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기독교 신의 특징
1) 인간적인 신, 인간에 의해 조형된 신
2) 진리의 담지자로서의 여호와와 그 논리적 모순
3. 유교의 신적 존재의 특징
1) 추앙자의 의지에 예속되는 신적 존재
2) 철학적․도덕적 탐구 대상으로서의 신
2. 기독교 신의 특징
1) 인간적인 신, 인간에 의해 조형된 신
2) 진리의 담지자로서의 여호와와 그 논리적 모순
3. 유교의 신적 존재의 특징
1) 추앙자의 의지에 예속되는 신적 존재
2) 철학적․도덕적 탐구 대상으로서의 신
본문내용
실현은 개인적으로는 인간 자신에 내재하는 선한 심성의 발견과 실천이 되는 것이다. 김명하, 같은 논문, p. 114.
성(誠)은 하늘의 도(道)요, 성(誠)을 지향하는 것은 사람의 도(道) (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中庸』
라는 구절을 봐도 하늘과 사람의 관계는 분명해진다. 천(天)은 그 자체로 완벽하기에 지향의 대상이 되는 것이며, 사람은 저 완벽하게 성실(誠實)한 대상에게 접근해나갈 의무를 지닌 존재인 것이다. 이처럼 공자 이후의 유교에서는 천(天)에 대해 이법성을 부여함으로써 철학적인 탐구대상으로 삼는다. 여호와에 의해 이미 구축된 진리의 체계를 인간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적 방식이 아니라, 베일에 가려진 하늘의 진리를 인간의 이성능력을 통해 탐구하여 밝혀내는 것이 유교의 특징인 것이다.
유교는 어디까지나 신에 대비하여 인간의 우위적 입장을 견지했다. 이런 점은 공자의 ‘사람이 도를 일으키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人能弘道, 非道弘人)’『論語』, 「위령공(衛靈公)」
라는 인본주의적 천명에서 잘 나타난다. 공자의 저 말은 인간이 주체적으로 진리를 파악하고, 파악된 진리를 기준 삼아 도덕 원칙으로 정하면 될 뿐, 천(天)에 함몰되어 인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만약 공자가 ‘사람이 도를 일으키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만 말했다면 유교는 종교성이 탈색된 학문집단이 됐을 수도 있다. 하지만 공자는 『論語』전반에 걸쳐 천(天) 혹은 천명(天命)에 대하여 자주 이야기함으로써 천(天)에 대한 종교적 태도를 잃지 않는다. 이것은 천(天)이 학문적 탐구 대상일 때는 천(天)의 권위에 매몰되어 인간 이성을 마비시키지 말되, 천(天)이 도덕적 실천의 규준 역할을 할 때에는 종교적 경건성과 존경심을 유지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처럼 공자가 천(天)을 대하는 이중적인 방식은 기독교인이 여호와를 대하는 일원화된 태도와 확연히 구분된다. 기독교인은 오직 여호와 안에서만 빛을 찾을 수 있지만, 공자와 유교는 천(天) 밖에서도 진리를 확보할 수 있기에 그렇다.
◎ 참 고 문 헌
『論語』
『中庸』
『성경』
풍우란, 『중국철학사』上.
김명하, 「中國先秦政治思想에서의 天의 성격」, 한국정치학회보 제30집 1호, 한국정치학회, 1996.
권기성, 「신적 사유와 학문적 사유: 기독교와 유교의 비교」, 『한국행정사학지』, 한국행정사학회, 2002, p. 92.
성(誠)은 하늘의 도(道)요, 성(誠)을 지향하는 것은 사람의 도(道) (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中庸』
라는 구절을 봐도 하늘과 사람의 관계는 분명해진다. 천(天)은 그 자체로 완벽하기에 지향의 대상이 되는 것이며, 사람은 저 완벽하게 성실(誠實)한 대상에게 접근해나갈 의무를 지닌 존재인 것이다. 이처럼 공자 이후의 유교에서는 천(天)에 대해 이법성을 부여함으로써 철학적인 탐구대상으로 삼는다. 여호와에 의해 이미 구축된 진리의 체계를 인간이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적 방식이 아니라, 베일에 가려진 하늘의 진리를 인간의 이성능력을 통해 탐구하여 밝혀내는 것이 유교의 특징인 것이다.
유교는 어디까지나 신에 대비하여 인간의 우위적 입장을 견지했다. 이런 점은 공자의 ‘사람이 도를 일으키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人能弘道, 非道弘人)’『論語』, 「위령공(衛靈公)」
라는 인본주의적 천명에서 잘 나타난다. 공자의 저 말은 인간이 주체적으로 진리를 파악하고, 파악된 진리를 기준 삼아 도덕 원칙으로 정하면 될 뿐, 천(天)에 함몰되어 인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만약 공자가 ‘사람이 도를 일으키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만 말했다면 유교는 종교성이 탈색된 학문집단이 됐을 수도 있다. 하지만 공자는 『論語』전반에 걸쳐 천(天) 혹은 천명(天命)에 대하여 자주 이야기함으로써 천(天)에 대한 종교적 태도를 잃지 않는다. 이것은 천(天)이 학문적 탐구 대상일 때는 천(天)의 권위에 매몰되어 인간 이성을 마비시키지 말되, 천(天)이 도덕적 실천의 규준 역할을 할 때에는 종교적 경건성과 존경심을 유지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처럼 공자가 천(天)을 대하는 이중적인 방식은 기독교인이 여호와를 대하는 일원화된 태도와 확연히 구분된다. 기독교인은 오직 여호와 안에서만 빛을 찾을 수 있지만, 공자와 유교는 천(天) 밖에서도 진리를 확보할 수 있기에 그렇다.
◎ 참 고 문 헌
『論語』
『中庸』
『성경』
풍우란, 『중국철학사』上.
김명하, 「中國先秦政治思想에서의 天의 성격」, 한국정치학회보 제30집 1호, 한국정치학회, 1996.
권기성, 「신적 사유와 학문적 사유: 기독교와 유교의 비교」, 『한국행정사학지』, 한국행정사학회, 2002, p. 92.
추천자료
- 종교학-종교기원과 분류-견해,분류
- 사이비종교를 통해 바라본 종교의 사회적 역할
- [종교,개혁]중국 개혁개방과 종교의 부활
- [다원주의][다원주의의 특징][종교다원주의 고찰][다원주의 비판][다원문화][다원성]다원주의...
- 종교 다원주의 입장에서 바라본 한국 신흥종교에 관한 조사
- 유대교, 유대교의 기원, 유대교의 의미, 종교사상 [유대교의 종파]유대교의 기원, 유대교의 ...
- [종교] 한국의 다종교 사회 속의 기독교
- [도덕철학, 흄, 칸트, 도덕성, 도덕종교, 칸트철학, 도덕, 공리주의]도덕철학과 흄, 도덕철학...
- [종교] 종교와 원불교에 관해서
- 뒤르껭의 종교사상 & 베버의 종교사상
- 종교인(宗敎人)의 윤리(종교와 윤리의 관계)
- 종교에 의한 정신병리 및 (사이비 종교의 폐해)
- [세계의종교] 맥레이의 <교회 예술과 건축>, 카레츠키의 <불교 예술과 건축>, 바크만의 <이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