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가정예절사례 조부모님에 대한 예절예의
1. 문안드리기
2. 어른의 의식주 예절
3. 어른 앞에서의 몸가짐
Ⅲ. 가정예절사례 부모님에 대한 예절예의
1. 아침저녁으로 인사를 드린다
2. 부모님의 뜻을 존중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3. 부모님을 도와 드린다
4. 부모님께 공손히 말씀드리는 태도를 습관화한다
5. 부모님 입장에서 생각한다
6. 부모님께 맞서지 않는다
Ⅳ. 가정예절사례 형제간 예절예의
Ⅴ. 가정예절사례 웃어른에 대한 예절예의
1. 문안 여쭙는 예절
2. 출입할 때의 예절
3. 어른 앞에서의 예절
Ⅵ. 가정예절사례 아랫사람에 대한 예절예의
Ⅶ. 가정예절사례 친척간 호칭예절예의
1. 자기에 대한 칭호
2. 부모에 대한 칭호
3. 형제간의 칭호
참고문헌
Ⅱ. 가정예절사례 조부모님에 대한 예절예의
1. 문안드리기
2. 어른의 의식주 예절
3. 어른 앞에서의 몸가짐
Ⅲ. 가정예절사례 부모님에 대한 예절예의
1. 아침저녁으로 인사를 드린다
2. 부모님의 뜻을 존중하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3. 부모님을 도와 드린다
4. 부모님께 공손히 말씀드리는 태도를 습관화한다
5. 부모님 입장에서 생각한다
6. 부모님께 맞서지 않는다
Ⅳ. 가정예절사례 형제간 예절예의
Ⅴ. 가정예절사례 웃어른에 대한 예절예의
1. 문안 여쭙는 예절
2. 출입할 때의 예절
3. 어른 앞에서의 예절
Ⅵ. 가정예절사례 아랫사람에 대한 예절예의
Ⅶ. 가정예절사례 친척간 호칭예절예의
1. 자기에 대한 칭호
2. 부모에 대한 칭호
3. 형제간의 칭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곳에 위치거나 어른에게 뒷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어른과의 악수는 어른이 먼저 청할 때에만 응한다. 어른께서 말씀이나 행동으로 배려를 할 때에는 3번 정도 사양하다 감사하며 따른다. 어른께서 잘못된 점을 지적하면 곧 실천하여 고친다.
Ⅵ. 가정예절사례 아랫사람에 대한 예절예의
아랫사람을 대할 때는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상하고 인자하게 대한다. 아랫사람이 보는 데서 옷매무새나 자세를 흐트러지게 하지 않는다. 어른을 모시는 일에는 반드시 아랫사람과 함께 하여 듣고 보아 배우게 한다. 집안의 의식 행사에는 반드시 아랫사람을 참여시키고 의견도 참작한다. 손님이 오실 때나 남의 집에 손님으로 가서는 아이들에게 인사시키는 것을 습관화한다. 아랫사람이 예절에 맞게 하려는 일을 인심 쓰듯이 제지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채근해서 예절을 실천하도록 한다.
