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사의 경영전략] 애플사 선정이유, 소개, 현황, 경영전략, M&A,SWOT분석, 삼성의 갤럭시 S와 아이폰4 비교분석 및 향후 전망[2012년 평가우수자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애플사의 경영전략] 애플사 선정이유, 소개, 현황, 경영전략, M&A,SWOT분석, 삼성의 갤럭시 S와 아이폰4 비교분석 및 향후 전망[2012년 평가우수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애플사 선정 이유
2.애플의 기업 소개 및 연혁
3.애플의 현황
4.애플의 경영 전략
- 애플의 M&A, SWOT 분석,
5.애플의 글로벌화 전략
6.애플과 타사비교
- 삼성의 갤럭시 S와 아이폰4
7.애플의 Promblem & Solve
8.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군요. 현재 애플이 가지고 있는 자산이 340억달러정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정도의 돈은 도대체 얼마나 큰 금액인지 저같은 보통사람은 감이 잘 안잡힙니다. 이정도의 금액이면 세계 3위의 PC 메이커인 델(Dell)을 인수할수 있을 정도의 큰 돈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원화로 계산해 보니 약 39조원 정도 되는군요. 우리나라의 내년 예산이 약 291조원이고 서울시 내년 예산이 약 21조원이라고 하니 애플이 가지고 있는 돈이 얼마나 많은지 대략적으로 짐작이 가는군요. 애플은 이 많은 돈을 도대체 어디에 쓰려고 모아놓고 있는걸까요?
4.애플의 경영전략
- 애플의 M&A, SWOT분석
애플의 M&A
애플은 초기에는 M&A를 많이 하지 않았던 기업이었다. 애플의 M&A는 스티븐잡스가 1997년에회사에 복귀한 이후 지금까지 13년간 모두 13개의 기업을 인수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애플의 M&A현황은 97년에 넥스트를 인수하였고, 2001년에는 교육 소프트웨어인 파워스쿨을 인수했고 지난 2002년에는 오디오업체인 이매직, 비디오 효과 업체인 낫싱 리얼, 방화벽 개발업체인 쟈인트를 인수했다. 이러한 애플의 M&A실적은 그다지 썩 좋은 편이 아니었다. 파워스쿨은 매각했고, 비디오 소프트웨어 업체인 낫싱 리얼만이 제 나름대로 성과를 얻고 있다. 하지만 애플이 스마트폰 시장이라는 아이폰을 출시하면서 2009년말 온라인 음악 서비스 업체인 랄라, 2010년 1월에는 모바일 광고 네트워크 기업인 콰트로 와이어리스 등을 합병했다. 이러한 인수와 합병으로 애플은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M&A는 자체적인 사업영역이 아닌 부문에 대해서 한정적으로 M&A를 통해 기술을 확보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애플은 M&A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이유는 아마도 라이벌인 구글 때문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다. 이처럼 M&A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애플도 M&A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을 보면 이러한 M&A가 기술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전략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애플은 현금 보유량이 거의 약 55조원을 보유하여 현재 페이스북, EA, 야후, 디즈니, 넷플릭스, 티보, 소니와 같은 기업들이 기업 인수 대상에 올라와 있는 걸로 알려져있다.
