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목차
목차
Ⅰ서론 5
Ⅱ본문 7
1. 노화의 원리와 원인 7
1-1. 세포는 영원히 산다. 7
1-2. 유해산소설, DNA변화설, 교차결합설 8
1-3. 주목받는 노화유전자의 존재 9
1-4. 암억제 유전자와 노화유전자의 관계 10
1-5. 노화유전자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10
2. 노화의 원인과 매카니즘 13
2-1. 노화설 14
3. 노화와 관련된 여러인자 17
3-1. 노화와 Apoptosis 17
3-2. 노화와 Telomere 18
3-3. 노화와 호르몬 19
4. 노화와 활성산소 (FREE RADICAL) 22
4-1. 활성산소란? 22
4-2. 활성산소와 노화 23
4-3. 병원체와 싸우는 활성산소 24
4-4. 만병의 주범 활성산소 24
4-5.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질병들 27
4-6. 활성산소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30
5.노화를 부르는 나쁜습관 31
5-1.피부노화의 나쁜 습관 31
5-2. 피부 노화를 늦추는 비결 32
6. 노화의 예방과 항노화성 소재 34
6-1. 노화 예방 한약재 34
6-2. 야채재료의 종류 35
6-3. 과일재료의 종류 35
6-4. 기름재료의 종류 36
6-5. 노화방지를 위해 꼭 먹어야 할 4가지 음식 36
6-6. 노화방지를 위한 여성의 화장법 39
6-7. 노화를 예방하는 방법 40
6-8. 처방법 40
7. 노화방지제 42
7-1.항산화제의 종류 42
7-2 항산화제의 국,내외기술현황 47
8.피부노화방지제 48
8-1.피부 노화의 원인 48
8-2.피부의 노화란? 49
8-3. 피부의 노화방지 49
8-4.노화방지를 위한 원료 50
9.노화방지(안티에이징) 오해와 진실 54
9-1. 콜라겐 바르면 탱탱해지나?―화장품 54
9-2. 검은 깨 먹는다고 머리 검어지나?―노화방지식품 54
9-3. 운동 선수는 일찍 늙는다던데?―운동요법 54
9-4. 항노화 클리닉’들. 뭐 하는 덴가?―병원 처방 55
10. 노화 연구의 현황 56
10-1. 현재 텔로미어 분야를 제외한 노화 연구의 현황 56
10-2. 유해활성산소가 노화를 유발 56
10-3. 호르몬 요법의 안정성 56
10-4.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 56
10-5. 노화 연구의 바람직스러운 방향 57
10-6. 식물 노화의 분자 유전학적 연구 57
10-7. 국내의 기술 동향 및 수준 58
10-8. 세포 수준의 노화 58
10-9. 장수촌 오키나와의 비결 59
Ⅲ.결론 및 고찰 61
※참고문헌 63
Ⅰ서론 5
Ⅱ본문 7
1. 노화의 원리와 원인 7
1-1. 세포는 영원히 산다. 7
1-2. 유해산소설, DNA변화설, 교차결합설 8
1-3. 주목받는 노화유전자의 존재 9
1-4. 암억제 유전자와 노화유전자의 관계 10
1-5. 노화유전자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10
2. 노화의 원인과 매카니즘 13
2-1. 노화설 14
3. 노화와 관련된 여러인자 17
3-1. 노화와 Apoptosis 17
3-2. 노화와 Telomere 18
3-3. 노화와 호르몬 19
4. 노화와 활성산소 (FREE RADICAL) 22
4-1. 활성산소란? 22
4-2. 활성산소와 노화 23
4-3. 병원체와 싸우는 활성산소 24
4-4. 만병의 주범 활성산소 24
4-5.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질병들 27
4-6. 활성산소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30
5.노화를 부르는 나쁜습관 31
5-1.피부노화의 나쁜 습관 31
5-2. 피부 노화를 늦추는 비결 32
6. 노화의 예방과 항노화성 소재 34
6-1. 노화 예방 한약재 34
6-2. 야채재료의 종류 35
6-3. 과일재료의 종류 35
6-4. 기름재료의 종류 36
6-5. 노화방지를 위해 꼭 먹어야 할 4가지 음식 36
6-6. 노화방지를 위한 여성의 화장법 39
6-7. 노화를 예방하는 방법 40
6-8. 처방법 40
7. 노화방지제 42
7-1.항산화제의 종류 42
7-2 항산화제의 국,내외기술현황 47
8.피부노화방지제 48
8-1.피부 노화의 원인 48
8-2.피부의 노화란? 49
8-3. 피부의 노화방지 49
8-4.노화방지를 위한 원료 50
9.노화방지(안티에이징) 오해와 진실 54
9-1. 콜라겐 바르면 탱탱해지나?―화장품 54
9-2. 검은 깨 먹는다고 머리 검어지나?―노화방지식품 54
9-3. 운동 선수는 일찍 늙는다던데?―운동요법 54
9-4. 항노화 클리닉’들. 뭐 하는 덴가?―병원 처방 55
10. 노화 연구의 현황 56
10-1. 현재 텔로미어 분야를 제외한 노화 연구의 현황 56
10-2. 유해활성산소가 노화를 유발 56
10-3. 호르몬 요법의 안정성 56
10-4.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 56
10-5. 노화 연구의 바람직스러운 방향 57
10-6. 식물 노화의 분자 유전학적 연구 57
10-7. 국내의 기술 동향 및 수준 58
10-8. 세포 수준의 노화 58
10-9. 장수촌 오키나와의 비결 59
Ⅲ.결론 및 고찰 61
※참고문헌 63
본문내용
토닌 같은 호르몬, 녹차에 많이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적포도주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 벌집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인 프로폴리스 등이 대표적인 항산화제 들이다.
