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역사는 실패한 것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스라엘 역사는 실패한 것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구약 역사서의 이해

III. 이스라엘 역사의 평가

IV. 실패의 궁극적인 원인

첫째, 자녀교육의 실패이다

둘째, 이방신을 숭배하는 우상숭배가 패망의 원인이다

셋째, 신앙 개혁의 실패의 결과이다

V. 제언 및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손이 이 하나님의 역사의 풍류를 바꿔놓을 수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이 세상 역사의 종말이 당연한 것임을 여기고 예수 그리스도와 그 나라를 위해서 달려가야 하는 사명이 우리 앞에 놓여진 것이다. 그리고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이 시대에 영적으로 무지한 것을 깨우치고, 우상숭배로 놓여져 있는 것들을 쪼개며, 가나안 종교와 같이 성공주의와 번영신학에 물들어 있는 거짓 사상들을 훼파함으로 하나님이 이 가운데 예배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곳으로 만드는 일이 바로 나와 우리의 사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스라엘 멸망은 패배이지만 하나님의 역사관으로 보면 예수 그리스도의 씨앗이 싹트게 되는 대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처럼, 이 시대도 주님의 재림을 소망하며 오는 세대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하나님 나라의 극치를 사모하며 나아갈 수 있다. 이런 하나님의 관점에서 볼 때만이 이스라엘의 역사는 실패한 역사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성공을 향한 디딤돌의 역사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구약의 사상은 바로 남은 자의 사상이다. 지금도 남은 자들을 통해서 하나님은 구속역사의 완성을 향해 달려가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 참고문헌 >
김정준. 「역사와 신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4.
김지찬. 「요단강에서 바벨론 물가까지」.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7.
김희보. 「구약 이스라엘사」.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6.
이희학.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02.
이상웅. 「넬슨 성경개관」. 서울: 죠이선교회출판부, 2003.
정중호. 「이스라엘 역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키워드

이스라엘,   역사,   실패,   소논문,   역사관,   이방인,   구약,   신약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7.16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