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사 대비 식사요법 파트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양사 대비 식사요법 파트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장질환, 고혈압
2. 간/담도계질환
3. 위장질환
4. 장부속기질환
5. 비뇨기질환
6. 호흡기질환

본문내용

내에서 불활성형으로 분비되어 십이지장에서 활성화 되는 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트립신이 십이지장이 아닌 췌장세포 내 또는 췌관 내에서
활성화 되어 췌장조직의 파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1. 원 인
담석증, 담낭염등 담낭질환의 합병, 알코올음료의 상습적 과음, 지방성음식의 과식, 복부수술
및 복부의 심한외상, 원인불명
1) 담석이 원인인 경우 담즙이 췌장으로 역류되어 췌장염을 일으킨다.
2) 급성취장염은 병원균성 염증이 아니고 체장조직의 선세포 및 췌관의 변성과 파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췌장내 효소가 활성화외어 혈액중에 유출되며 심장, 신장, 간등 다른 장기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 만성췌장염
췌장조직 또는 췌관 상피조직에 섬유질 증가, 지방침착, 석회화등이 일어남으로써 췌장의 분비 기능 저하와 췌액의 변성이 일어나며, 이로인하여 만성적인 소화장애와 체중감소가 일어나는
것이다.
급성췌장염에서 이행한 경우, 처음부터 만성형으로 일어나는 경우, 다른 질병에 합병하여
일어나는 경우
1. 원 인
1) 알코올의 상습적인 과음
2) 담낭염, 담관결석, 담석증등의 담낭 질환, 십이지장염, 간염, 당뇨병이 원인
증 상
■ 급성췌장염
갑자기 상복부에 심한 통증이 일어나며 중증일 경우 발열, 설사, 구역질, 구토, 복수, 신장애
발생 경우에 따라 담뇨병, 쇼크가 일어난다.
복통과 동시에 백혈구 증가, 혈청 amylase 및 요중 amylase증가, 신장애, 혈중 요소질소의
증가가 현저히 나타난다.중증일수록 소장이 마비되고 가스가 차며 복부 팽만이 일어난다
1. 진단법
혈액검사(백혈구수, 헤마토크리트치, 혈청아밀라제, 혈당치), X선 검진법
■ 만성췌장염
상복부에 불쾌감, 중압감 또는 지속적인 둔통, 소화장애, 체중감소, 빈혈
1. 진단법
소화관 호르몬 secretin과 panceozymin을 이용한 췌액분비 기능검사법,
요중 및 혈중 아밀라제측정법, 췌관의 X선 검사법
식 이 요 법
■ 치료 기본 수칙
급성췌장염
1) 트립신 활성화 억제, 통증억제, 쇼크 및 2차 감염대책 및 식사요법
■ 급성췌장염의 식사요법
1) 췌장의 선세포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 진행기에는 절식을 원칙으로 하고 비경구적으로 수분, 전해질, 당분, 아미노산등의 영양소 보급하고 구역질이 없어지면 수분을 조금씩 공급한다.
2) 진행기가 지나고 통증이 가라앉으면 영양기준을 이용하여 신중하게 식사요법을 해야 한다.
초기에는 당질을 주체로한 유동식을 소량섭취한다.(열량은 400~600kcal, 지방은 엄격히 제한)
3) 회복기에는 식욕과 소화능력에 따라 당질과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고 지질은 20g
으로 제한
4) 췌장염의 경우 부종이 생기기 쉬우므로 유동식을 섭취할 때에는 식염의 양을 1일 3g 이내로 제한하며 회복기에도 가능한 제한한다. 과식은 절대 금물
커피, 홍차, 술, 향신료등 자극성 음식은 금하며 음식의 온도는 너무 차지 않게한다.
1. 식사요법 기본방침
1) 식사량은 소량씩 아주 서서히 증가 시키며 한번에 많은양을 주지 않는다
2) 열량은 주로 당질로 공급한다
3) 단백질은 조금씩 첨가하여 점차 증가시킨다
4) 지방을 엄중히 제한하며 회복기에서도 소량으로 제한한다
5) 알코올 음료, 향신료, 커피등 자극적인 음식은 절대로 금한다
급성췌장염 전유동식 식단(예) (열량 485kcal, 단백질 4g, 지방1g이하, 탄수화물 115g)
아침
10시
점심
15시
저녁
밤참
미음
채소스프
과즙
미음
감자으깬것
녹말미음
과즙
미음
채소스프
유자차와꿀
급성췌장염 연식 식단(예) (열량 600kcal, 단백질 10g, 지방1g, 탄수화물 140g)
아침
10시
점심
15시
저녁
밤참
3부죽
채소스프
과즙
3부죽
감자으깬것
프푸트젤리
3부죽
당근으깬것
차와꿀
급성췌장염 연식 식단(예) (열량 800kcal, 단백질 17g, 지방4g, 탄수화물 170g)
아침
10시
점심
15시
저녁
밤참
5부죽
순두부
당근으깬것
사과소스
5부죽
감자으깬것
요구르트
바나나
5부죽
호박나물
차와꿀
■ 만성췌장염의 식사요법의 기본
1) 소화가 잘되는 식품을 선택하여 부드럽게 조리한다
2) 단백질은 지방분이 적고 부드러운 부위의 육류, 힌살코기 생선, 닭가슴 살코기, 달걀, 탈지
우유, 요구르트등으로 공급하며 육류는 갈아서 이용한다
3) 지방은 제한하며 튀김요리, 볶음 요리, 버터와 크림을 많이 이용한 음식과 과자류는 피한다.
조리에 사용하는 유지류는 유화된 것에 한한다.
4) 주식인 밥은 진밥으로 하며, 국수류를 조리 할 때에는 보통때보다 부드럽게 조리하고 라면,
쫄면, 냉면등은 피한다.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타민B1
의 섭취량도 증가 시켜야 한다.
5) 자극성이 강한 향신료와 조미료등은 금한다.
6) 당뇨병이 합병증일 경우 당뇨병 식사요법에 준한다.
아침
간식
점심
저녁
밥참
흰밥
두부채소국
수란
과실
탈지우유
감자밥
생선국
나물
흰밥
닭찜
생채

만성 췌장염 환자의 1일 식단(예) (열량 1,900kcal, 단백질 80g, 지방20g, 탄수화물 340g)
변 비
정 의
결장 또는 직장에 내용물이 장시간 머물게 되어 수분이 너무 많이 흡수되어 굳은 대변을 며칠
만에 보게 된다.
이에 수분이 부족한 분괴를 배설하는증세를 변비라 한다.
■ 변비의 분류
기능성변비
기질성변비
1. 일시성 변비
환경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2. 지속성 변비
1) 이완성 변비
습관성 상습변비
2) 경련성 변비
과민성변비
3) 직장형 변비
1. 장의 통과 장애에 의한 것
장폐색, 장종양(결장암등), 장결핵, 결장제실염
2. 대장의 형태 이상
3. 직장. 항문의 기질적 질환, 치질, 직장암
■ 원 인
1. 이완성변비(弛緩性 便秘)
1) 운동량이 극히 부족한 직종에 근무하는 근로자
2) 장거리 여행시 운동부족, 긴장과 피로 또는 불결한 화장실 이용
3) 몸이 허약한 노약자 또는 환자의 운동량 부족시
4) 임신 후반기 여성의 경우 태아가 커지면서 복부 압박 이로 인하여 발생
5) 아침결식, 식사량의 감소나 소식습관도 변비의 원인
6) 식사성원인
① 인스탄트, 패스트푸드등을 즐겨 먹는 경우
② 조섬유, 난소화성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10.07.02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2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