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작가소개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Ⅱ.시대적 배경
Ⅲ.작품소개
Ⅳ.분석의 포인트와 주요키워드
Ⅴ.작품의 의미
Ⅵ.생각해 볼 문제
Ⅱ.시대적 배경
Ⅲ.작품소개
Ⅳ.분석의 포인트와 주요키워드
Ⅴ.작품의 의미
Ⅵ.생각해 볼 문제
본문내용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
Ⅰ.작가소개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일본의 소설가, 미국문학 번역가.
1949년1월12일-쿄토부 쿄토시(京都府京都市) 출생
1968년- 와세다대학교 제일문학부(早田大第一文部)에 입학
1975년- 와세다대학교 제일문학부 연극영상학과 졸업
1979년-『바람의 노래를 들어라(風の歌を聞け)』로 군상 신인문학상을 수상해서 데뷔
1987년-『상실의 시대(ノルウェイの森)』가 대 베스트셀러가 되고, 일반적으로도 알려짐
※전공투세대, 단괴세대를 대표하는 작가이지만, 정치활동에 관여하는 걸 피해서, 전공투(전국학생공 동투쟁회의)운동에서는 멀리 거리를 두고 있는 모습이 작품의 이모저모로부터 보인다.
Ⅱ.시대적 배경
1.단괴세대(塊世代)
단괴세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일본에 있어 1947년부터 1949년(1952년, 또는 1955년생까지 포함되는 경우도 있음)에 걸친 제1차 베이비붐으로 태어난 세대이다. 그들의 부친들이 이 시기에 종전에 수반하는 복원을 했기 때문에 저절로 혼인, 출생인구가 이 시기와 겹쳐졌다.
2.다른 세대와의 비교
(1)강한 경쟁심
-동세대의 경쟁이 심하다
-자기주장이 격하고 의론을 좋아한다.
(2)정치적 자세
-\"자유\"에의 강한 구애됨
-전후 세대로서 전쟁에 관련하는 것에 강렬한 거부 반응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단괴세대의 속하는 50살대의 민주당 지지율은 40%룰 넘어 이 세대만 자민당을 웃돌고 있다고 하는 조사 결과가 있다.
3.단괴세대의 청년기
학생운동이라고 불린 대학교개혁이나 베트남전쟁 반대의 반체제운동에 투신한다. 일부의 청년들은 전공투운동 등에서 정부나 기성질서에 반발해서 과격한 행동을 했다.
또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패션이 침투 시작한 세대이고 레저나 드라이브를 좋아하는 등, 그 스타일은 현대의 젊은이 문화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Ⅲ.작품소개
1.작품『상실의시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소설. 1987년9월, 코단샤(講談社)로부터 새로 써져서, 후에 코단샤 문고에서 상하권으로 문고화 되었다.
학생운동의 시대를 배경으로서 주인공과 자살한 찬구의 연인을 축으로, 다양한 사춘기의 갈등이나 인간성, 연애, 상실감등을 교묘하게 그려, 매우 넓게 읽혀졌다.
2.줄거리
이 소설은 서른일곱 살인 ‘내’가 18년 전의 ‘사건 = 실연’을 회상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대학에 갓 입학해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나’는 어는 날 전차 속에서 우연히 고교 시절에 자살한 친구 기즈키의 연인인 나오코를 만난다. 여러 차례의 데이트를 거듭한 끝에, ‘나’와 나오코는 재회한지 1년 후인 어느 비가 내리던 날- 나오코가 스무 살이 되던 생일날 -에 나오코의 방에서 함께 잠을 잔다. 그러나 나오코는 그 직후 실종되어 버리고, 그 후 ‘나’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나오코가 교토의 산 속에 있는 ‘아미료’라는 요양소에 들어가 있음을 그녀의 편지를 통해 알게 된다. 이 무렵, ‘나’는 같은 대학의 1학년생인 활발한 아가씨 미도리를 만난다. 이리하여 두 여성 -교토 산 속의 나오코와 도쿄의 미도리- 사이를 오가는, ‘나’의 격렬하고 슬픈 연애가 진행 된다 (이 나오코와의 재회로부터 나오코의 실종까지는, 이전에 발표한 단편 『개똥벌레』가 그 원형인데, 이 작품의 제 2장과 3장이 바로 『개똥벌레』의 부분이다). 나오코가 들어가 있는 교토의 요양소는 ‘외계와 차단된 조용한 세계’이다. 결국 나오코는 깊은 숲 속에서 목을 매달아 죽고 만다. 끝내 \'나\'는 그녀를 구해 내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 ‘나’는 전화 부스 속에서 정신없이 미도리에게 전화를 걸어, 너와 꼭 이야기를 하고 싶다, 온 세상에서 너 외에 원하는 건 아무 것도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오랜 침묵 끝에 미도리가 “당신, 지금 어디에 있어요?”하고 물어 오자, 나는 제대로 대답할 수가 없다.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게 된 ‘내’가 전화기에 대고 미도리의 이름을 계속 부르는 장면에서 이 작품은 끝이 난다.
