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연구주제 선정 동기와 연구 방향
2. 본론
2.1 아이폰을 바라보는 언론의 입장
(1) 긍정적 입장
-신문 기사(조선일보 2010.1.10~24)
-인터넷 기사(2010.1.10~24)
(2) 부정적 입장
-신문 기사(조선일보 2010.1.10~24)
-인터넷 기사(2010.1.10~24)
2.2 아이폰의 긍정적인 측면만 부각되는 현실,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
2.3 아이폰의 부정적인 측면
(1) 소프트웨어 측면
(2) 하드웨어 측면
(3) 성능 외적 측면
3. 결론 및 연구의 의의
4. 참고 문헌 및 참고사이트
연구주제 선정 동기와 연구 방향
2. 본론
2.1 아이폰을 바라보는 언론의 입장
(1) 긍정적 입장
-신문 기사(조선일보 2010.1.10~24)
-인터넷 기사(2010.1.10~24)
(2) 부정적 입장
-신문 기사(조선일보 2010.1.10~24)
-인터넷 기사(2010.1.10~24)
2.2 아이폰의 긍정적인 측면만 부각되는 현실,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
2.3 아이폰의 부정적인 측면
(1) 소프트웨어 측면
(2) 하드웨어 측면
(3) 성능 외적 측면
3. 결론 및 연구의 의의
4. 참고 문헌 및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제품을 수거한 뒤에 과거 다른 소비자가 사용했던 고장 아이폰을 고친 ‘리퍼비시’제품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wideways, {http://wideways.org/108}2010.5.22
다시 말해 수리가 완료되더라도 자신의 제품을 돌려주는 게 아니라 리퍼제품을 계속 사용하면서 발생한 수리비만 따지게 되므로, 수리를 보내기 전 반드시 데이터 백업을 받아야 한다. 네이버, {http://blog.naver.com/oasisdesign/150078297266}2010.5.21
이렇게 아이폰이 고장 났을 경우 타사용자가 사용하다가 고장 난 휴대폰을 받는다는 정책은 상당히 문제가 있어 보인다. 자신의 취향에 맞게 휴대폰에 스티커라던가 다른 액세서리를 부착했을 경우 그것을 돌려받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를 백업해야하는 번거로움 또한 문제이다. 하지만 애프터서비스 문제는 그뿐만이 아니다. 사용자과실에 의한 고장의 경우 리퍼 제품으로 받는데 26만 4천 원 정도를 부담해야 한다. 네이버, {http://blog.naver.com/oasisdesign/150078297266}2010.5.21
이렇게 애프터서비스 한 번 받는데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요금 문제이다. 아이폰에서 인터넷을 하기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WIFI존, 쉽게 말해서 무선인터넷 지원이 되는 스타벅스 등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만약 WIFI존이 아닌 경우 3G인터넷에 자동으로 접속하게 되는데 이 때 월 데이터 한도를 넘어가면 엄청난 인터넷 요금이 부과되게 된다. 이런 불만에 이동통신사들은 두 가지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첫째가 스마트 요금제인데 이것을 쓰면 모든 곳에서 인터넷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한 달에 최대 9만5천원이라는 상당한 요금을 부담해야한다. 두 번째 방법은 WIFI 불가 지역에서는 인터넷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폰의 모든 설정을 바꾸어 줘야 하는데, 아이폰을 가지고 움직일 때마다 무선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얼른 설정을 (3G 접속망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해야 한다. 네이버, {http://blog.naver.com/koaunghi/150078264762}2010.05.20
결국 스마트폰의 핵심기능인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3G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네이버, {http://blog.naver.com/koaunghi/150078264762}2010.05.20
이야기가 된다.
3. 결론 및 연구의 의의
지난해에 이어 본격적으로 스마트폰이 봇물처럼 쏟아지는 가운데 국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2백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그런데 그 중 백만 명이 아이폰 사용자이다. 그만큼 스마트폰의 대명사라고 불리는 애플의 ‘아이폰’은 사실상 스마트폰 시장을 지배하고 있어 언론의 관심도 더욱 집중되어 있다. 언론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우리 역시 한 명의 잠재적 소비자로써 아이폰 관련 보도를 살펴볼 필요성을 느꼈다.
