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미드, 기자에 있는 쿠푸(케오프스)의 대 피라미드, 제 4왕조의 왕 카프레(카프렌, 카프라)를 표현했다고 여겨지는 유명한 스핑크스는 세계에서 가장 놀라운 건축물들로 손꼽힌다. 그러나 이런 번영은 지속되지 못했고, 제 6왕조에 이르러 권력의 지방분권화가 나타나면서 지역 관리들의 힘이 강해졌다. 고왕국은 기원전 2181년에 정치적으로 무정부 상태에 빠져들면서 붕괴했다.
3) 혼돈과 재생
① 제 1중간기(2152~2065 BC)
이집트가 분열된 혼란의 시기로 제 7왕조로부터 제 11왕조 전반기가 이에 속한다. 이 혼란은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근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② 중왕국 시대 Middle Kingdom(2040~1781 BC)
제 11왕조 후반기와 제 12왕조의 시기이다. 테베의 왕자였던 Nebhepetre MentuhtepⅡ (멘투호테프2세)가 이집트를 재통일하였으며 51년간 이집트를 통치하였다. 테베가 이집트의 수도가 되었다.
③ 제 2중간기(1781~1550 BC)
다시 돌아온 혼란의 시기가 제 13왕조부터 17왕조까지 계속되었으며, 힉소스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4) 제국의 지배자들
① 신왕국 시대(1550~1075 BC)
제 18왕조부터 제 20왕조의 시기이다. 아흐모스(Ahmose)는 힉소스를 추방하고 이집트 고왕국 시대의 영토를 회복하였으며, 거의 아들 아멘호텝(Amenhoetep)Ⅰ세는 남쪽으로 영토를 더욱 확장하여 변영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하트셉수트(Hatshepsut)는 투트모세(Thut mosis)Ⅰ세의 딸이며, 또한 이복오빠인 투트모세 Ⅱ세의 왕비이다. 투트모세 Ⅱ세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자, 하트셉수트는 아이 어린 투트모세 Ⅲ세의 섭정이 되어 정권을 장악했다. 투트모세 Ⅲ세는 투트모세 Ⅱ세가 소실로부터 얻은 아들로 정식으로는 이 소년이 파라오였다. 하트셉수트는 처음에는 어린 왕의 이름으로 통치하였으나 얼마 후에는 남장을 하고 스스로 파라오라 자칭하며 20년간 통치했다. 투트모세 Ⅲ세는 정권을 장악한 뒤에 하트셉수트의 모든 기념물을 파괴하였으며, 무려 17차례의 전투를 벌여 영향력을 확장하였다. 아멘 호테프 Ⅰ세는 아몬 신앙과 결별하고 태양으로 대표되는 유일한 보편적인 신이며 모든 생명의 원천인 아톤(Aton)으로 신앙을 바꾸려 하였다. 자신의 이름도 ‘아몬이 넘쳐 있는 신성한 테베의 지도자’의뜻인 아멘호테프 대신 ‘아톤을 섬기는 자자’를 뜻하는 이켄아톤 (IkhenAton)으로 바
3) 혼돈과 재생
① 제 1중간기(2152~2065 BC)
이집트가 분열된 혼란의 시기로 제 7왕조로부터 제 11왕조 전반기가 이에 속한다. 이 혼란은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근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② 중왕국 시대 Middle Kingdom(2040~1781 BC)
제 11왕조 후반기와 제 12왕조의 시기이다. 테베의 왕자였던 Nebhepetre MentuhtepⅡ (멘투호테프2세)가 이집트를 재통일하였으며 51년간 이집트를 통치하였다. 테베가 이집트의 수도가 되었다.
③ 제 2중간기(1781~1550 BC)
다시 돌아온 혼란의 시기가 제 13왕조부터 17왕조까지 계속되었으며, 힉소스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4) 제국의 지배자들
① 신왕국 시대(1550~1075 BC)
제 18왕조부터 제 20왕조의 시기이다. 아흐모스(Ahmose)는 힉소스를 추방하고 이집트 고왕국 시대의 영토를 회복하였으며, 거의 아들 아멘호텝(Amenhoetep)Ⅰ세는 남쪽으로 영토를 더욱 확장하여 변영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하트셉수트(Hatshepsut)는 투트모세(Thut mosis)Ⅰ세의 딸이며, 또한 이복오빠인 투트모세 Ⅱ세의 왕비이다. 투트모세 Ⅱ세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자, 하트셉수트는 아이 어린 투트모세 Ⅲ세의 섭정이 되어 정권을 장악했다. 투트모세 Ⅲ세는 투트모세 Ⅱ세가 소실로부터 얻은 아들로 정식으로는 이 소년이 파라오였다. 하트셉수트는 처음에는 어린 왕의 이름으로 통치하였으나 얼마 후에는 남장을 하고 스스로 파라오라 자칭하며 20년간 통치했다. 투트모세 Ⅲ세는 정권을 장악한 뒤에 하트셉수트의 모든 기념물을 파괴하였으며, 무려 17차례의 전투를 벌여 영향력을 확장하였다. 아멘 호테프 Ⅰ세는 아몬 신앙과 결별하고 태양으로 대표되는 유일한 보편적인 신이며 모든 생명의 원천인 아톤(Aton)으로 신앙을 바꾸려 하였다. 자신의 이름도 ‘아몬이 넘쳐 있는 신성한 테베의 지도자’의뜻인 아멘호테프 대신 ‘아톤을 섬기는 자자’를 뜻하는 이켄아톤 (IkhenAton)으로 바
추천자료
[기독교 영화 감상문]이집트 왕자
아프리카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현황과 사례- 이집트 편
알고 보면 재미있는 이집트 문화
고대의 조각1 - 선사시대ㆍ고대 이집트
이슬람 여성 인권 혁명, 이집트 선거, 아랍의 봄, 이슬람 여권 실태, 해결 방안, 현황, 관리,...
[서평] 얀 아스만의 이집트인 모세를 읽고
파라오가 지배한 고대 이집트에 대하여
[영화 감상문] 『이집트왕자』 를 보고나서
[영화 감상문] ‘이집트 왕자’ 를 보고
[감상문] 이집트 왕자를 보고나서
(감상문) 이집트 왕자를 보고
영화 감상문 ‘이집트 왕자’를 보고
[감상문] ‘이집트 왕자’
영화 감상문 - 이집트 왕자 The Prince of Egypt
소개글