이들 항산화제들은 활성산소의 독작용을 제거하여 생체를 보호하고 있으며 항산화 물질이 활성산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축적되는 활성산소에 의해 여러 가지 질병이나 노화가 초래된다고 알려져 있다.
4-5.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질병들
① 암의 유발
1980년대 이후부터는 암이 활성산소에 의해서도 발병된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실험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의 인체 세포에서는 매 시간 10억개 이상의 세포 자살 이 이루어지는데, 만일 이것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즉, 세포 자살이 너무 자주 일어나면, 노인성 치매, 뇌졸중, 심장병 등이 나타나고, 반대로 세포 자살이 지연되면, 바로 암 세포로 변한다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이런 세포 자살의 비정상적인 변화는 바로 활성산소가 원인 이라고 코로라도 의대 리처드듀크 교수는 주장합니다.
그밖에 발암 조건으로는 방사선, 농약, 살충제, 의약품 사용, 환경 오염<오존층 파괴, 방사능 오염, 배기 가스> 뿐만 아니라 진한 커피나 찬 청량음료 등의 지속적인 섭취도 해당됩니다. 앞서 언급한 방사선 요법이나 화학요법에 의한 암 치료 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켜 또다른 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② 뇌졸증, 심근경색, 동맥경화
혈액 속의 활성산소가 증가하면, 과산화지질이 과다 생성되고, 이것들은 혈관의 벽에 달라붙고, 혈관 자체를 약화 시킵니다. 혈액의 흐름과 함께 동맥이 뛸 때에, 약화된 혈관 벽 자체가 파괴됩니다.
혈관의 파괴로 그 말단 세포에 영양 공급이 안되고 48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결국 세포들은 죽게 될 것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일어나는 질환이 바로 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입니다.
③ 당뇨병
당뇨의 원인은 여러 가지 있으나, 대부분 당을 흡수하는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에서 문제 가 발생하여, 인슐린 분비를 하지 않거나 혹은 세포 내로 당을 흡수하는 인슐린 리셉터 기능이 약화되어, 혈액 중의 당이 상승하는 질병입니다.
연구에 의하면,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의 증가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손상시켜 당뇨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④ 간염
인체의 간장은 가장 튼튼한 기관입니다. 간장의 역할은 인체의 종말 처리장입니다. 간장에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고분자 항산화물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가 대량으로 존재 하는 장기로서, 인체의 각 부분에서 운반되어 온 과산화지질을 서서히 분해 시킵니다.
간장에는 활성산소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도 함께 공존하는 곳인데, 인체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혹은 지나친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이 유입되면, 종말처리장이 고장 이 나게 됩니다.
이때 바이러스 간염에서, 만성간염, 간경변 등으로 간장이 악화되면서, 간장의 혈류 장애가 발생하고,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은 간염, 만성 간염과 간경변 같은 질환을 더 악화 시키게 됩니다.
⑤ 신장염
인체에서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곳은 앞에서 말한 간장과 신장입니다. 따라서 체내의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의 증가는 바로 신장염을 악화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됩니다.