3.등장인물
나(僕) : 주인공. 코베(神戶)의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의 사립 대학교에 진학 (학생운동에 관하는
기술 등, 일부 설정에 대해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모교인 와세다대학교와 겹치는 부분이 보인다) 풀 네임은 \"와타나베 토오루(ワタナベトオル)\"
키즈키(キズキ) : 나오코의 연인이자 \"나\"의 고등학교시절 동급생. 자택의 N360에서 자살
나오코(直子) : 키즈키의 소꿉동무이자 연인.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의 대학교에 진학 (쓰다쥬크대 학교\"津田塾大\"나 국제기독교대학교\"際基督敎大\"의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후에 교토에 있는 정신치료시설 \"아미료(阿美寮)\"에 입원
돌격대 : \"나\"가 들었던 기숙사의 최초의 동실인. 국립 대학교(도쿄교육대학교\"東京育大\"가 모델이 라고 추측되고 있다)에서 지도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원으로의 취직희망
나가사와(永) : \"나\"가 들었던 기숙사에 있는 선배. 학적은 도쿄대학교 \"東京大\" 법학부. 본가는 병 원을 경영. 외교관을 지망. 독자적 인생철학을 가지고 있음
하쓰미(ハツミ) : 나가사와씨의 연인. 학적은 \"뛰어난 아가씨가 다닌다는 도쿄의 여대(세신여자대학 교\"聖心女子大\"나 시라유리여자대학교\"白百合女大\"가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고바야시 미도리(小林) : \"나\"와 같은 대학교로 같은 수업(\"연극론Ⅱ\") 수강
본가는 오오츠카(大塚)에서 서점을 경영
레이코(レイコ) : 나오코가 있었던 정신치료시설의 동실인. 음악대학교에 다녔으며
풀 네임은 이시다레이코(石田玲子)
Ⅳ.분석의 포인트와 주요키워드
point.상실의 시대로의 타이틀 변경
▶「ノルウェイの森」⇒「상실의 시대」
-한국에서 무라카미 하루키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은, 문학사상사가 유유정에게 의뢰해
‘ノルウェイの森‘이라는 원제가 ’상실의 시대‘로 번역되어 출판된 1989년 6월 이후 부터이다.
이러한 인기는 다양한 번역서를 지속적으로 출현시켰다.
1989년 7월 정성호역 「개똥벌레의 연가」(성정출판사)
1993년 2월 이미라역의 「노르웨이의 숲」(동하출판사)
1993년 6월 김난주역의 「노르웨이
Ⅰ.작가소개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일본의 소설가, 미국문학 번역가.
1949년1월12일-쿄토부 쿄토시(京都府京都市) 출생
1968년- 와세다대학교 제일문학부(早田大第一文部)에 입학
1975년- 와세다대학교 제일문학부 연극영상학과 졸업
1979년-『바람의 노래를 들어라(風の歌を聞け)』로 군상 신인문학상을 수상해서 데뷔
1987년-『상실의 시대(ノルウェイの森)』가 대 베스트셀러가 되고, 일반적으로도 알려짐
※전공투세대, 단괴세대를 대표하는 작가이지만, 정치활동에 관여하는 걸 피해서, 전공투(전국학생공 동투쟁회의)운동에서는 멀리 거리를 두고 있는 모습이 작품의 이모저모로부터 보인다.
Ⅱ.시대적 배경
1.단괴세대(塊世代)
단괴세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일본에 있어 1947년부터 1949년(1952년, 또는 1955년생까지 포함되는 경우도 있음)에 걸친 제1차 베이비붐으로 태어난 세대이다. 그들의 부친들이 이 시기에 종전에 수반하는 복원을 했기 때문에 저절로 혼인, 출생인구가 이 시기와 겹쳐졌다.
2.다른 세대와의 비교
(1)강한 경쟁심
-동세대의 경쟁이 심하다
-자기주장이 격하고 의론을 좋아한다.
(2)정치적 자세
-\"자유\"에의 강한 구애됨
-전후 세대로서 전쟁에 관련하는 것에 강렬한 거부 반응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단괴세대의 속하는 50살대의 민주당 지지율은 40%룰 넘어 이 세대만 자민당을 웃돌고 있다고 하는 조사 결과가 있다.
3.단괴세대의 청년기
학생운동이라고 불린 대학교개혁이나 베트남전쟁 반대의 반체제운동에 투신한다. 일부의 청년들은 전공투운동 등에서 정부나 기성질서에 반발해서 과격한 행동을 했다.
또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패션이 침투 시작한 세대이고 레저나 드라이브를 좋아하는 등, 그 스타일은 현대의 젊은이 문화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Ⅲ.작품소개
1.작품『상실의시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소설. 1987년9월, 코단샤(講談社)로부터 새로 써져서, 후에 코단샤 문고에서 상하권으로 문고화 되었다.
학생운동의 시대를 배경으로서 주인공과 자살한 찬구의 연인을 축으로, 다양한 사춘기의 갈등이나 인간성, 연애, 상실감등을 교묘하게 그려, 매우 넓게 읽혀졌다.
