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치환술 case study(TKR)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공관절치환술 case study(TK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 대하여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2개

본문내용

전환자
소비성 응고 장애
간장,신장,심장,혈액증에 중대한 문제
약물 알러지 증상기왕력자
간 호 진 단
문제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명
#1
3/6
수술 절개 부위와 관련된 통증
3/8
Nr.
이윤정
과학적 근거
통증이란 신호 그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통증을 느낀다는 신호의 해석으로부터 생기는 것이다. 흥미로운 역설이지만 통증은 필수 불가결한 감각으로서, 그것이 없다면 우리는 끝없이 죽음의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주관적이고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이다.
생리적 방어기전이며, 조직손상 없이 생길 수도 있다.
합리적 근거
주관적
-“너무 아파요”
-“수술 한데가 아퍼~”
객관적
-통증기록지에 수술한 날과 수술 다음날의 통증척도 평균점수는 7점이다.
-3/8일 까지 통증으로 PCA 유지했음.
-prn처방으로 Dicknol과 hifenac 과 demerol 이 있음.
-얼굴을 찡그리다.
-가만히 누워서 움직이지 않으며 통증을 호소한다.
간 호 계 획
진단
번호
단 기 목 표 : 6시간 뒤 통증이 괜찮아 졌다고 말할 것이다.
장 기 목 표 : 퇴원 시 통증이 없이 도보로 퇴원 할 것이다.
#1
목적
-10점 척도 통증측정 도구에서 3점 이하라고 묘사할 것이다.
-진통제 없이도 참을 만 하다고 말할 것이다.
-통증을 심화시키고 행동변화를 주는 요인들에 대해 간단히 말할 것이다.
-편안함과 통증을 완화 시키는 요인들을 표현할 것이다.
-진통제를 덜 요구할 것이다.
-정서적 스트레스와 신체적적 동통이 연관 될 수 있음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진단적 계획
-통증에 대한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반응들에 대해 관찰한다.
-전체적인 통증 증상을 사정한다.
-약물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약물 투여 후 30분 뒤에 약물 효과를 사정한다.
-통증의 원인, 강도, 증가요인, 감소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안위를 증진시키는 간호를 수행한다.(체위변경)
-기분전환 활동을 환자와 함께 계획한다.(독서, 공예, 산책, TV 등..)
-통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목표도달 과정 중 환자에게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격려한다.
-통증을 말로 표현한다.
-환자가 인정하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과 통증 완화 요인과의 관계에 대해 환자와
이야기 한다.
교육적 계획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통증척도에 대해 교육한다.
-체위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PCA에 대해 설명한다.
간 호 수 행
진단
번호
평가
날짜
간 호 수 행
#1
3/6
~
3/7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해서 설명해 주었다.
-통증척도를 사용해 대상자의 통증이 6에서 조금씩 낮아졌다.
-체위를 3시간 마다 바꾸어 주었고 내가 없는 시간에는 보호자에게 3~4시간에
한번씩 체위변경을 하도록 하라고 교육했다.
-대상자는 움직이면 통증이 더 악화된다고 말하였다.
-수면을 취하거나 편안히 앉아서 휴식을 취할 땐 통증이 경감된다고 말했다.
-묵직하고 쑤시는 것과 같이 아프다고 표현했다.
-약물이 들어간 후 환자의 상태를 살폈다.
-병동을 돌아다니는 운동을 할때 곁에서 지지해 주었다.
간 호 평 가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수 행
#1
3/8
-“아픈건 덜해요” “무릎 아까보단 덜해요” by.환자
“좀나아졌나봐요” by.보호자
-10점의 통증척도로 대상자에게 물어본 결과 3 라고 대답하였다.
-운동할 때 통증이 조금 심하고 쉴 때 조금 편안하다고 말하였고 스스로도
이해하고 있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평소보다 더 아픈 것 같다고 말하였다.
-퇴원 시 통증은 어떻냐는 물음에 괜찮다고 말하였고 도보로 퇴원하였다.
그러므로 이 간호진단은 수행 되었다.
간 호 진 단
문제번호
발생날짜
간 호 진 단
해결날짜
서명
#2
3/14
통증과 관련된 관절 운동장애
3/21
Nr.
이윤정
과학적 근거
운동 신경 경로의 질병에 의하여 생기는, 몸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장애.
합리적 근거
주관적
-“가끔 쑤시고 아프기는 해요”
-“이것저것 많아서 움직이기 힘들지”
-“아픈데 어떻게 움직여”
객관적
-양하지 보조기 유지중이다.(3/11~3/20)
-침상에 앉아있다.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다.(3/6~3/9)
-혈액배액관을 가지고 있다.(3/6~3/8)
-움직일때마다 얼굴을 찡그린다.
간 호 계 획
진단
번호
목 표 : 대상자는 치료적 제한 내에서 일상생활을 수행 할 것이다.
#2
목적
-스스로 일어나고 보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걷는것이 많이 힘들지는 않다고 할 것이다.
진단적 계획
-매일 CPM유무와 각도를 기록한다.
-활동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CPM을 열심히 하도록 격려한다.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발목관절 굴절 운동, 무릎관절 강화 운동을 격려한다.
-다리올리기 운동을 격려한다
교육적 계획
-운동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CPM에 대해 교육한다.
-체위변경에 대해 교육한다.
-발목관절 굴절 운동, 무릎관절 강화 운동을 설명한다.
-다리올리기 운동을 설명한다.
-무릎 보조기에 대해서 교육한다.
간 호 수 행
진단
번호
평가
날짜
간 호 수 행
#2
3/6
~3/21
-매일 CPM유무와 각도를 기록하였다(환자사정 자료에 첨부)
-CPM을 열심히 하도록 격려하였다.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였다.
-발목관절 굴절 운동, 무릎관절 강화 운동을 격려하였다.
-다리올리기 운동을 격려하였다
-운동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CPM은 계속적인 수동적 운동이라고 설명하였고 그 외 부가 설명을 시행하였다.
-2시간 정도마다 체위변경하도록 설명하였다.
-발목관절 굴절 운동, 무릎관절 강화 운동을 설명하였다.
-다리올리기 운동을 설명하였다.
-무릎 보조기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간 호 평 가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수 행
#2
3/21
-환자는 처음에는 꼼짝하지 못했으나, 3/14일 이후 쯤 부터는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병동을 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환자는 물리치료 후 좀 힘들지만 그래도 처음보단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진통제 없이도 운동 할만하다고 말하였다.
그러므로 이 간호진단은 계속적인 간호 중재가 요구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5.14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5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