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 월마트 소개
- 월마트의 현황
- 월마트의 성공 전략
2. 월마트와 SCM
- 월마트의 SCM시스템
- WSN시스템
- POS시스템
- 전용운송시스템
- Cross Docking시스템
- QR시스템
- VMI시스템
3. RFID와 월마트
4. 결 론(우리들의 생각과 향후 분석)
- 월마트 소개
- 월마트의 현황
- 월마트의 성공 전략
2. 월마트와 SCM
- 월마트의 SCM시스템
- WSN시스템
- POS시스템
- 전용운송시스템
- Cross Docking시스템
- QR시스템
- VMI시스템
3. RFID와 월마트
4. 결 론(우리들의 생각과 향후 분석)
본문내용
고마움에 표시로 글을 쓰기도 한다. 다른 때 그들은 거의 영웅적인 사건들에 대해서 글을 쓰기도 한다.
나. 월마트 현황
월마트는 현재 전 세계에 4093개의 체인점을 거느리고 있으며 회사의 정확한 명칭은 ‘월마트 스토어스(월마트 Stores)\'이다. 월마트는 전 세계적으로 3가지 형태의 유통업체를 운영하고 있는데 첫째가 ‘월마트 스토어(월마트 Store)\' 로 의류나 잡화를 판매하는 할인점이며 신선한 식품은 취급하지 않는다. 둘째는 ’슈퍼센터(Super Center)\'로 전체 취급상품의 35-40%가 신선한 식품인 대규모 종합 할인점이다. 셋째는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인 ‘샘스 클럽(Sam\'s Club)’이다. 그리고 월마트는 「포춘」에서 2002년 세계 500대 기업 중 유통업계 최초로 세계 1위 기업으로, 2003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1위로 선정됐다. 이는 「포춘」 선정 사상 최초로 한 기업이 두 가지 분야에서 1위에 오르는 놀라운 기록이다. 2003년 월마트는 2560억 달러어치의 물건을 팔아 3년 연속 전 세계 매출 1위라는 타이틀을 유지했다. 전 세계 매장 수는 2003년 말 기준으로 4900여개로 업계 2위인 까르푸보다 매장면적에서 2배 이상 높다. 세계 10개국 4천여 개 월마트 매장에서 매주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장을 보고, 130만 명 이상의 직원들이 생계를 잇고 있다. 또한 회원제 도매클럽인 \'Sam\'s, 식품부문을 크게 강화시킨 \'Hypermart USA\', 할인점과 슈퍼스토어의 혼합형인 \'Supercenter\' 등 새로운 업태도 개설하여 운영 중에 있다.
다. 월마트의 성공전략
월마트는 1998년 매출액 1,400억 달러 (160조원)로 세계 최대 소매업체이며 GM, 포드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 위치의 대기업이다. 그러나 큰 기업치고는 그렇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창립 5년 후에 월마트 상점은 19개에 불과하였으나 경쟁기업 K-Mart는 이미 250개의 점포를 갖고 있었다. 이렇게 월마트의 성공비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된다.