⑥ 일반 염증
정상적인 대사작용 중에서, 식세포가 활성산소를 만드는 이유는 앞에서 말씀드렸습니다. 바이러스와 곰팡이 균을 죽일 때에, 주변의 활성산소와 라이소좀 효소(활성 산소 용해를 위해 식세포가 활동할 때 생겨남) 등이 주변 조직 세포를 공격하여 부어 오르거나 통증을 느끼거나 열이 나거나 피부가 붉어집니다.
림프구가 이물질에 대해서 공격할 때에 활성 효소나 라이소좀 효소와 비슷한 염증 인자를 배출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발열, 통증, 발적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태를 염증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인체가 몸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발열, 통증, 부기 등에 2차적으로 방출된 활성산소가 염증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입니다.
⑦ 교원병
교원병이란 자신의 조직세포 또는 장기를 이물질로 착각하고 림프구가 자기 자신의 세포를 공격하는 병입니다. 이로 인한 염증에서 과잉 활성산소가 배출됩니다. 또한 체내의 과잉 활성산소는 림프구를 공격, 변형시켜 교원병을 발생시킨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⑧ 관절, 류머티즘, 전신성 홍반선 낭창, 진행성 전신 경화증, 피부 근염
류머티즘 환자의 관절강 내에서 식세포가 대량으로 활성산소를 만들어내 관절염이 발병하고 악화됩니다. 진행성 홍반선 낭창(SEL)은 환자의 혈액 속에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는 인자가 들어있어 발생합니다. 진행성 전신 경화증(PSS)라든지 피부근염에도 활성산소가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⑨ 폐경화증
폐의 세포가 파괴되어 폐가 굳어지면서, 호흡을 할 수 없게 되어 사망하는 병입니다. 폐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는 교원섬유를 증가시켜 폐경화를 더욱 악화시키고, 피부에 궤양을 일으키고, 이번에는 활성산소가 교원섬유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피부 궤양을 더욱 악화시키게 됩니다.
⑩ 피부궤양, 위궤양, 장궤양
궤양이 활성산소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칼 따위로 베인 상처가 깊어지거나, 화상을 입거나, 피부에 영양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영양 공급이 안되면, 피부 궤양이 생깁니다.
피부 표면의 상처는 세포막이 공기 중에 노출되고, 세포막에 많은 불포화지방산이 활성산소인 free radical로 변하면(또는 자외선을 받아서 활성산소가 생기면) 과산화지질이 생성되어 상처 자리가 오래갑니다. 인체의 활성산소 제거능력(SOD 유도능력)이 상승하면, 상처 자리에 흉터가 생기지 않습니다.
⑪ 아토피성 피부염
이전에는 어린이에게만 발병했으나, 지금은 모든 연령 층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로 환경 오염으로 과잉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 피부의 불포화지방산에 활성산소가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이 생성되면, 각질층의 보습기능이 파괴되어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피부염을 악화시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공업도시, 대도시에 많으며, 공기가
이들 항산화제들은 활성산소의 독작용을 제거하여 생체를 보호하고 있으며 항산화 물질이 활성산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축적되는 활성산소에 의해 여러 가지 질병이나 노화가 초래된다고 알려져 있다.
4-5.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질병들
① 암의 유발
1980년대 이후부터는 암이 활성산소에 의해서도 발병된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실험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의 인체 세포에서는 매 시간 10억개 이상의 세포 자살 이 이루어지는데, 만일 이것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즉, 세포 자살이 너무 자주 일어나면, 노인성 치매, 뇌졸중, 심장병 등이 나타나고, 반대로 세포 자살이 지연되면, 바로 암 세포로 변한다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이런 세포 자살의 비정상적인 변화는 바로 활성산소가 원인 이라고 코로라도 의대 리처드듀크 교수는 주장합니다.
그밖에 발암 조건으로는 방사선, 농약, 살충제, 의약품 사용, 환경 오염<오존층 파괴, 방사능 오염, 배기 가스> 뿐만 아니라 진한 커피나 찬 청량음료 등의 지속적인 섭취도 해당됩니다. 앞서 언급한 방사선 요법이나 화학요법에 의한 암 치료 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켜 또다른 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② 뇌졸증, 심근경색, 동맥경화
혈액 속의 활성산소가 증가하면, 과산화지질이 과다 생성되고, 이것들은 혈관의 벽에 달라붙고, 혈관 자체를 약화 시킵니다. 혈액의 흐름과 함께 동맥이 뛸 때에, 약화된 혈관 벽 자체가 파괴됩니다.