연구 결과 언론에서는 아이폰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위주로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이폰에 관한 중립적인 측면이 아니라 아이폰은 무조건 좋다는 식의 한 편으로 치우친 의견에 입각하여 언론 보도를 한 것이다. 아이폰에 관한 긍정적인 기사는 주로 현재 아이폰이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고, 많은 사람들이 아이폰을 이용하고 있는 실태를 묘사하면서 암묵적으로 이러한 현재의 조류에 동참하기를 강요하고 있는 기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언론 보도를 조사하고, 언론 보도의 실태를 깨닫게 된 우리는 언론에서 주로 보도하고 있는 아이폰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 또한 자세히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긍정적인 면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면들도 알아야만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아이폰의 부정적인 측면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인 면만을 주로 나타내왔던 언론 보도와는 달리 아이폰에도 다른 기기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전화 기능이 타 휴대폰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과 배터리 문제, 서비스와 요금 문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언론 보도에는 생략되었던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아이폰의 단편적인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그럼으로써 보다 신중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시각을 기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소비의 주체로서 상품에 관해 주체적으로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이 연구로 얻은 전체적인 시각과 올바른 정보를 추구하는 자세를 통하여 우리는 아이폰 뿐 아니라 다른 상품에 관해서도 주체적인 시각과 안목으로 상품을 비판하고 좀더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조선일보』, 2010.1.10~2010.1.23
네이버, (http://www.naver.com)
오마이 뉴스, (http://www.ohmynews.com)
쿠키 뉴스, (http://www.kukinew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
중앙선데이, (http://www.sunday.joins.com)
헤럴드 경제, (http://www.heraldbiz.com)
디지털 데일리, (http://www.ddaily.co.kr)
프런티어 타임스, (http://www.frontiertimes.co.kr)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oki.com)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
매일경제, (http://www.mk.co.kr)
아주경제, (http://www.ajnews.co.kr)
경제투데이, (http://www.eto.co.kr)
프라임 경제, (http://www.newsprime.co.kr)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다시 말해 수리가 완료되더라도 자신의 제품을 돌려주는 게 아니라 리퍼제품을 계속 사용하면서 발생한 수리비만 따지게 되므로, 수리를 보내기 전 반드시 데이터 백업을 받아야 한다. 네이버, {http://blog.naver.com/oasisdesign/150078297266}2010.5.21
이렇게 아이폰이 고장 났을 경우 타사용자가 사용하다가 고장 난 휴대폰을 받는다는 정책은 상당히 문제가 있어 보인다. 자신의 취향에 맞게 휴대폰에 스티커라던가 다른 액세서리를 부착했을 경우 그것을 돌려받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를 백업해야하는 번거로움 또한 문제이다. 하지만 애프터서비스 문제는 그뿐만이 아니다. 사용자과실에 의한 고장의 경우 리퍼 제품으로 받는데 26만 4천 원 정도를 부담해야 한다. 네이버, {http://blog.naver.com/oasisdesign/150078297266}2010.5.21
이렇게 애프터서비스 한 번 받는데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요금 문제이다. 아이폰에서 인터넷을 하기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WIFI존, 쉽게 말해서 무선인터넷 지원이 되는 스타벅스 등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만약 WIFI존이 아닌 경우 3G인터넷에 자동으로 접속하게 되는데 이 때 월 데이터 한도를 넘어가면 엄청난 인터넷 요금이 부과되게 된다. 이런 불만에 이동통신사들은 두 가지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첫째가 스마트 요금제인데 이것을 쓰면 모든 곳에서 인터넷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한 달에 최대 9만5천원이라는 상당한 요금을 부담해야한다. 두 번째 방법은 WIFI 불가 지역에서는 인터넷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폰의 모든 설정을 바꾸어 줘야 하는데, 아이폰을 가지고 움직일 때마다 무선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얼른 설정을 (3G 접속망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변경해야 한다. 네이버, {http://blog.naver.com/koaunghi/150078264762}2010.05.20
결국 스마트폰의 핵심기능인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3G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네이버, {http://blog.naver.com/koaunghi/150078264762}2010.05.20
이야기가 된다.
