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원문과 어구해석
3. 작품을 보는 관점
1) 남녀상열지사
2) 여성의 한
3) 고려사회의 부패상과 풍자
4. 작품의 쟁점 탐구 (「삼장」과의 관계 )
1)「삼장」의 창작시기
2) 작자 문제
3)「쌍화점」2연과「삼장」
4)「쌍화점」형성과정
5)「쌍화점」의 공연여부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원문과 어구해석
3. 작품을 보는 관점
1) 남녀상열지사
2) 여성의 한
3) 고려사회의 부패상과 풍자
4. 작품의 쟁점 탐구 (「삼장」과의 관계 )
1)「삼장」의 창작시기
2) 작자 문제
3)「쌍화점」2연과「삼장」
4)「쌍화점」형성과정
5)「쌍화점」의 공연여부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고시가론
쌍화점(雙花店)
< 개 요 >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원문과 어구해석
3. 작품을 보는 관점
1) 남녀상열지사
2) 여성의 한
3) 고려사회의 부패상과 풍자
4. 작품의 쟁점 탐구 (「삼장」과의 관계 )
1)「삼장」의 창작시기
2) 작자 문제
3)「쌍화점」2연과「삼장」
4)「쌍화점」형성과정
5)「쌍화점」의 공연여부
Ⅲ. 결 론
Ⅰ. 서 론
고려속악의 가사인「쌍화점(雙花店)」에 대한 문학적인 연구는 여러 방향에서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다.「쌍화점」은 「만전춘별사」와 더불어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적인 작품이고, 노골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조선조 사대부 계층에 의해 남녀상열지사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악장가사」 고려 이후 조선 전기에 걸친 악장(樂章)과 속요(俗謠)를 모은 시가집. <국조사장(國朝詞章)>이라고도 한다. 편찬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중종 ~ 명종 연간에 밀양 사람 박준(朴浚)이 엮었다는 일설이 있다. 현재 전하는 순수한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특히 오랫동안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 기록된 고려가요들이 실려 있어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와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와 「악학편고」에 그 가사가 전하고, 「시용향악보」 조선시대 명종(明宗)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악보집(樂譜集). 사학자 황의돈(黃義敦)의 손을 거쳐 이겸로(李謙魯) 소장으로 되었고, 1954년 5월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에서 영인본(影印本)으로 간행되었다. 악보를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 등으로 표시하여 26수의 가사를 수록한 것으로 그 중 16수는 <악학궤범> 및 <악장가사>에도 누락되어 종전에는 제목조차 알려지지 않았던 고가요(古歌謠)들이다. 또 나머지 10수도 그 가사가 후세의 가집(歌集)에서 발견되기는 하였으나 원형이 보전되어 고악(古樂)과 어문(語文) 및 민속악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한 귀중한 것들이다.
와 「대악후보」 조선 후기의 악보집. 1759년(영조35) 학자인 서명응(徐命膺)이 <대악전보(大樂前譜)>와 아울러 집대성한 것이다. 권1·2에 세조악보를 싣고, 특히 권3 이하에 시용향악(時用鄕樂)으로서 고려시대의 <동동(動動)> · <만전춘(滿殿春)> · <쌍화점(雙花店)> · <서경별곡(西京別曲)> · <이상곡(履霜曲)> · <한림별곡(翰林別曲)> 등을 수록하여 고려가요 연구에 있어 중요한 문헌이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에 그 곡이 실려 있는데,「시용향악보」에는 한문가사,「대악후보」에는 국문가사로 각각 기록되어 있다.
「쌍화점」은 지나간 세월만큼 그 동안의 연구 또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다. 내용에 있어서 ‘당대사회를 풍자한 것인가, 남녀상열 내지 적극적인 애정을 추구한 것인가’ 하는 것부터 해서 창작시기와 작자문제 등
여러 가지 논란이 되는 사항들이 많아 학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연구되어 지고, 각각의 이견이 분분하여 쉽사리 결론을 내리기 작품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원문에 대한 해석과 작품을 보는 관점의 문제, 작품의 쟁점이 되고 있는 사항들을 여러 가지 다양한 시각과 조사를 통해「쌍화점」대한 탐구와 이해를 돕고자 한다.