혈관의 파괴로 그 말단 세포에 영양 공급이 안되고 48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결국 세포들은 죽게 될 것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일어나는 질환이 바로 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입니다.
③ 당뇨병
당뇨의 원인은 여러 가지 있으나, 대부분 당을 흡수하는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세포에서 문제 가 발생하여, 인슐린 분비를 하지 않거나 혹은 세포 내로 당을 흡수하는 인슐린 리셉터 기능이 약화되어, 혈액 중의 당이 상승하는 질병입니다.
연구에 의하면,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의 증가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손상시켜 당뇨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④ 간염
인체의 간장은 가장 튼튼한 기관입니다. 간장의 역할은 인체의 종말 처리장입니다. 간장에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고분자 항산화물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가 대량으로 존재 하는 장기로서, 인체의 각 부분에서 운반되어 온 과산화지질을 서서히 분해 시킵니다.
간장에는 활성산소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도 함께 공존하는 곳인데, 인체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혹은 지나친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이 유입되면, 종말처리장이 고장 이 나게 됩니다.
이때 바이러스 간염에서, 만성간염, 간경변 등으로 간장이 악화되면서, 간장의 혈류 장애가 발생하고,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은 간염, 만성 간염과 간경변 같은 질환을 더 악화 시키게 됩니다.
⑤ 신장염
인체에서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곳은 앞에서 말한 간장과 신장입니다. 따라서 체내의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의 증가는 바로 신장염을 악화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됩니다.
⑥ 일반 염증
정상적인 대사작용 중에서, 식세포가 활성산소를 만드는 이유는 앞에서 말씀드렸습니다. 바이러스와 곰팡이 균을 죽일 때에, 주변의 활성산소와 라이소좀 효소(활성 산소 용해를 위해 식세포가 활동할 때 생겨남) 등이 주변 조직 세포를 공격하여 부어 오르거나 통증을 느끼거나 열이 나거나 피부가 붉어집니다.
림프구가 이물질에 대해서 공격할 때에 활성 효소나 라이소좀 효소와 비슷한 염증 인자를 배출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발열, 통증, 발적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태를 염증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인체가 몸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발열, 통증, 부기 등에 2차적으로 방출된 활성산소가 염증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입니다.
⑦ 교원병
교원병이란 자신의 조직세포 또는 장기를 이물질로 착각하고 림프구가 자기 자신의 세포를 공격하는 병입니다. 이로 인한 염증에서 과잉 활성산소가 배출됩니다. 또한 체내의 과잉 활성산소는 림프구를 공격, 변형시켜 교원병을 발생시킨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⑧ 관절, 류머티즘, 전신성 홍반선 낭창, 진행성 전신 경화증, 피부 근염
류머티즘 환자의 관절강 내에서 식세포가 대량으로 활성산소를 만들어내 관절염이 발병하고 악화됩니다. 진행성 홍반선 낭창(SEL)은 환자의 혈액 속에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는 인자가 들어있어 발생합니다. 진행성 전신 경화증(PSS)라든지 피부근염에도 활성산소가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⑨ 폐경화증
폐의 세포가 파괴되어 폐가 굳어지면서, 호흡을 할 수 없게 되어 사망하는 병입니다. 폐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는 교원섬유를 증가시켜 폐경화를 더욱 악화시키고, 피부에 궤양을 일으키고, 이번에는 활성산소가 교원섬유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피부 궤양을 더욱 악화시키게 됩니다.
⑩ 피부궤양, 위궤양, 장궤양
궤양이 활성산소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칼 따위로 베인 상처가 깊어지거나, 화상을 입거나, 피부에 영양 공급하는 혈관이 막혀 영양 공급이 안되면, 피부 궤양이 생깁니다.
피부 표면의 상처는 세포막이 공기 중에 노출되고, 세포막에 많은 불포화지방산이 활성산소인 free radical로 변하면(또는 자외선을 받아서 활성산소가 생기면) 과산화지질이 생성되어 상처 자리가 오래갑니다. 인체의 활성산소 제거능력(SOD 유도능력)이 상승하면, 상처 자리에 흉터가 생기지 않습니다.
⑪ 아토피성 피부염
이전에는 어린이에게만 발병했으나, 지금은 모든 연령 층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로 환경 오염으로 과잉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 피부의 불포화지방산에 활성산소가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이 생성되면, 각질층의 보습기능이 파괴되어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피부염을 악화시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공업도시, 대도시에 많으며, 공기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