① 뼈를 깎는 저가정책
월마트가 저가정책을 써서 할인판매점으로 성공한 것은 모두 다 아는 바이다. 그러나 그 저가정책은 누구보다도 철저하다. 월마트는 상품을 구입할 때 중간도매상을 철저히 배제하고 생산자에게 직접 사며 그것도 대량으로 구입하여 구입가격을 대폭적으로 저렴하게 구입한다. 또한 전 세계를 통하여 산지가격 동향을 체크하여 지구상에서 가장 저렴한 원료를, 인건비가 싼 곳에서 가장 가격 경쟁력을 갖춘 상품으로 매장에 투입한다. 그리고 임대료와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대도시 중심지 보다는 도시 외곽에, 대도시 보다는 소도시에 판매장을 설치한다. 또한 수개의 할인판매점이 있는 근처에 소규모의 창고를 두어 물류비용을 절감하며 신속히 배달이 되도록감하기 위상품의 회전율을 높이고 팔리지 않는위상품의 재고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재고관리의 전산화를 철저히 한다. 월마트 자신만 전산화하는 것이 아니고 월마트에 판매하는 제조업체까지 전산화하여 월마트 에서 어떤 제품이 얼마나 팔리고 재고가 얼마나 있는지 즉시 알 수 있어 적시에 적량을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감하기 위이렇게 하기 위하여 담을 줄존용 인공위성을 3개나 소유할 정도이다. 가격파괴의 기업문화를 심는다. 월마트는 앞서 말한 대로 27억 달러의 이익이 나는 기업이며 담을 줄회장 샘 담튼씨는위미국에서 몇째 가는 부자였다. 그러나 월마트는 아칸사스주의 이름도 없는 소도시 허름한 구식건물에 본사를 두고 있다. 아마도 이 정도의 이익이 나는 미국 기업이라면 대도시와 중심지에 화려한 빌딩인 본사를 두고 그 위용을 뽐낼 것이다. 월튼씨 자신도 구식 포드 픽업트럭을 손수 운전하고 값싼 식당에서 식사를 하며 평범한 이발소에서 이발을 하였다. 즉 저가로 파는 할인판매점에서는 모든 것을 절약하여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손수 보여준다. 자기는 미국의 갑부라고 하여 최고급 자동차에 최고급 식당에서 식사를 하며 자기 직원들에게 회사 돈을 아끼라고 훈시한다면 그 말이 사원들에게 먹혀 들어갈 것인가?
② 시장선점월마트가 소도시에 점포를 열었던 이유는 토지 건물 등 점포가격이 저렴하고 인건비가 낮은 이유도 있지만 다른 경쟁자가 소홀히 하고 있었던 틈새시장에 과감하게 진출하려고 한 것이다. 1960년대 K마트가 5만평 이하의 소도시에는 진출하지 않았던 반면 월마트는 5천명 이하의 소도시에도 진출하여 그 시장을 완전히 석권하였다. 대도시 진출 시에도 도시 중심지 보다는 외곽지역을 공략하여 과당 경쟁을 피하고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이었다.
③ 인간 중시 경영사원은 동업자월마트에서는 회사사원을 직원(clerk)이라고 부르지 않고 associate 즉, 동업자 또는 친구라고 불렀다. 창업자 월튼씨는 작고하기 수년 전까지도 매년 전국의 판매점을 순회하면서 판매 사원에게 지시하기 보다는 그들로부터 의견을 청취하였고 그것을 경영에 반영하였다. 미국의 갑부인 자기 회사의 회장이 자기를 친구라고 부르며 자기의 말을 경청할 때 그 직원의 사기가 얼마나 올라 갈 것인가? 월마트에서 구축하고 있는 동반체제의 핵심은 이익 공유, 장려보너스, 주식할인 매입계획 등 인센티브 제도와 발전적 조직문화 구축에 있다. 60년대 초 미국 유통업계에는 종업원의 물품 빼돌리기가 매출액의 10%가 넘었다고 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월마트는 동료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조직 문화를 구축했다. 경영자가 직원을 다루는 방식이 곧바로 직원들이 고객을 대하는 방식이 된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월마트에 대한 미국인들의 애착은 가족적인 편안한 분위기에서 비롯됐다는데 이견이 없다
2. 월마트와 SCM시스템
월마트의 사업전략은 \'소비자는 보다 싼 가격의 제품을 원하고 있으며, 월마트는 이에 부응하여 항상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한다(Every Day Low Price: EDLP)\'이다. 소비자의 상점선택에 있어서 핵심 의사결정요인은 가격임에 틀림없고 보다 싼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경쟁우위적인 요소임에는 다른 경쟁사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월마트는 이들을 따돌리고 세계 제1의 소매기업이 된 성공요인은
