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개념,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기본방향,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매체활용방법,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과제,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평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개념,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기본방향,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매체활용방법,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과제,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 평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개념

Ⅲ.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기본방향

Ⅳ.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매체활용방법
1. 칠판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2. OHP(Overhead Projector)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3. 실물환등기(Opaque Projector)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4. 오디오
1) 오디오 테이프
2) 오디오 CD
3) 잘못 사용된 예
4) 오디오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법
5. 비디오
1) 비디오 테이프
2) DVD(Digital Video Disc)
3) 잘못 사용된 예
4) 비디오 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법
6. 컴퓨터
1) 특성
2) 장점
3) 단점
4) 잘못 사용된 예
5) 효과적인 활용방법

Ⅴ.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과제

Ⅵ.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강의를 준비하기 전에 자신이 그 내용과 배경지식을 얼마나 잘 알고 잇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렇다고 잘 아는 것만이 좋은 강의의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명강의는 그 기술에 의해서 좌우된다. 명강의는 한 가지 생각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하고, 설득력이 있는 예를 제시하고, 모형과 비유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며, 학생들이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부분을 잘 인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강의이다. 또한 강사가 직접 작성한 노트는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강의에 필수적이다.
강의할 때는 그 속도, 음량, 장단 등을 변화시켜 중요한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요한 점에 대해서는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들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좋다. 발음은 똑똑하게 하고, 용어는 명확한 의미로 설명하며, 가능한 중언부언은 피한다. 강의 중에는 학생들한테서 눈을 떼지 않는 것이 좋으며, 교실 전체를 두루 돌아보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살핀다. 유머를 써서 강의에 생기를 불어넣고, 또한 시청각 기자재를 쓸 때에는 강의의 흐림이 끊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
Ⅱ.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개념
- 강의수업은 학생들의 선개념을 사전에 미리 조사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해야한다.
- 강의수업은 \'개념\'의 뜻을 분명히 정의해야 하며 최적의 예를 사용해야 한다.
- 어려운 개념을 가르칠 때는 설명식과 질문식의 수업방법을 모두 사용한다.
- 그래프, 다이어그램, VTR, 인터넷 등 시청각자료들을 통하여 가장 적정한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
- 학습내용을 학습자의 인지발달 수준에 맞게, 작동적, 영상적, 상징적으로 표현하면, 생성력과 전이도가 높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학문의 구조를 학습시키는 것이 학습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Ⅲ.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기본방향
교사 중심의 학습 지도 방법이므로 이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학습자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학생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즉 학생들에게 의문이 되는 것을 질문하게 하고 이에 대하여 교사가 대답해 주는 방법이라든가 수업중간에 간단한 실습을 실시한다든가 간단한 토의를 시킨다든가 학생들에게 발표를 시킨다든가 하는 방법은 교사중심의 학습방법 속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하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Ⅳ. 강의식수업(강의법, 일제식교육)의 매체활용방법
1. 칠판
1) 특성
칠판은 가장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된 수업 매체이다. 또한 강의실에서 늘 사용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생각 없이 사용한다. 따라서 교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면서 또한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이 칠판이다. 그러나 칠판이야말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다.
2) 장점
사용을 위한 별도의 기술이 필요 없고 교사나 학생 누구든지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강의 도중 말로는 충분히 설명이 안 될 때 그림이나 도표 수식으로 직접 쉽게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색 분필을 사용하여 강의 도중 즉석에서 요점의 강조나 주의집중이 필요한 점을 지적하고 부각시킬 수 있다. 습관적으로 말을 빨리 하거나 강의 진도가 성급히 나갈 때 판서를 하여 속도를 늦추고 학생에게 생각할 기회를 줄 수 있는 브레이크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칠판은 가장 친근하고 인간적인 매체이다.
3) 단점
칠판이라는 매체만으로는 많은 양의 자료를 취급하기 힘든 것이 단점이다. 또한 영구적인 기록을 남길 수 없고 똑같은 자료에 대한 복사본을 남길 수 없기에 장기적으로 보면 비효율적이다. 판서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줄어 들 수 있다.
4) 잘못 사용된 예
교수가 강의 시작부터 칠판에 판서를 시작하여 끝날 때까지 쉬지 않고 판서를 한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칠판에 쓰인 내용을 그대로 옮겨 쓰기에 급급하여 교수님의 설명을 잘 듣지 못하며 내용을 생각하고 정리하며 이해할 여유를 갖지 못하게 된다.
5) 효과적인 활용방법
· 미리 칠판을 어떻게 사용할지 결정해야한다. 전체 칠판을 도화지라고 생각하고 계획하여 부분으로 나누어서 단계별로 사용한다. 즉, 요점 정리 부분과 요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유로이 쓸 수 있는 부분을 나누어 사용한다.
· 글자와 그림은 학습자들이 잘 읽고 볼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한다.
· 학생들에게 등을 보이지 말고 학생들을 보고 말한다. 학습자가 교수의 입 모양을 보고 학생들과 시선을 맞추기 위해 등을 돌리게 되는 판서는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 교수의 위치는 칠판으로부터 학생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서야 한다.
· 강의주제는 강의 전에 미리 판서하고 강의 요점은 강의 과정에 단계적으로 판서한다.
2. OHP(Overhead Projector)
1) 특성
OHP는 투시물(TP: transparencies)을 투사하는 매체로서 아세테이트 또는 셀로판 같은 투명자료에 전용필기 도구로 교수가 직접 기재하거나 TP용 복사기를 이용하여 인쇄자료를 복사하여 사용한다. OHP는 매우 사용하기 쉬운 매체이다. 약간의 연습만으로도 누구나 OHP를 사용해서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다.
2) 장점
사용이 비교적 쉽고 비용이 싸다. OHP는 한정된 수의 교사가 방대한 학습내용을 많은 학생들에게 한꺼번에 전달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교실의 조명을 끄지 않고도 크고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욱이 OHP로 학습내용을 제시하며 교사가 학생들을 마주보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하며 교수의 수업방식이나 속도를 조절시켜 나갈 수 있다.
3) 단점
OHP는 쉽게 준비할 수 때문에 강의 내용의 분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아 질 수 있고 강의 속도를 너무 가속화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강의 내용을 따라 가기 힘들고 학습자 입장에서 지루하거나 따분해 질 수 있다.
4) 잘못 사용된 예
강의 내용을 모두 OHP에 적어 그 내용을 강의 시간에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줄줄 읽어 내려간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OHP에 실린 내용을 다 필기 할 수도 없고 따라서 내용을 생각할 여유가 없고 설명을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