2.줄거리
이 소설은 서른일곱 살인 ‘내’가 18년 전의 ‘사건 = 실연’을 회상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대학에 갓 입학해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나’는 어는 날 전차 속에서 우연히 고교 시절에 자살한 친구 기즈키의 연인인 나오코를 만난다. 여러 차례의 데이트를 거듭한 끝에, ‘나’와 나오코는 재회한지 1년 후인 어느 비가 내리던 날- 나오코가 스무 살이 되던 생일날 -에 나오코의 방에서 함께 잠을 잔다. 그러나 나오코는 그 직후 실종되어 버리고, 그 후 ‘나’는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나오코가 교토의 산 속에 있는 ‘아미료’라는 요양소에 들어가 있음을 그녀의 편지를 통해 알게 된다. 이 무렵, ‘나’는 같은 대학의 1학년생인 활발한 아가씨 미도리를 만난다. 이리하여 두 여성 -교토 산 속의 나오코와 도쿄의 미도리- 사이를 오가는, ‘나’의 격렬하고 슬픈 연애가 진행 된다 (이 나오코와의 재회로부터 나오코의 실종까지는, 이전에 발표한 단편 『개똥벌레』가 그 원형인데, 이 작품의 제 2장과 3장이 바로 『개똥벌레』의 부분이다). 나오코가 들어가 있는 교토의 요양소는 ‘외계와 차단된 조용한 세계’이다. 결국 나오코는 깊은 숲 속에서 목을 매달아 죽고 만다. 끝내 \'나\'는 그녀를 구해 내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 ‘나’는 전화 부스 속에서 정신없이 미도리에게 전화를 걸어, 너와 꼭 이야기를 하고 싶다, 온 세상에서 너 외에 원하는 건 아무 것도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오랜 침묵 끝에 미도리가 “당신, 지금 어디에 있어요?”하고 물어 오자, 나는 제대로 대답할 수가 없다.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게 된 ‘내’가 전화기에 대고 미도리의 이름을 계속 부르는 장면에서 이 작품은 끝이 난다.
3.등장인물
나(僕) : 주인공. 코베(神戶)의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의 사립 대학교에 진학 (학생운동에 관하는
기술 등, 일부 설정에 대해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모교인 와세다대학교와 겹치는 부분이 보인다) 풀 네임은 \"와타나베 토오루(ワタナベトオル)\"
키즈키(キズキ) : 나오코의 연인이자 \"나\"의 고등학교시절 동급생. 자택의 N360에서 자살
나오코(直子) : 키즈키의 소꿉동무이자 연인.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의 대학교에 진학 (쓰다쥬크대 학교\"津田塾大\"나 국제기독교대학교\"際基督敎大\"의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후에 교토에 있는 정신치료시설 \"아미료(阿美寮)\"에 입원
돌격대 : \"나\"가 들었던 기숙사의 최초의 동실인. 국립 대학교(도쿄교육대학교\"東京育大\"가 모델이 라고 추측되고 있다)에서 지도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원으로의 취직희망
나가사와(永) : \"나\"가 들었던 기숙사에 있는 선배. 학적은 도쿄대학교 \"東京大\" 법학부. 본가는 병 원을 경영. 외교관을 지망. 독자적 인생철학을 가지고 있음
하쓰미(ハツミ) : 나가사와씨의 연인. 학적은 \"뛰어난 아가씨가 다닌다는 도쿄의 여대(세신여자대학 교\"聖心女子大\"나 시라유리여자대학교\"白百合女大\"가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고바야시 미도리(小林) : \"나\"와 같은 대학교로 같은 수업(\"연극론Ⅱ\") 수강
본가는 오오츠카(大塚)에서 서점을 경영
레이코(レイコ) : 나오코가 있었던 정신치료시설의 동실인. 음악대학교에 다녔으며
풀 네임은 이시다레이코(石田玲子)
Ⅳ.분석의 포인트와 주요키워드
point.상실의 시대로의 타이틀 변경
▶「ノルウェイの森」⇒「상실의 시대」
-한국에서 무라카미 하루키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은, 문학사상사가 유유정에게 의뢰해
‘ノルウェイの森‘이라는 원제가 ’상실의 시대‘로 번역되어 출판된 1989년 6월 이후 부터이다.
이러한 인기는 다양한 번역서를 지속적으로 출현시켰다.
1989년 7월 정성호역 「개똥벌레의 연가」(성정출판사)
1993년 2월 이미라역의 「노르웨이의 숲」(동하출판사)
1993년 6월 김난주역의 「노르웨이
추천자료
근대일본문학에 있어서의「자연」관 : 자연주의문학
고등학교 일본문학교육의 변천
한국에 있어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문학연구의 현황과 전망 :일본문학
일본문학과 한국문학의 비교-일본의 실낙원 vs 한국의 감자
일본중세문학속의 무상
[영어독후감] 노르웨이숲 - 무라카미하루키 - 상실의시대 Norwegian Wood - Haruki Murakami ...
한국문화말살과 일본쇼와시대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I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G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F
일본문학교육
2012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상실의 시대를 읽고 대학생 독후감, 독후감, 감상문, 상실의시대
시진핑정부 중국의 외교정책(기본대외전략.시대별변화.미국.일본.북한.한국.개발도상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