Ⅱ. 본 론
1. 문헌고찰
「쌍화점」은 「악장가사」와 「악학편고」에 그 가사가 전하고, 「시용향악보」와 「대악후보」에 그 곡이 실려 있는데, 「시용향악보」에는 한문가사(漢文歌詞), 「대악후보」에는 국문가사가 붙어 있다. 고려 후기 문신인 급암 민사평이 지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소악부」에도 「쌍화점」의 제 2연과 비슷한 내용이 한시로 전하고 있으며 「고려사」 악지에는「삼장」이라는 제목 아래 「쌍화점」과 유사한 내용의 가사가 한시로 기록되어 전하고 「고려사절요」에도 「고려사」악지의 기록과 거의 유사한 내용이 실려 있다.「쌍화점」을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조선조 성종 때에 문신들이 개작한 것이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쌍화곡」으로 이 「쌍화곡」에서는 ‘쌍화’를 ‘쌍으로 핀 꽃’으로 해석하여 임금의 복덕을 칭송하였다.
「쌍화점」에 대한 기록으로는 「성종실록」 권240 성종 21년 5월의 “이에 와서 서하군, 임원준, 유자광, 판윤, 어세겸, 대사성 성현에게 명하여 쌍화곡, 이상곡, 북전의 노래 가운데 음설한 말을 산개토록 하였더니, 이에 이르러 원준 등이 지어 바쳐 장악원에 이르러 영을 내려 사습케 하였다.”는 것과,「퇴계집」권 43 ‘서어부가후’의 “이즈음 밀양박준이란 자가 여러 음악을 아는 것으로 이름이 났었는데, 무릇 동방의 음악으로 아속을 리지 않고 다 모아 일부서를 만들어 세상에 간행해 내었는데 어부가와 쌍화점 등이 그 가운데 섞이어 있더라”는 것들이 있다. 아래 표는 쌍화점이 실린 작품의 전문이다.
『악학편고, 雙花店 四曲』
『대악후보』
샹화점(雙花店)에 샹화(雙花) 사라 가고신
회회(回回) 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店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 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워 워(偉偉) 다로러 거지러 다로러
긔 잔 티 더마거초니 업다
삼쟝사(三藏寺)애 브를 혀라 가고신
그 뎔 쥬(社主)ㅣ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뎔밧긔 니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삿기 샹좌(上座)ㅣ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워 워(偉偉) 다로러거지러 다로러
긔 잔 티
쌍화점(雙花店)
< 개 요 >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원문과 어구해석
3. 작품을 보는 관점
1) 남녀상열지사
2) 여성의 한
3) 고려사회의 부패상과 풍자
4. 작품의 쟁점 탐구 (「삼장」과의 관계 )
1)「삼장」의 창작시기
2) 작자 문제
3)「쌍화점」2연과「삼장」
4)「쌍화점」형성과정
5)「쌍화점」의 공연여부
Ⅲ. 결 론
Ⅰ. 서 론
고려속악의 가사인「쌍화점(雙花店)」에 대한 문학적인 연구는 여러 방향에서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다.「쌍화점」은 「만전춘별사」와 더불어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적인 작품이고, 노골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조선조 사대부 계층에 의해 남녀상열지사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악장가사」 고려 이후 조선 전기에 걸친 악장(樂章)과 속요(俗謠)를 모은 시가집. <국조사장(國朝詞章)>이라고도 한다. 편찬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중종 ~ 명종 연간에 밀양 사람 박준(朴浚)이 엮었다는 일설이 있다. 현재 전하는 순수한 가집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특히 오랫동안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 기록된 고려가요들이 실려 있어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와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와 「악학편고」에 그 가사가 전하고, 「시용향악보」 조선시대 명종(明宗) 이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악보집(樂譜集). 사학자 황의돈(黃義敦)의 손을 거쳐 이겸로(李謙魯) 소장으로 되었고, 1954년 5월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에서 영인본(影印本)으로 간행되었다. 악보를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 등으로 표시하여 26수의 가사를 수록한 것으로 그 중 16수는 <악학궤범> 및 <악장가사>에도 누락되어 종전에는 제목조차 알려지지 않았던 고가요(古歌謠)들이다. 또 나머지 10수도 그 가사가 후세의 가집(歌集)에서 발견되기는 하였으나 원형이 보전되어 고악(古樂)과 어문(語文) 및 민속악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한 귀중한 것들이다.
