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실험 예비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실험 예비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목 적

2. 준비물

3. 실험방법

4. 실험시 주의사항

본문내용

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 현미경은 2000~수십만 배의 확대율로 조직을 관찰할 수 있다. 얇은 박막을 통한 미세한 내부조직 검사는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표면이나 파단 면의 미소조직관찰을 주사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검사하고 있다.
그림 1-3은 광학 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원리를 비교, 설명한 것이다.
그림 1-3 광학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의 원리
c) 배율의 결정
현미경 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고유배율의 적으로 나타낸다. 고유배율은 배율 결 정은 표 1-1를 참고하여 선택한다.
상용배율
대물렌즈
검 경 목 적
보 기
100-200
× 10-30
일반점검
흑연, 비금속 개재물의 분포, 펄라이트 와 페라이트의 혼합상태, 바탕 조직
300-500
× 30-50
미세조직의 검경
열처리 조직, 탄화물의 분포, 주철의 펄라이트의 상황
500 이상
× 60-100
극히 미세한 조직의 검경
입자 내에 석출한 미세 탄화물 등
표 1-1 결정기준
이 때 대물렌즈와 접안 렌즈의 배율 선정에 따라 해상력이 다르다.
예를 들면 다음의 배율 조합은 ×800으로 동일하다.
a) 대물렌즈 ×40과 접안렌즈 ×20
또는 b) 대물렌즈 ×100와 접안렌즈 ×8
그러나 해상력은 b)의 경우가 우수하게 나타난다. 즉 접안 렌즈는 해상력과 무관하며, 단지 대물렌즈가 해상한 상을 확대하는 기능만 하게 되므로 해상력을 크게 하려면 대물렌 즈의 배율에 중점을 두고 결정한다.
대물렌즈의 저배율에서 고배율의 순서로 배치하고, 검경시 검경면을 입사 광선에 대하 여 수직으로 놓고, 조동 핸들로 대체적인 초점을 맞춘 다음, 다시 미동장치에 의하여 정 밀하게 맞추어서 대안렌즈로 관찰한다.
3. 실험방법
현미경 조직시험의 순서
1) 시편준비
시편은 검사 목적에 따라 재료의 알맞는 부분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결함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결함 부위에서 채취를 하여야 하고 압연이나 단조 가공을 한 재 료는 횡단면과 종단면을 각각 채취하여 조사한다.
또한 탄소강의 경우, 열간가공을 한 재료의 표면은 산화, 탈탄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표 면 부근은 표준조직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채취부분을 잘 결정하여야 한다. 시편의 채취 장 소가 결정되면 시편 절단기나 알맞는 공구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한다. 이 때 단단하고 취약한 재료는 파쇄하여 사용한다. 재료 절단시 주의할 점은, 기계톱이나 시편 절단 그라 인더 등으로 절단할 경우 국부적인 가열 또는 변형으로 조직이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비눗 물로서 윤활, 냉각을 시키면서 절단하여야 한다.
보통 시편의 크기는 가로세로 각 1~2cm, 또는 원형 재료인 경우 직경 1~2cm가 일반 적이나 박판, 가는 철사, 기타 작은 시편은 시편 매립제(bakelite, plastic 등)에 매몰시켜 고정 또는 기구를 사용하여 지지시킨다.
2) 절단(sectioning)
절단할 때 피절단물의 재질, 절단장치, 절단속도, 냉각제의 종류 등에 따라 시편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절단은 파괴, shearing, 기계톱(hacksaws, band saw, wire saw), 지석 (abrasive cutter), 방전절단기 등으로 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abrasive cutting방법이 시 편에 손상을 적게 주고 사용범위(재질,경도)가 넓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인다. 이때 쓰이는 절단용 재료는 작은 조각의 연마재를 적당한 중간 결합재로 결합시킨 비교적 얇은 회전판 (abrasive cutting wheel)이다. 실제 절단을 위해 wheel을 선택할 때는 연마질, 결합재, 결 합강도, 연마재 밀도 등이며 냉각제, 누르는 압력, wheel의 마모속도 등이 절단면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3) 마운팅(mounting)
크기가 작거나 형상이 복잡하거나 끝 부분이 날카로운 재료는 마운팅을 하여 시편준비작 업, 혹은 현미경 관찰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날카로운 시편은 mounting을 하지 않으 면 작업자는 물론 연마지, polishing cloth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작은 시편은 끝 부 분이 곡면화 되어 현미경 관찰시 이 부분에 촛점이 안맞게 된다.
4) 연마 (Grinding)
(1) 예비연마
절단된 시료는 grinder 또는 줄(file)로서 관찰면을 평평하게 한다. 열이나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냉각수로써 냉각시켜 가면서 행하여야 한다. 이때 절단시에 변질 을 받았다고 믿어지는 부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연한 금속(알루미늄 등)은 grinder의 지석 틈에 끼이므로 grinder를 쓰지 못한다. 줄을 아래에 두고 위에서 연마하는 것이 좋다. 시 료의 주변 모서리를 갈아내면 연마지나 연마포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주변 근방 을 관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모서리를 갈아내지 않는다. 갈아내지 않더라도 연마하면 주변부분이 둥그스럽게 되어 조직관찰을 할 수가 없다.
(2) 조연마(emery paper 연마)
관찰면을 평면이 되게 연마하기 위해서, 약 5㎜ 두께의 평면유리판 위에 emery paper를 올려놓고, 시료를 가볍게 누르면서 전후로 움직여 연마한다. 연마지의 조도는 뒷면에 표 시된 숫자(클수록 부드럽다)로 식별된다. 처음에는 제일 거치른 연마지로써 grinder의 연 마 자국과 직각으로 연마하여 grinder의 자국이 완전히 보이지 않을 때까지 행한다. 다음 에는 연마지를 보다 부드러운 것으로 바꾸고 앞서와 직각방향으로 연마하여 전의 연마자 국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연마하여 순차적으로 점점 부드러운 연마지로 바꾸어 간다. 주의할 사항을 열거해 보면,
(a) 관찰할 면이 평활하게 연마되는가는, 대체로 처음의 연마에서 결정되는 수가 많다. 조연마에서는 시료가 빨리 닳기 때문에 조심하여 시료를 취급하여야 한다.
(b) 바로 앞의 연마지에 의한 자국이 균일하게 없어지지 않을 때에는 연마면이 평탄치 못하기 때문이다. 무리하게 국부적인 연마를 행하면 관찰할 면이 둥그스럼하게 되어 조직 관찰시에 곤란하게 된다.
(c) emery paper에서도 너무 힘을 많이 가하면 관찰할 면에 소위 유동층이 생겨서 조직 이 달라진다.
(d) 한 연마지로부터 다음 연마지로 옮길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7.15
  • 저작시기20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