애플의 SWOT분석
I-Pod SWOT
STRENGTH
WEAKNESS
기능과 디자인
뛰어난 경영진
iTunes 소프트웨어
브랜드 파워
현지화 노력 부족
A/S 불충분
iPod 폐쇄정책
고가격정책
OPPORTUNITY
THREAT
해외시장 확보
점유율 1위
음원 판매의 강화
기술격차 감소
경쟁업체 추격
이동전화 단말기의 고기능화
I-Phone SWOT
STRENGTH
WEAKNESS
22만개에달하는어플리케이션
아이폰특유의편리한인터페이스
9.3mm의세계에서가장얇은두께의스마트폰
LED플래시를채용한500만화소카메라
720pHD의뛰어난동영상촬영기능
멀티테스킹,영상통화,무게감소 등 이전 버전에 문제점해소
배터리탈부착미지원
다소불편한아이튠즈소프트웨어사용
dmb미지원
와이파이를이용하여아이폰4G사용자들만가능한반쪽짜리화상통화
복잡하고불편한AS절차
안테나수신율저하문제
OPPORTUNITY
THREAT
아이팟,아이폰3Gs,아이패드,맥북등의성공으로매니아층형성
스마트폰열풍을주도하는선두주자
앱스토어를통한다양한서비스제공과이에따른수익
최근많은기업에서스마트폰을이용한업무활용을적극고려중
이른바안테나게이트로불리고있는수신율저하문제->소비자들에게부정적인영향끼침
세계시장의스마트폰점유율에서는노키아,블랙베리등에뒤지고있는현실
국내시장에서출시연기로인해소비자들의불만증가
I-Pad SWOT
Strength
Weaknesses
애플 기업 이미지
빠른 속도와 편리한 터치감
앱스토어의 수많은 콘텐츠
높은 휴대성
IPS LCD화면으로 콘텐츠 제공
최고의 게이밍 디바이스
USB 포트 미 지원
눈부심 현상
카메라 미 지원
짧은 배터리 시간
멀티태스킹 기능 미 지원
Opportunities
Threats
콘텐츠 시장 확보
유로미디어 시장 확보
글로벌 IT업체들의 시장 진입 촉진
아마존 북스토어에 비해 낮은 수수료
MS, HP등 경쟁상품 출시
유료 콘텐즈 무료 유출
MS 오피스의 높은 점유울
액티브 엑스 미지원
5.애플의 글로벌화 전략
애플은 해외매출 비중이 적고 해외법인의 규모나 활동이 제한적 이다. 그러나 글로벌 표준이라 할 만한 제품과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다. MP3플레이어 하면 누구든지 애플의 아이팟을 떠올리고 애플의 아이튠스는 온라인 뮤직 서비스의 대명사가 되었다. 애플의 글로벌 전략은 얼마나 많은 시장에 진출 하였는지, 법인은 몇 개 인지 이러한 시장 관점의 판단 기준으로만은 설명 되지 않음. 글로벌 시장 진출 보다는 글로벌 스타일의 정립쪽으로 치우친다.
애플은 한 때 해외시장 진출과 제품 현지화를 성장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한적 있지만 그 후 제품라인을 단순화하고 해외 생산시설을 매각하면서 글로벌 통합으로 되돌아갔는데 이러한 글로벌 전략은 CEO의 성향에 따라 달라졌다.
제1기: 국제화기(1979~1988년)
1979년부터 1988년까지, 애플이 해외수출을 시작하여 미국, 유럽아시아를 축으로 한 해외조직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시기를 제 1기 국제화기로 분류할 수 있다. 유럽시장에서 제품출시를 위한 아일랜드 공장의 준공, 파리와 영국법인 설립, 아시아 시장을 위한 싱가포르 준공 등을 비롯한 해외생산 및 판매법인 설립이 계속되었으며 일본어 버전의 메킨토시 출시등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노력에도 힘을 쏟았다. 그리고 1988년 4월에 USA, Europe, Pacific으로 시장을 나누고, 각 지역을 영업 단위로 하는 조직 체계가 완성되었다. 이 당시 애플의 글로벌 전략은 수출과 시장 진입에 집중되어 있었으므로 각 법인을 중심으로 한 유통망 확대가 계속되었다.
제2기: 시장 적응기(1988~1996년)
1980년 스티븐 잡스가 개발한 리사와 맥킨토시 시리즈는 여러 시장에서 실패 판정을 받았다. 특히 그 당시 전 세계 PC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인 일본에서 참담한 실패를 경험했다. 일본시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애플은 제대로 된 유통망을 확보하지 못했고, 제품은 일본 소비자들이 구매하기에 턱없이 비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10.30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