와 「대악후보」 조선 후기의 악보집. 1759년(영조35) 학자인 서명응(徐命膺)이 <대악전보(大樂前譜)>와 아울러 집대성한 것이다. 권1·2에 세조악보를 싣고, 특히 권3 이하에 시용향악(時用鄕樂)으로서 고려시대의 <동동(動動)> · <만전춘(滿殿春)> · <쌍화점(雙花店)> · <서경별곡(西京別曲)> · <이상곡(履霜曲)> · <한림별곡(翰林別曲)> 등을 수록하여 고려가요 연구에 있어 중요한 문헌이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에 그 곡이 실려 있는데,「시용향악보」에는 한문가사,「대악후보」에는 국문가사로 각각 기록되어 있다.
「쌍화점」은 지나간 세월만큼 그 동안의 연구 또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다. 내용에 있어서 ‘당대사회를 풍자한 것인가, 남녀상열 내지 적극적인 애정을 추구한 것인가’ 하는 것부터 해서 창작시기와 작자문제 등
여러 가지 논란이 되는 사항들이 많아 학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연구되어 지고, 각각의 이견이 분분하여 쉽사리 결론을 내리기 작품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원문에 대한 해석과 작품을 보는 관점의 문제, 작품의 쟁점이 되고 있는 사항들을 여러 가지 다양한 시각과 조사를 통해「쌍화점」대한 탐구와 이해를 돕고자 한다.
Ⅱ. 본 론
1. 문헌고찰
「쌍화점」은 「악장가사」와 「악학편고」에 그 가사가 전하고, 「시용향악보」와 「대악후보」에 그 곡이 실려 있는데, 「시용향악보」에는 한문가사(漢文歌詞), 「대악후보」에는 국문가사가 붙어 있다. 고려 후기 문신인 급암 민사평이 지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소악부」에도 「쌍화점」의 제 2연과 비슷한 내용이 한시로 전하고 있으며 「고려사」 악지에는「삼장」이라는 제목 아래 「쌍화점」과 유사한 내용의 가사가 한시로 기록되어 전하고 「고려사절요」에도 「고려사」악지의 기록과 거의 유사한 내용이 실려 있다.「쌍화점」을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조선조 성종 때에 문신들이 개작한 것이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쌍화곡」으로 이 「쌍화곡」에서는 ‘쌍화’를 ‘쌍으로 핀 꽃’으로 해석하여 임금의 복덕을 칭송하였다.
「쌍화점」에 대한 기록으로는 「성종실록」 권240 성종 21년 5월의 “이에 와서 서하군, 임원준, 유자광, 판윤, 어세겸, 대사성 성현에게 명하여 쌍화곡, 이상곡, 북전의 노래 가운데 음설한 말을 산개토록 하였더니, 이에 이르러 원준 등이 지어 바쳐 장악원에 이르러 영을 내려 사습케 하였다.”는 것과,「퇴계집」권 43 ‘서어부가후’의 “이즈음 밀양박준이란 자가 여러 음악을 아는 것으로 이름이 났었는데, 무릇 동방의 음악으로 아속을 리지 않고 다 모아 일부서를 만들어 세상에 간행해 내었는데 어부가와 쌍화점 등이 그 가운데 섞이어 있더라”는 것들이 있다. 아래 표는 쌍화점이 실린 작품의 전문이다.
『악학편고, 雙花店 四曲』
『대악후보』
샹화점(雙花店)에 샹화(雙花) 사라 가고신
회회(回回) 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店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 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워 워(偉偉) 다로러 거지러 다로러
긔 잔 티 더마거초니 업다
삼쟝사(三藏寺)애 브를 혀라 가고신
그 뎔 쥬(社主)ㅣ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뎔밧긔 니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간 삿기 샹좌(上座)ㅣ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워 워(偉偉) 다로러거지러 다로러
긔 잔 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