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제1장 사가와 사실.............................................................................p1
제2장 사회와 개인.............................................................................p1
제3장 역사,과학 그리고 도덕........................................................p2
제4장 역사에 있어서의 인과관계................................................p2
제5장 진보로서의 역사....................................................................p2
제6장 넓어지는 지평선....................................................................p3
<소 감>................................................................................................p3
참고문헌..................................................................................................p4
제1장 사가와 사실.............................................................................p1
제2장 사회와 개인.............................................................................p1
제3장 역사,과학 그리고 도덕........................................................p2
제4장 역사에 있어서의 인과관계................................................p2
제5장 진보로서의 역사....................................................................p2
제6장 넓어지는 지평선....................................................................p3
<소 감>................................................................................................p3
참고문헌..................................................................................................p4
본문내용
을 살면서 아니 역사를 공부하면서 역사는 무엇이며 역사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것인가에 대해 한번도 진지하게 고민해본적이 없었는것같다. 뿐만아니라 어떤 것이 역사가되고 어떤 것을 역사로 써야 할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해본적이 없는것같다. 단순히 교재에 나오는 내용만이 역사라고만 인식했지 랑케나 카 와같은 역사학자들처럼 진지하게 고민해본적이 없는것같다. 이런 고민을 하게된 이유는 역사는 무엇인가 라는 카의 저서를 보고 생긴것같다. 한낱 교과서에 실린 역사적 사실만을 달달 외우고 그것을 가지고 역사를 다아는것처럼 마냥 자랑하고 자신있어했던 나자신이 부끄러워진다. 사실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카의 저서는 나의 지적 수준에서 완벽하게 이해하기란 좀 어려웠다. 철학적이고 때로는 논리적인 카의 주장과 이론들을 보면서 때로는 동감을 때로는 이해를 하지 못해 헤매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실증주의적이고 과거의 사실만을 역사로 인식했던 랑케와 달리 카는 그런 사실들에게 역사가가 생명을 불어 넣어줌으로서 역사책에서 살아 숨쉰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역사를 배우는 사람으로서 아니 역사를 사랑하는 한 학생으로서 이문제는 앞으로 좀더 고민해보고 연구해보아야 할것같다. 또한 틈이 나면 이책을 다독해서 조금이나마 더 카의 이론에 접근해보고자 한다. 또 미진한 부분은 앞으로 수업시간에 교수님과 학우들과 함께 메꿔가길 바라며 비록 미약하나마 카의 저서인 역사란 무엇인가 라는 책의 감상을 여기서 마치고자 한다.
참고문헌
서명-역사란 무엇인가
저자-Carr, Edward Hallett, 1892-1982
역 진원숙
출판사-계명대학교출판부 1998
역사를 배우는 사람으로서 아니 역사를 사랑하는 한 학생으로서 이문제는 앞으로 좀더 고민해보고 연구해보아야 할것같다. 또한 틈이 나면 이책을 다독해서 조금이나마 더 카의 이론에 접근해보고자 한다. 또 미진한 부분은 앞으로 수업시간에 교수님과 학우들과 함께 메꿔가길 바라며 비록 미약하나마 카의 저서인 역사란 무엇인가 라는 책의 감상을 여기서 마치고자 한다.
참고문헌
서명-역사란 무엇인가
저자-Carr, Edward Hallett, 1892-1982
역 진원숙
출판사-계명대학교출판부 1998
추천자료
역사학 이란 무엇인가
E. H. carr의 강의인 책 '역사란 무엇인가'의 정리
E H carr 의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를 알면 무엇이 좋은가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_ E.H 카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_ E.H. 카 저
E.H 카(Edward H.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독서와 표현] 역사란 무엇인가 _ 에드워드 카 (E. H. Carr) 저
중국 ‘조선족’의 역사는 무엇인가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_ E. H Carr(에드워드 카) 저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독후감] E.H.카(에드워드 카 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