3. 결론 및 연구의 의의
지난해에 이어 본격적으로 스마트폰이 봇물처럼 쏟아지는 가운데 국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2백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그런데 그 중 백만 명이 아이폰 사용자이다. 그만큼 스마트폰의 대명사라고 불리는 애플의 ‘아이폰’은 사실상 스마트폰 시장을 지배하고 있어 언론의 관심도 더욱 집중되어 있다. 언론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우리 역시 한 명의 잠재적 소비자로써 아이폰 관련 보도를 살펴볼 필요성을 느꼈다.
연구 결과 언론에서는 아이폰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위주로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이폰에 관한 중립적인 측면이 아니라 아이폰은 무조건 좋다는 식의 한 편으로 치우친 의견에 입각하여 언론 보도를 한 것이다. 아이폰에 관한 긍정적인 기사는 주로 현재 아이폰이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고, 많은 사람들이 아이폰을 이용하고 있는 실태를 묘사하면서 암묵적으로 이러한 현재의 조류에 동참하기를 강요하고 있는 기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언론 보도를 조사하고, 언론 보도의 실태를 깨닫게 된 우리는 언론에서 주로 보도하고 있는 아이폰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 또한 자세히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긍정적인 면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면들도 알아야만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아이폰의 부정적인 측면을 조사한 결과 긍정적인 면만을 주로 나타내왔던 언론 보도와는 달리 아이폰에도 다른 기기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전화 기능이 타 휴대폰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과 배터리 문제, 서비스와 요금 문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언론 보도에는 생략되었던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아이폰의 단편적인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그럼으로써 보다 신중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시각을 기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소비의 주체로서 상품에 관해 주체적으로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이 연구로 얻은 전체적인 시각과 올바른 정보를 추구하는 자세를 통하여 우리는 아이폰 뿐 아니라 다른 상품에 관해서도 주체적인 시각과 안목으로 상품을 비판하고 좀더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조선일보』, 2010.1.10~2010.1.23
네이버, (http://www.naver.com)
오마이 뉴스, (http://www.ohmynews.com)
쿠키 뉴스, (http://www.kukinew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
중앙선데이, (http://www.sunday.joins.com)
헤럴드 경제, (http://www.heraldbiz.com)
디지털 데일리, (http://www.ddaily.co.kr)
프런티어 타임스, (http://www.frontiertimes.co.kr)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oki.com)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
매일경제, (http://www.mk.co.kr)
아주경제, (http://www.ajnews.co.kr)
경제투데이, (http://www.eto.co.kr)
프라임 경제, (http://www.newsprime.co.kr)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추천자료
[스마트폰]아이폰4 VS 갤럭시S의 비교분석 - 향후 전망 PPT자료
[스마트폰]아이폰4 VS 갤럭시S의 비교분석 - 향후 전망
스마트폰 시장 분석(아이폰4와 넥서스원을 중심으로), 넥서스원 분석, 아이폰 4 분석, 애플 ...
애플 아이폰 4G 완벽정리 ( 아이폰3G , 삼성 갤럭시S 비교 )
애플 아이폰 4G 완벽정리 ( 아이폰3G , 삼성 갤럭시S 비교 )
[경영과의사결정]'아이폰 4G'와 '갤럭시S'의 비교분석과 향후전망 및 시사점
[스마트폰]아이폰3 VS 아이폰4 비교 분석 보고서
[스마트폰]아이폰3 VS 아이폰4 비교 분석 PPT자료
[애플사의 경영전략] 애플사 선정이유, 소개, 현황, 경영전략, M&A,SWOT분석, 삼성의 갤...
[애플사의 경영전략] 애플사 선정이유, 소개, 현황, 경영전략, M&A,SWOT분석, 삼성의 갤...
아이폰에서의 ST마이크로
아이폰과제 - 내가 만들고 싶은 치안 경보기 어플
애플의 전략노트(판매전략,마케팅전략,아이폰전략,스티븐잡스의 전략)
아이폰과 갤럭시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