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R 수술 케이스스터디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KR 수술 케이스스터디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손상 (피부변색, 무감각, 강직, 수포, 동통) 반동현상(rebound Phenomenon)
절차
이론적 근거/논의
1.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2. 찬물로 주머니를 채워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3. 얼음은 호두만한 크기로 깨뜨려 물로 잠시 씻는다.
모난 얼음은 얼음주머니를 상하게 하고 환자의 피부에 직접 닿으면 불편감을 준다.
4. 주머니에 얼음조각을 1/2~2/3정도 채우고 공기를 빼낸 후 마개를 안전하게 잠근다.
공기가 차 있으면 전도성이 차단되며 적용부위에 주머니를 고정시키기 어렵다.
5. 마른 수건으로 표면의 물기를 닦는다.
6. 얼음 주머니를 커버나 수건으로 싸서 환자에게 가져간 후 사용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커버는 주머니 표면의 습기를 흡수하며 냉각작용을 감소시킨다.
7. 베게 등을 사용하여 환자를 가장 편안한 자세가 되도록 한다.
8. 피부 상태를 관찰한 후 20~30분간 적용하고 1시간 정도의 회복시간을 갖는다.
찬 것에 장시간 노출되면 혈액순환장애, 세포파괴, 산소 및 영양물 부족으로 인한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또한 찬 것을 적용한 피부 온도가 15도 일 때 혈관수축이 최대가 되며 그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혈관이 확장되는 반동현상이 발생한다.
9. 적용부위에 작열감, 무감각, 수포, 얼룩점, 부풀음, 발적, 심한 창백 등이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관찰한다.
10. 얼음이 다 녹지 않았는지 자주 살피고 필요하면 다시 채우고 커버도 갈아준다.
11. 시행한 시간, 내용, 효과, 체온 및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12. 얼음주머니는 공기를 넣어서 보관한다.
고무주머니 사이가 붙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2. 외과적 수술 후 수술부위와 관련된 운동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왼쪽 다리가 잘 안 구부러 져요”
객관적 자료
Waiker 사용 시 다리를 절뚝 거리며 걷는다.
CPM 기계로 다리 90도 구부러 진다. (수술 후 2일째)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이내 CPM 기계사용 시 다리각도가 110도 이 상 구부러 질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스스로 걸을 수 있을 것이다.
간호수행
① 무릎 굽히는 운동을 설명하고 격려한다.
▶ 침대나 의자에 걸터앉아 하거나, CPM 기기를 사용하여 무릎을 굽 히는 운동을 시행한다. 자신이 매일 굽혀지는 강도를 측정하여 무 릎 굽히는 운동범위가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② 수술한 다리를 누워서 들어 올리는 운동을 설명하고 격려한다.
▶ 수술한 다리는 끝까지 펴고 누워서 발 끝에 힘을 주고, 천천히 다 리를 끝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섯까지 세고, 천천히 다리를 내 린다. 대퇴사두근이 강화되어 무릎근육을 튼튼하게 해준다.
③ Walker 사용법을 설명하고, 수술 2일후부터 운동을 격려한다.
④ 인공관절 수술 후 가능한 활동과 불가능한 활동을 설명한다.
⑤ 재활치료사와 연계해 준다.
간호수행
수술 후 일정시간 지난 뒤 사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하며, 그것을 격려하였다. 운동 중 자세가 바르지 않을시 올바른 방법을 지속적으로 말하였으며 재활치료사와 연계하여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 지속적 수동 운동기 (Continuous Passive Motion)
목적 : 무릎과 골반의 관절 기능을 못하는 춰자의 관절 기능을 수동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체위 : 앙와위
금기 : 골절
절차
이론적 근거
1. 기계를 준비하여 침상가에 놓는다.
2. 환자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3. 운동시키고자 하는 다리를 고정시킨다.
4. 기계판 위에 끈으로 다리를 고정시킨다.
다리가 기계판 위에서 떨어지면 통증이 유발되거나 근육, 신경, 인대의 손상가능성이 있다.
5. 각도 (0~120도)를 정하여 고정시킨다.
6. 코드를 전원에 연결해 수동적 운동을 시작한다.
7. 처음 고정시킨 각도에서 적응 가능한 각도까지 서서히 늘린다.
통증을 참을 정도 까지 차츰 각도를 늘려 운동량을 증가시킨다.
8. 매일 적용시간과 간격을 정한다.
9. 운동시간과 운동 각고, 환자의 반응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 Walker 사용법. (걷기)
1. 처음에는 워커를 사용하여 균형을 잡는다.
2. 워커를 몸 중앙 약 10cm 앞쪽에 놓고, 양팔로 워커를 힘차게 잡는다.
3. 수술하지 않은 다리를 한걸음 내딛는다.
4. 워커에 약간 기대어, 체중을 퉈커에 싣고, 수술한 다리를 내딛는다.
5. 워커를 밀거나, 들어서 앞쪽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처음 걸음을 시작한다.
Ⅲ. 결론
수술 후 환자 care와 상태를 관찰 하면서, 케이스 하는데 많이 알게 되었고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또 실습을 하면서 OS에서 사용하는 기구 뿐 아니라 수술 전. 후 간호에 대해서도 많이 알게 되었던 것 같아서 이번 실습은 매우 보람찬 실습이었다.
환자분께서는 실습도중에 입원과 수술을 모두 하셨기 때문에 환자분의 상태변화를 자세히 관찰 할 수 있어서 좋았다. 특히 수술 후 PCA를 달고 계셨지만, 그 후 self control를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환자분의 통증경감을 위한 간호를 해드렸지만 그래도 환자분의 의지가 강인한 분이라 더욱 결과가 좋았던 것 같다. 재활치료시 의사가 다리를 꺾을때는 10점만점의 10점이라며 안겪어본 사람은 생각할 수도 없는 고통이라고 말씀하시면서도 꾸준히 재활치료를 가시고, CPM 기기의 각도가 90에서 100, 110까지 각도가 올라가고 다리운동 하는 모습을 뵈면서 내가 오히려 환자분께 에너지를 얻었다. 병원생활이 많이 힘드실텐데도 상황을 받아들이고 웃는 모습을 할 수 있다는 데에 배울 점이 많다고 느꼈고, 간호사 선생님들도 물론 일이 힘들긴 하지만 열심히 일하는 만큼 보람도 많이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일을 더 열심히 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많은 경험이 되었고, 많은 것을 배워가서 매우 의미 있는 실습이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下2, 전시자外, 현문사, 2001
성인간호학 下Ⅰ, 서문자外, 수문사, 2000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外 4명, 현문사. 2002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外 6명,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7.3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