.
물고기들이 얼어 죽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철이의 마음은 몸씨 우울했습니다.
얼음 속 물고기 어떻게 될까요? (2)
** 얼음 속 물고기 어떻게 될까요? (2) ** - 창의성 활동 -
1) 활동1〉의 뒷부분을 생각하여 그림으로 그리고 이야기 한다.
물총놀이
** 물총놀이 ** - 조형 & 게임 -
1) 빈 케
추천자료
[수질오염][수질오염 정의][수질오염원][수질오염 영향][수질오염 방지 대책][환경오염][환경...
유아과학활동의 활동계획안 및 활동의 이론적 배경 및 실습
기업의 재무활동, 투자활동, 영업,생산활동의 정의 및 내용
초등3)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체육 64~65 (1/2)차시> 2. 물살을 가르며 - 물에 ...
5학년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 작은 생물의 세계 - 물에 사는 작은 생물 알아보기
5학년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 작은 생물의 세계 - 물에 사는 작은 생물
5학년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 작은 생물의 세계 - 물에 사는 작은 생물의 생김새와 ...
[아동 수과학] 수학 활동 계획안, 수학 활동 내용, 과학 활동 계획안, 과학 활동내용(4계절),...
수 과학 교육의 내용의 활동안을 작성하여라 - 1. 만 5세 대상 수학 활동안 (주제 : 나, 활동...
후원(후원활동, 후원사업)의 개념, 후원(후원활동, 후원사업)의 종류, 후원(후원활동, 후원사...
만1세) <어린이집 보육일지> 12월 2주 - 주제 : 좋아하는 놀이가 있어요 Ⅰ / 소주제 : 그림책...
미술활동을 통한 수·과학교육 접근의 교육적 의의와 과정 및 실제 (미술 활동 활동안모음)
만5세 흙 프로젝트 활동계획안입니다. 활동계획안/ 자원목록표/ 주제별 활동 계획안/ 가정통...
아동복지정책에서 2013년 이후 방과후학교 활성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계속 불거지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