Ⅶ. 가정예절사례 친척간 호칭예절예의
1. 자기에 대한 칭호
저제 : 웃어른이나 여러 사람에게 말할 때
나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우리저희 : 자기쪽을 남에게 말할 때
2. 부모에 대한 칭호
아버지어머니 : 자기의 부모를 직접 부르고 지칭하거나 남에게 말할 때
아버님어머님 : 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르고 지칭하거나 남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
아빠엄마 : 말을 배우는 아이가 자기의 부모를 부르고 말할 때
가친자친(家親慈親): 자기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와 한문식으로 지칭할 때
춘부장자당님(春府丈慈堂님): 상대방의 부모를 한문식으로 말할 때
부친모친(父親母親): 남에게 다른 사람의 부모를 말할 때
현고현비(顯考顯): 축문이나 지방에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선친, 선고선비(先親,先考先): 남에게 자기의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3. 형제간의 칭호
언니 : 미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또는 여동생이 여자 형을 부를 때
형님 : 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형 : 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말할 때
백씨(伯氏): 남의 맏형을 가리킬 때
중씨(仲氏): 남의 맏형 이외의 형을 가리킬 때
사형(舍兄): 자기의 형을 남에게 겸손하게 일컬을 때
사제(舍弟): 자기의 동생을 남에게 겸손하게 일컬을 때
참고문헌
김득중(1999), 한국전례연구원, 실천예절개론
배근희·최배영·김길령(2006), 청소년 예절 교육, 새로운 사람들
전례연구위원회(1992), 우리의 생활예절, 성균관
한국문화재단(2001), 우리의 전통예절
http://myhome.snue.ac.kr, 전통예절 바로알기
Ⅵ. 가정예절사례 아랫사람에 대한 예절예의
아랫사람을 대할 때는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상하고 인자하게 대한다. 아랫사람이 보는 데서 옷매무새나 자세를 흐트러지게 하지 않는다. 어른을 모시는 일에는 반드시 아랫사람과 함께 하여 듣고 보아 배우게 한다. 집안의 의식 행사에는 반드시 아랫사람을 참여시키고 의견도 참작한다. 손님이 오실 때나 남의 집에 손님으로 가서는 아이들에게 인사시키는 것을 습관화한다. 아랫사람이 예절에 맞게 하려는 일을 인심 쓰듯이 제지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채근해서 예절을 실천하도록 한다.
Ⅶ. 가정예절사례 친척간 호칭예절예의
1. 자기에 대한 칭호
저제 : 웃어른이나 여러 사람에게 말할 때
나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우리저희 : 자기쪽을 남에게 말할 때
2. 부모에 대한 칭호
아버지어머니 : 자기의 부모를 직접 부르고 지칭하거나 남에게 말할 때
아버님어머님 : 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르고 지칭하거나 남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
아빠엄마 : 말을 배우는 아이가 자기의 부모를 부르고 말할 때
가친자친(家親慈親): 자기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와 한문식으로 지칭할 때
춘부장자당님(春府丈慈堂님): 상대방의 부모를 한문식으로 말할 때
부친모친(父親母親): 남에게 다른 사람의 부모를 말할 때
현고현비(顯考顯): 축문이나 지방에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선친, 선고선비(先親,先考先): 남에게 자기의 돌아가신 부모를 말할 때
3. 형제간의 칭호
언니 : 미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또는 여동생이 여자 형을 부를 때
형님 : 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형 : 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말할 때
백씨(伯氏): 남의 맏형을 가리킬 때
중씨(仲氏): 남의 맏형 이외의 형을 가리킬 때
사형(舍兄): 자기의 형을 남에게 겸손하게 일컬을 때
사제(舍弟): 자기의 동생을 남에게 겸손하게 일컬을 때
참고문헌
김득중(1999), 한국전례연구원, 실천예절개론
배근희·최배영·김길령(2006), 청소년 예절 교육, 새로운 사람들
전례연구위원회(1992), 우리의 생활예절, 성균관
한국문화재단(2001), 우리의 전통예절
http://myhome.snue.ac.kr, 전통예절 바로알기
추천자료
식사예절
우리 옷과 예절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기말 01 친족간의 예절
직장인의 에티켓과 예절에 대해
[학군단]충 효 예의 본질
[다도][차][다도의 역사][다도의 기여][다도의 정신][다도의 예절][차의 성분][차의 효능][차...
식사예절
유럽의 예절, 19세기의 유럽, 현재의 유럽, 유럽의 왕국, 유럽의 통화제도, 유럽과 유로화, ...
예절의 구사, 구용의 사례 , 나의 견해
생활예절 각국의 성년례
학교생활지도의 학생이해, 학교생활지도의 지도요소와 유의점, 학교생활지도와 가정생활예절...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효경교육과 예절교육, 초등학교(초등교육)의 통일교육과 미디어교육, ...
전통 복장예절과 현대인의 복장예절
생활예절)효의 의미를 되새기며 어버이날에 부모님을 위한 행사를 설계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