나. 월마트 현황
월마트는 현재 전 세계에 4093개의 체인점을 거느리고 있으며 회사의 정확한 명칭은 ‘월마트 스토어스(월마트 Stores)\'이다. 월마트는 전 세계적으로 3가지 형태의 유통업체를 운영하고 있는데 첫째가 ‘월마트 스토어(월마트 Store)\' 로 의류나 잡화를 판매하는 할인점이며 신선한 식품은 취급하지 않는다. 둘째는 ’슈퍼센터(Super Center)\'로 전체 취급상품의 35-40%가 신선한 식품인 대규모 종합 할인점이다. 셋째는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인 ‘샘스 클럽(Sam\'s Club)’이다. 그리고 월마트는 「포춘」에서 2002년 세계 500대 기업 중 유통업계 최초로 세계 1위 기업으로, 2003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1위로 선정됐다. 이는 「포춘」 선정 사상 최초로 한 기업이 두 가지 분야에서 1위에 오르는 놀라운 기록이다. 2003년 월마트는 2560억 달러어치의 물건을 팔아 3년 연속 전 세계 매출 1위라는 타이틀을 유지했다. 전 세계 매장 수는 2003년 말 기준으로 4900여개로 업계 2위인 까르푸보다 매장면적에서 2배 이상 높다. 세계 10개국 4천여 개 월마트 매장에서 매주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장을 보고, 130만 명 이상의 직원들이 생계를 잇고 있다. 또한 회원제 도매클럽인 \'Sam\'s, 식품부문을 크게 강화시킨 \'Hypermart USA\', 할인점과 슈퍼스토어의 혼합형인 \'Supercenter\' 등 새로운 업태도 개설하여 운영 중에 있다.
다. 월마트의 성공전략
월마트는 1998년 매출액 1,400억 달러 (160조원)로 세계 최대 소매업체이며 GM, 포드에 이어 미국에서 3번째 위치의 대기업이다. 그러나 큰 기업치고는 그렇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창립 5년 후에 월마트 상점은 19개에 불과하였으나 경쟁기업 K-Mart는 이미 250개의 점포를 갖고 있었다. 이렇게 월마트의 성공비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된다.
① 뼈를 깎는 저가정책
월마트가 저가정책을 써서 할인판매점으로 성공한 것은 모두 다 아는 바이다. 그러나 그 저가정책은 누구보다도 철저하다. 월마트는 상품을 구입할 때 중간도매상을 철저히 배제하고 생산자에게 직접 사며 그것도 대량으로 구입하여 구입가격을 대폭적으로 저렴하게 구입한다. 또한 전 세계를 통하여 산지가격 동향을 체크하여 지구상에서 가장 저렴한 원료를, 인건비가 싼 곳에서 가장 가격 경쟁력을 갖춘 상품으로 매장에 투입한다. 그리고 임대료와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대도시 중심지 보다는 도시 외곽에, 대도시 보다는 소도시에 판매장을 설치한다. 또한 수개의 할인판매점이 있는 근처에 소규모의 창고를 두어 물류비용을 절감하며 신속히 배달이 되도록감하기 위상품의 회전율을 높이고 팔리지 않는위상품의 재고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재고관리의 전산화를 철저히 한다. 월마트 자신만 전산화하는 것이 아니고 월마트에 판매하는 제조업체까지 전산화하여 월마트 에서 어떤 제품이 얼마나 팔리고 재고가 얼마나 있는지 즉시 알 수 있어 적시에 적량을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감하기 위이렇게 하기 위하여 담을 줄존용 인공위성을 3개나 소유할 정도이다. 가격파괴의 기업문화를 심는다. 월마트는 앞서 말한 대로 27억 달러의 이익이 나는 기업이며 담을 줄회장 샘 담튼씨는위미국에서 몇째 가는 부자였다. 그러나 월마트는 아칸사스주의 이름도 없는 소도시 허름한 구식건물에 본사를 두고 있다. 아마도 이 정도의 이익이 나는 미국 기업이라면 대도시와 중심지에 화려한 빌딩인 본사를 두고 그 위용을 뽐낼 것이다. 월튼씨 자신도 구식 포드 픽업트럭을 손수 운전하고 값싼 식당에서 식사를 하며 평범한 이발소에서 이발을 하였다. 즉 저가로 파는 할인판매점에서는 모든 것을 절약하여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손수 보여준다. 자기는 미국의 갑부라고 하여 최고급 자동차에 최고급 식당에서 식사를 하며 자기 직원들에게 회사 돈을 아끼라고 훈시한다면 그 말이 사원들에게 먹혀 들어갈 것인가?
