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론]국제금융 정의와현황 및 동북아 금융허브 추친현황 및 실효성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금융론]국제금융 정의와현황 및 동북아 금융허브 추친현황 및 실효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2

Ⅱ. 본 론
1.금융허브의 정의 및 현황 ........................... 3
2.특성화 금융센터의 실패사례 ......................... 6
3.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의 필요성 및 기대되는 효과 ....... 7
4.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 과제 및 과정 ........................ 10
5. 동북아 금융허브의 추진 현황 ........................... 13
6. 동북아 금융허브의 실효성 분석 ........................... 16
7.개 선 방 안 .................................... 17

Ⅲ. 결 론 ................................. 18

※ 참 고 문 헌 .................................... 20

본문내용

언어능력의 배양, 전문 인력 확충 등이 완벽하게 이루어졌을 때 하나의 기계장치인 동북아 금융허브도 완성되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외부환경의 위협요소에 대한 방안들이다. 첫째, 홍콩, 싱가포르 등 기존 허브와 상하이 등 새롭게 부상하는 허브와의 예상되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우위 확보가 급선무라 할 것이다. 경쟁 허브에 대한 냉철한 분석 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향후 2~3년 내 구체적 실행이 없을 경우 금융허브 관련 외국투자자의 신뢰가 상실됨으로 지속적인 실행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인간관계에서도 말만 앞세우는 사람은 신뢰받지 못 하는 것처럼 국제금융시장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다.
셋째, 외국기관의 급속한 국내시장 잠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금융시장의 국제화도 중요하겠지만 자생력 있는 국내금융산업의 보호 육성 또한 무엇보다 중요함으로 이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국제적인 경쟁력이 있는 국내금융기관의 존재는 금융허브의 경쟁력 확보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가 현재 갖추지 못 하고 있는 요소들을 잘 보완 육성해 나간다면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은 분명히 실효성 있는 국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 론
현재 금융개방에 따른 국경간 자본이동의 가속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세계금융시장이 실시간으로 통합, 동조화되고 있으며 금융시장간 금융회사 간 경쟁이 국경을 넘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중국경제의 급성장을 계기로 기존의 미국 유럽 중심으로 재편되었던 세계경제에 중국, 일본과 우리나라로 이루어지는 동북아 경제가 새로운 축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지리적으로 유리할 뿐 아니라 금융 및 기업의 구조조정을 통해 투명하고 건전한 금융경제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 우리가 금융 산업을 미래의 고부가 성장분야로 지향하고 우리나라를 동북아 금융허브로 발전 육성할 필요성과 여기에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홍콩, 싱가포르, 룩셈부르크, 더블린과 같이 정부가 주도가 되어 특성화된 금융허브를 육성 발전시킨 사례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나라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에 대한 시사점들을 찾아보았다.
어떠한 일을 추진함에 있어 완벽하게 준비를 끝마친 상태에서 시작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충분히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아 강점과 약점을 되짚어보고 현재 처해있는 환경적 상황을 분석해 봄으로써 추진하고 있는 일에 대한 완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자신감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 또한 마찬가지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경쟁 금융허브들에 비해 부족한 역량들이나 환경적 위협요인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찾아봄으로써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은 현실화 가능성이 보다 높아질 것이고 실효성도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국가에서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금융허브 전략을 추진하였고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성공하기 보다는 실패를 하였다. 자신에게 처해있는 환경적 요인과 내부역량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올바른 개선방안을 수립했을 때만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지고 있다.
본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에 대한 실효성을 분석해봄으로써 찾을 수 있는 개선방안을 고려하여 전략의 완성도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는 전환의 시기에 직면하고 있다.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을 확립하느냐, 아니면 혁신에서 도태되어 중진국의 비애를 맛볼 것인가? 그에 대한 대답은 우리가 현재 하고 있는 일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래에 대한 대비는 생각하고 생각한 것을 현실로 옮기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많은 전문가들이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에 대해 긍정적인 말들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가적 역량은 어느 나라 보다 높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와 국민이 한뜻이 되어 환경적 위협요소와 내부역량의 약점요인을 보완해 나간다면 동북아 금융허브전략의 현실화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 참고 문헌 》
김인주, 『국제금융론』,율곡출판사, 2004.
안형주, 『동북아 금융허브 (주요국의 자산운용업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4.
______, 『동북아 금융허브(한국의 여건과 경쟁력 비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최명주,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략과 과제」,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2004
재정경제부,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략」, 2003.
오제세 의원(열린우리당)의 2006년 국정감사 질의(동북아 금융허브 진척상황)에 대한 재경부의 회신
한겨레신문, 『싱가포르 지역금융센터 전략』 2006. 5
해외경제정보, 제2005-52호『룩셈부르크 금융센터의 발전 배경』 2005. 5
IMF \"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 September 12, 2002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SOUTH KOREA\'S EXPERIENCE WITH INTERNATIONAL CAPITAL FLOWS\", 2005.
- 인터넷사이트 -
LG경제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lgeri.com
삼성경제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seri.org
한국경제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keri.org
매일경제신문 홈페이지 http://www.mk.co.kr
동아일보 홈페이지 http://www.donga.com
오마이뉴스 홈페이지 http://www.ohmynews.com
중앙일보 홈페이지 http://www.joins.com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http://www.hani.co.kr
재정경제부 홈페이지 http://www.mofe.go.kr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http://www.fss.or.kr
한국은행 홈페이지 http://www.bok.or.kr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nso.go.kr
국제통화기금 홈페이지 http://www.imf.org
국립경제조사국 홈페이지 http://www.nber.org
  • 가격1,7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7.16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