② 시장선점월마트가 소도시에 점포를 열었던 이유는 토지 건물 등 점포가격이 저렴하고 인건비가 낮은 이유도 있지만 다른 경쟁자가 소홀히 하고 있었던 틈새시장에 과감하게 진출하려고 한 것이다. 1960년대 K마트가 5만평 이하의 소도시에는 진출하지 않았던 반면 월마트는 5천명 이하의 소도시에도 진출하여 그 시장을 완전히 석권하였다. 대도시 진출 시에도 도시 중심지 보다는 외곽지역을 공략하여 과당 경쟁을 피하고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이었다.
③ 인간 중시 경영사원은 동업자월마트에서는 회사사원을 직원(clerk)이라고 부르지 않고 associate 즉, 동업자 또는 친구라고 불렀다. 창업자 월튼씨는 작고하기 수년 전까지도 매년 전국의 판매점을 순회하면서 판매 사원에게 지시하기 보다는 그들로부터 의견을 청취하였고 그것을 경영에 반영하였다. 미국의 갑부인 자기 회사의 회장이 자기를 친구라고 부르며 자기의 말을 경청할 때 그 직원의 사기가 얼마나 올라 갈 것인가? 월마트에서 구축하고 있는 동반체제의 핵심은 이익 공유, 장려보너스, 주식할인 매입계획 등 인센티브 제도와 발전적 조직문화 구축에 있다. 60년대 초 미국 유통업계에는 종업원의 물품 빼돌리기가 매출액의 10%가 넘었다고 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월마트는 동료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조직 문화를 구축했다. 경영자가 직원을 다루는 방식이 곧바로 직원들이 고객을 대하는 방식이 된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월마트에 대한 미국인들의 애착은 가족적인 편안한 분위기에서 비롯됐다는데 이견이 없다
2. 월마트와 SCM시스템
월마트의 사업전략은 \'소비자는 보다 싼 가격의 제품을 원하고 있으며, 월마트는 이에 부응하여 항상 싼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한다(Every Day Low Price: EDLP)\'이다. 소비자의 상점선택에 있어서 핵심 의사결정요인은 가격임에 틀림없고 보다 싼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경쟁우위적인 요소임에는 다른 경쟁사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월마트는 이들을 따돌리고 세계 제1의 소매기업이 된 성공요인은
추천자료
국내 브랜드, 단독 경영 호텔 조사 보고서
리츠칼튼호텔의 고객만족경영 서비스와 마케팅 성공 사례 분석(호텔경영)
(독서감상문)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를 읽고
(독서감상문) 한국의 기업경영 20년을 읽고
이베이의 세계화 + EBAY 해석 선문대 국제경영
월마트(WAL MART) 멕시코 해석 선문대 국제경영
[브랜드 자산] 브랜드 자산의 의미, 브랜드자산 형성원천의 측정, 브랜드 자산 측정, 브랜드 ...
아시아산업의 정보화, IMF금융위기(IMF외환위기, IMF경제위기), 아시아산업의 기후변화협약, ...
[위치, 위치 참조, 위치 정보, 위치 추적, 위치 기반서비스(LBS), 기반서비스]위치의 참조, ...
[위치정보, 추적장치, LBS(위치기반서비스), 보호 사례, 보호방법]위치정보의 정의, 위치정보...
은행위험(은행리스크)의 관리원칙, ALM시스템(자산부채종합관리시스템), 은행위험(은행리스크...
[음악 저작인접권, 음악 저작인접권 개념, 음악 저작인접권 정보화, 음악 저작인접권 창작자 ...
[e-비즈니스 시스템] e-비즈니스 설계의 개념, e-비즈니스 설계의 요소, 사업범위, 구축실행,...
[경영학] 인터넷 마케팅과 사례 (마케팅의 신조류,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인터넷 마케팅,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